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조민서 ]



“오늘부터 다이어트할꺼야!”

“나 요번에 자격증 준비할꺼야!”

“이제 시험기간이니까 진짜로 공부할꺼야!”

 

대학생 A(24)씨는 취업을 준비하기 위하여 자격증 공부를 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주변 사람들에게도 알리며 더욱이 열심히 자격증 취득을 위해 노력한 A씨는 공부를 그만하고 싶을 때마다 사람들에게 ‘요번에는 자격증 꼭 취득할꺼야!’하며 말한 것이 생각나, 더욱이 열심히 공부하여 마침내 자격증을 취득하였다.

 

우리는 다이어트, 외국어 공부, 자격증 따기 등 각자 나름의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기 전, 자신의 계획이나 목표를 주변 사람들에게 말하고 다닌다. 우리는 왜 속으로 다짐하지 않고 주변 사람에게 나의 목표를 공개적으로 알리는 걸까. 이렇게 남들에게 말하고 다니는 것이 효과가 있을까?


 

 나 오늘부터 공부할 거야


어떤 사람에게 자신의 목표나 계획 등을 말하고 다니면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게 되는데, 이를 ‘떠벌림 효과(Profess Effect)’라고 한다. 실제로 이 효과는 검증된 심리 이론 중 하나로, 자신이 목표로 삼은 행동을 공개적으로 남들에게 알림으로써 자신이 한 말에 더 책임을 느끼고 약속을 더 잘 지키게 된다.

 

‘떠벌림 효과’는 1955년 도이치 박사와 제라드 박사가 실험을 통해 발표한 것으로 실험은 A,B,C 세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A집단에게는 자신들의 의견을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게 하고, B집단에게는 자신의 의견을 금방 지울 수 있는 글자판에 적어두게 하였다. C집단에게는 종이에 의견을 적고 서명하게 한 후 공개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얼마 기간 후 A집단은 24.7%, B집단은 16.3%가 본래 의견을 수정했으나, C집단은 5.7%만이 최초의 의견을 수정했을 뿐이었다. 실험을 진행하며 밝혀진 또 한 가지 흥미 있는 사실은 알리는 대중의 수가 많을수록 효과가 더 좋아졌다는 점이었다.

 

이처럼 ‘떠벌림 효과’는 자신의 목표를 널리 떠벌리며 그 사실을 알게 된 주변 사람들과 대대적인 암묵적 약속을 하는 것을 통해 목표를 향해 한발 한발 나아가는 실천에 도움을 둔다. 자신이 목표로 삼은 것을 공개적으로 표현하게 되면 자신이 한 말에 더 책임감을 느끼게 되어,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여 완성도를 높인다.

 

 떠벌림 효과는 왜 일어나는 걸까


첫째, 사람의 겉치레 심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발생한다.

타인에게 ‘괜찮은 사람’으로 보이고 싶어하는 욕구로, 누구나 크던 작던 겉치레를 가지고 있다. 즉, 자신이 생각했던 바를 아주 많은 타인에게 공표할수록 그것을 정정하면 실없는 사람이 될 가능성이 많아지기에 지키려는 노력이 더욱 커지게 되는 원리이다.

 

둘째, 감시 기능의 작동으로 발생

내적 감시로서 스스로에게 주어지는 자기검열로, 자신이 생각했던 바를 타인에게 이야기한다는 행위를 반복하는 것이 스스로 반하는 행위를 했을 때의 예민성을 향사시키는 원리이다. 또한 타인으로부터 자신의 행위가 관찰당하는 외적 감시로, 보통 타인의 시선을 더 신경쓰는 사람일수록 강하게 나타난다. 즉, 떠벌림 효과는 목표를 선언한 본인의 의지를 강화할 뿐만 아니라 주변인들이 목표달성을 위해 지원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셋째, 지지적 체계의 발동으로 발생한다.

사람은 한 번에 성공하는 경우보다 실패 후 원인을 분석하여 재도전하는 경우가 많다. 재도전을 할 수 있는 힘을 얻는 것은 주변 사람의 지지로부터 힘을 얻는 것이다.


 마무리하며



오프라 윈프리(Oprah Winfrey)는 ‘당신이 바라거나 믿는 바를 말할 때마다, 그것을 가장 먼저 듣는 사람은 당신이다. 그것은 당신이 가능하다고 믿는 것에 대해 당신과 다른 사람 모두를 향한 메시지다.’라며 스스로에게 한계를 두지 말라고 했다.

 

‘떠벌림 효과’로 인해 조금은 목표에 다가가기 쉽고, 완성도가 높아진다. 하지만, 단순하고 실천하기 쉬운 ‘떠벌리기’는 단지 가볍게 입으로 말하는 것만으로는 목표에 다가가기 부족하다. 제일 중요한 것은 ‘실천’, 그 속에서의 각오는 누구보다 굳게 다짐하고 명심해야 한다는 것을 잊지 않길

 

 

 

 

참고문헌

김진혁. (2024). [김진혁의 슬기로운 직장생활] 이루고 싶은 꿈을 외부에 알려라! 떠벌림 효과. 한국취업컨설트협회



※ 심리학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에 방문해서 확인해보세요!

※ 심리학, 상담 관련 정보 찾을 때 유용한 사이트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심리학, 상담 정보 사이트도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재미있는 심리학, 상담 이야기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10041
  • 기사등록 2025-04-25 08:21:3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