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드립의 민족
- 역사적으로 한국인들을 풍자와 해학의 민족이라 합니다. 문학과 예술을 비롯한 우리 문화의 전반에 풍자와 해학이 깃들어 있기 때문인데요. 표지 사진은 잘 ...
- 2021-03-17
-
- 환상의 일본 애니 vs 현실의 한국 드라마
- 일본의 문화콘텐츠는 신기하고 환상적인 이야기들을 보여줍니다. 더이상 수식어가 필요없는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아름다운 작품들은 물론, 과거와 현재, ...
- 2021-03-09
-
- 우긴다고 남의 문화가 내 것이 되지 않는다
- 중국의 한국문화 훔치기가 도를 넘고 있습니다. 최근 주UN대사가 김치 담그는 영상을 올려 논란이 된 김치로부터, 한복, 태극기, 판소리, 농악, 심지어 윤동주 ...
- 2021-02-15
-
- 괴물의 문화심리학
- 괴물은 영화의 좋은 소재입니다. 볼거리를 주거든요. 사실 볼거리야말로 영화산업의 핵심입니다. 영화는 사람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발전해왔죠. 그...
- 2021-02-03
-
- 한국인이라 불행해
- 한국인들은 멋진 풍경을 보면 이렇게 말한다. "우와, 외국 같아요~!", "우리나라에 이런 데가 있었어?", "우리나라 안 같애~"..이런 대답은 우리나라에는 멋진 풍...
- 2021-01-29
-
- 악당의 행복은 행복인가?
- 만화영화에 나오는 악당은 여러 모로 행복한 사람의 특징을 갖추고 있다. 잘 웃는다. 세계정복 같은 뚜렷한 목표가 있다. 사람들(부하)을 신뢰하고 그들이 때...
- 2021-01-22
-
- 왜 한국만 '한국 나이'를 쓸까?
- 우리나라는 두 개의 나이가 있습니다. 일명 '한국 나이'와 '만 나이'가 그것이죠. 한국사람들은 태어나면 바로 한 살이 됩니다. 그리고 해가 바뀌면 한 살을 더 ...
- 2021-01-13
-
- 방으로 들어가는 히키코모리 vs 산으로 들어가는 자연인
- 사회생활을 거부하고 장기간 집안에만 틀어박혀 있는 사람을 일컫는 ‘히키코모리’는 일본의 대표적인 사회 현상입니다. 히키코모리는 1970년대부터 일본 사...
- 2021-01-08
-
- 문화 상대 주의의 딜레마
- 문화와 보편적 가치의 충돌 사실 좀더 일찍 썼어야 할 글입니다. 문화상대주의 다음에 바로 나왔어야 하고 "슈퍼맨은 왜 미국으로 갔을까"에 들어갔으면 좋았...
- 2020-12-30
-
- 행복으로 향하는 이정표는 영어로 돼 있다
- 플로우, 그릿, 스눕, 패션(passion), mindfulness, 휘게행복연구 분야에는 이런 개념들을 흔히 볼 수 있다. 서점 한구석에 확고하게 자리잡은 ‘행복’ 코너에는 이런...
- 2020-12-02
-
- 나라마다 다른 '변신'의 의미
- 변신(變身)이란 몸을 바꾼다는 뜻입니다. 사실상 사람이 몸이 바뀌는 일은 일어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세계의 여러 문화권에는 변신에 대한 다양한 신화와 전...
- 2020-11-18
-
- 비교는 나쁜 것인가
- 비교를 하면 행복해지지 않는다는 생각이 널리 퍼져있다. 이런 견해는 Lyuormirsky와 Ross(1997)의 연구에서 비롯되었으며 국내외를 막론하고 많은 연구들에서 지지...
- 2020-11-11
-
- 사주팔자는 미신인가?
- 사주.. 보러 가 보신 분 계십니까? 많이들 계실 겁니다. 하지만 누가 '사주 본 적 있냐?'고 물어보면 대답이 쉽게 안 나오지요. 사주 본 적 있다 하면 21세...
- 2020-10-30
-
- 선진국 콤플렉스(complex)
- 콤플렉스란 정신역동이론의 용어로서, 어떤 대상에 대한 여러 감정과 동기가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힘을 말합니다.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대표적...
- 2020-10-19
-
- 심리학이 의외로 주목하지 않는 인간의 속성
- 인간은 의미를 찾는 존재다. 자신이 한 행위에서 의미를 찾는 것은 호모 사피엔스의 특징이다. 인간은 이러한 능력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질서를 만들었고 이...
- 2020-10-13
-
- 문화는 코끼리다
- 문화를 이해하는 것은 개미가 코끼리를 이해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우리는 문화의 모든 면을 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 코끼리는 큽니다. 머리도 크고 몸도 크고...
- 2020-10-05
-
- 행복은 과정에'도' 있다
- 행복연구에는 행복은 빙(being)에 있지 비커밍(becoming)에 있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 있다. 영어실력과 관계없이 무슨 소린지 잘 와 닿지 않는 분들이 많으실텐데, ...
- 2020-09-24
-
- 일본은 왜 한국을 혐오할까?
- 서점의 한 코너를 가득 채우고 있는 ‘혐한’ 서적들, 거리에서 소리 높여 외치는 혐한 시위대, 공중파를 비롯한 방송과 언론에서 연일 이어지는 한국 ...
- 2020-09-15
-
- 한국인과 일본인의 심리적 차이
- 한국인과 일본인은 얼마나 다를까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십니까? 다른 점이 많다는 분들도 계시겠고 비슷비슷하다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사실 한국과 일본...
- 2020-09-03
-
- 신병(神病)의 심리학적 이해
- 신병(神病)은 무당이 될 사람들이 무당이 되기 전에 앓는 병입니다. 사람이 달나라에 가는 시절에 귀신이 뭐고 무당이 뭐냐고 생각하실 지 모르겠지만, 신병 sh...
- 2020-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