-
- 퀴어축제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 [The Psychology Times=한민 ]한국에서 개고기 논란만큼이나 여름의 이슈로 떠오르는 주제가 있습니다. 바로 퀴어축제죠. 1970년 미국 뉴욕에서 동성애자들의 인권과 ...
- 2022-11-30
-
- 바보의 문화적 의미
- [The Psychology Times=한민 ]한국사람들은 똑똑한 사람들입니다. 전세계인을 대상으로 한 IQ조사에서 늘 최상위권에 자리하고 있고,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역시 OECD 1...
- 2022-11-23
-
- 한글날의 짧은 소회
- [The Psychology Times=한민 ]가실왕은 가야금을 만든 것으로 전해지는 가야의 왕입니다. 세종대왕은 한글을 만드신 분이죠. 그런데 한국인 심리학은 여기에 왜 끼었...
- 2022-11-17
-
- 왜 우리는 노벨상을 못 받을까?
- [The Psychology Times=한민 ]매년 가을이 되면 한국인들을 스트레스받게 하는 뉴스가 있으니 바로 노벨상 수상자 발표입니다. 문학, 경제학, 물리학, 화학, 생리의학...
- 2022-11-09
-
- 자존심은 나쁘고 자존감은 좋다?
- [The Psychology Times=한민 ]시대가 힐링의 시대다 보니 여기저기서 남을 치유해 주겠다는 소위 '힐러'들이 넘치고 있습니다. 우후죽순으로 돋아나는 그 힐러...
- 2022-11-02
-
- 매국노와 애국지사의 차이
- [The Psychology Times=한민 ]매국노와 애국지사. 친일청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우리나라에서 이만큼 대비가 선명한 용어도 없을 겁니다. 우리는 매국노(賣...
- 2022-10-26
-
- 4.16, 그 날을 기억하는 두 가지 방법
- [The Psychology Times=한민 ]2014년 4월 16일은 한국인들의 마음에 큰 충격으로 남았습니다. 심리학에서는 정신적 외상을 트라우마라고 하는데 세월호라는 이름의 여...
- 2022-10-18
-
- 왜 한국 기업은 소비자를 호갱으로 볼까?
- [The Psychology Times=한민 ]최근 과자 드셔본 적 있으신지요? "질소를 샀더니 과자가 딸려왔다"는 농담이 있을 정도로 우리나라 과자의 과대포장 문제는 심각합니...
- 2022-09-30
-
- 흙수저의 미래는?: 한(恨)의 방향
- [The Psychology Times=한민 ]셀리그만(Seligman)이라는 심리학자가 유명한 실험을 했습니다. 개 24마리를 8마리씩 세 집단으로 나누고 전기쇼크를 줍니다. 한 집단(A집...
- 2022-09-19
-
- 문화여행자들을 위한 안내서
- [The Psychology Times=한민 ]문화를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문화 이해를 가로막는 가장 첫번째 장벽은 인간의 기본적 추론 경향성입니다. 이전 글에서 &...
- 2022-09-07
-
- 겁나 먼 나라로의 여행
- [The Psychology Times=한민 ]흔히 일본을 가깝고도 먼 나라라고 합니다. 지리적으로, 또 역사적으로 밀접한 관계에 있지만 심리적으로는 멀게 느껴지는 나라라는 이...
- 2022-08-31
-
- 고려장이 한국 풍습이 아닌 이유
- [The Psychology Times=한민 ]고려장..이란 말 들어보셨을 겁니다. 늙은 부모를 더이상 모실 수 없게 된 아들이 깊은 산 속에 부모를 내다 버린다는 풍습인데요. 고려....
- 2022-08-10
-
- 최태민은 왜 자신을 미륵이라 했나?
- [The Psychology Times=한민 ]박근혜와 최순실의 인연은 최순실의 아버지 최태민으로부터 시작됩니다. 최태민은 무당, 승려, 목사 등 복잡한 이력을 가진 인물로 '...
- 2022-08-03
-
- 아파트의 품격
- [The Psychology Times=한민 ]오랫동안 집은 살기 위한 곳이었습니다. 나무 밑이나 바위 틈, 동굴 속에서 비바람과 맹수들을 피하던 인류는 집을 짓고 살면서 비로소 ...
- 2022-07-28
-
- 명절이 제사 지내는 날이라고요?
- [The Psychology Times=한민 ]어느덧 명절은 온갖 사회적 갈등이 첨예하게 맞부딪치는 불편한 날이 되었습니다. 재산싸움같은 고전적인 주제로 시작하여 친척들의 ...
- 2022-07-19
-
- 신병(神病)의 심리학적 이해
- [The Psychology Times=한민 ]신병(神病)은 무당이 될 사람들이 무당이 되기 전에 앓는 병입니다. 사람이 달나라에 가는 시절에 귀신이 뭐고 무당이 뭐냐고 생각하실 ...
- 2022-07-11
-
- 장례식장에서는 슬퍼해야 하는가?
- [The Psychology Times=한민 ]죽음은 슬픈 일입니다. 오랫동안 함께 했던 사랑하는 이들의 죽음은 더 슬프겠지요. 따라서 사랑했던 이들을 떠나보내는 장례식의 분위...
- 2022-07-04
-
- 한국인들은 왜 떼창을 할까?
- [The Psychology Times=한민 ]어느덧 한국을 상징하는 공연문화로 굳어진 떼창. 오늘은 그 떼창에 대해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사실 한국이 떼창의 원조국은 아닙니다...
- 2022-06-27
-
- 고인돌은 왜 한국에 많을까?
- [The Psychology Times=한민 ]한국에 분포하는 고인돌은 약 3만 기. 전 세계 고인돌의 50%가 넘는 숫자라고 합니다. 아시다시피 한반도의 면적은 그리 크지 않습니다. ...
- 2022-06-19
-
- 영화 <터미네이터>에 나타난 기독교적 상징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한민 ]어떤 영화가 크게 흥행했다는 사실은 거기에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요소가 있었다는 뜻입니다. 시리즈 정도로 화제를 ...
- 2022-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