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호는 왜 개를 싫어했나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한민 ]이창동 감독의 1999년 작 박하사탕은 한국 현대사의 거친 물결 속에 휩쓸린 한 남자의 이야기다. 영화를 잘 모르는 사람...
- 2022-01-24
-
- 아저씨는 왜 개가 되는가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한민 ]“물라면 물고, 놓으라면 놓고, 조직을 위해서 개처럼 살았습니다.”영화 내부자들에서 우장훈 검사(조승우 분)...
- 2022-01-18
-
- 개저씨 혐오의 문화적 의미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한민 ]개저씨 혐오는 '개저씨'로 표상되는 일부 중년 남성들에 대한 단순한 불만의 표출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갑인 아...
- 2022-01-13
-
- 진상 보존의 법칙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한민 ]진상이란 상식적으로 이해되지 않는 일들을 저지르는 골칫덩이를 뜻하는데 진귀한 물품을 나라에 바치는 진상(進上)에...
- 2022-01-07
-
- 선진국 콤플렉스(complex)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한민 ]콤플렉스란 정신역동이론의 용어로서, 어떤 대상에 대한 여러 감정과 동기가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힘을 말합니다. 프...
- 2022-01-04
-
- 미륵의 한국 vs 지장의 일본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한민 ]동아시아에 불교가 전래된지도 천 수백년. 불교는 사람들의 마음에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러나 각국이 받아들인 ...
- 2021-12-29
-
- 도깨비는 영어로 고블린인가?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한민 ]도깨비의 수출명은 고블린(Goblin)입니다. 원래 수호자..란 의미의 Gardian으로 하려고 했는데 영국 일간지 가디언과의 혼...
- 2021-12-24
-
- 신방 엿보기의 유래 (2)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한민 ]조선시대가 지나면서 조혼은 차츰 풍습으로 굳어졌습니다. 결혼적령기 총각의 부족이라는 현실적 이유에서 시작된 꼬...
- 2021-12-20
-
- 신방 엿보기의 유래 (1)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한민 ]지금은 없어진 풍습 중에 '신방 엿보기'라는 것이 있었습니다. 말 그대로 신방, 즉 신혼 부부가 첫날밤을 보내는 ...
- 2021-12-13
-
- 일부일처제는 가장 진화한 결혼제도인가?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한민 ]우리는 우리의 문화를 기준으로 다른 문화를 판단합니다. 어느 정도는 당연할 수밖에 없는 일이구요. 그런 경향성에서 ...
- 2021-12-03
-
- '괜찮아요?'를 다른 나라 말로 하면?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한민 ]길 가던 사람이 넘어지면 하는 말, '괜찮아요?'오늘은 이 간단한 표현에 숨어있는 문화적 다양성을 살펴보겠습니...
- 2021-11-26
-
- 한국이 코딱지만하다고요?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한민 ]우리가 사는 나라, 한국은 작은 나라입니다. 남한의 면적은 99,720㎢로 이웃나라 일본의 약 1/4정도의 넓이입니다. 참고로...
- 2021-11-18
-
- 이스라엘은 언제부터 거기 있었나?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한민 ]중동과 중동사람들에 대한 뿌리 깊은 오해가 있습니다. 중동은 세계의 화약고이고 그 이유는 중동사람들의 호전성 때...
- 2021-11-15
-
- 야동과 먹방의 문화심리학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한민 ]야동과 먹방은 일본과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콘텐츠입니다. 그리고 그 둘의 공통점은 포르노..라는 점이죠. 보통 야동...
- 2021-11-09
-
- 일본인은 과연 이성적인가?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한민 ]한국인과 일본인의 차이에 대해 많이 언급되는 말 중에 일본인은 이성적이고 한국인은 감정적이라는 이야기가 있습니...
- 2021-11-03
-
- 일본의 스승 vs 한국의 스승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한민 ]한국과 일본의 차이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분야 중 하나가 ‘스승’에 대한 생각입니다.일본의 스승과 제자먼저 ...
- 2021-10-26
-
- 일본인들이 선을 넘는 경우
- 저는 일본 문화를 선(線, 경계)의 문화로 보고 경계에 대한 일본인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일본 문화와 일본인들의 심리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일본인들은 모든 ...
- 2021-10-20
-
- 왜 고모보다 이모가 편할까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한민 ]한국인들은 식당에서 일하는 분들(여성)을 '이모'라고 부릅니다. 한때 이모라는 호칭이 문제가 있다며 '차림사'..라는 ...
- 2021-10-05
-
- 한류(韓流)는 어디서 비롯되었나
- 한류는 이제 부정할 수 없는 세계적 문화현상입니다. 아시아 일부 나라의 드라마 열풍으로 시작됐던 한류는 K-pop과 영화를 넘어 K-뷰티, K-푸드, K-의료 등 다양...
- 2021-10-04
-
- 심리학의 불편한 진실
- 심리학의 주된 정체성은 ‘과학적 방법’에 있습니다. 근대 심리학이 시작된 해를, 분트가 심리학 실험실을 만든 1879년으로 잡는 이유가 여기 있지요. ...
- 2021-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