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손혁 ]


가끔, 게임을 하거나 운동을 하면서 지게 되면 너무나도 아쉬운 감정이 들 때가 있다. 막 게임 도중에도 실수 하나하나에 민감하게 반응하거나, 엄청난 집중력을 발휘하기 위해 몰두해서 게임을 진행한다. 그리고 이기고 나면 오는 쾌감은 행복하고 졌을 때 오는 절망감은 화가 나거나 슬프듯 부정적인 감정을 느낄 때가 있다. 사소한 게임 하나에 이렇게 큰 집중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영화 *퍼펙트 게임*의 함성을 지르는 장면

 

승부욕이란 이름의 검

승부욕은 경쟁 상황에서 승리를 추구하는 강렬한 욕구로 정의 된다. 강렬한 욕구라는 것은 장단점을 가지게 되는데, 승부욕의 경우 잘 이용되면 집중력과 예민한 감각 등을 주는 무기가 되지만, 잘못 사용되면 주변을 살피지 못하게 되고, 예민한 신경으로 인한 대인관계의 충돌을 유발하는 등 양날의 검과 비슷하다. 잘 이용된다면 좋지만, 언제나 과함과 실수를 주의해야 하는 마치 우리에게 주어진 잘 버려진 검이다.

 

상처를 입히는 검

이 검을 잘 못 휘두르면 어떤 결과가 나타날까? 과도한 승부욕은 스트레스, 비윤리적 행동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경쟁 상황을 집중하다 보면 속 안에 있는 내재 된 동기가 자극되는데, 이기고 싶다는 과도한 경쟁심이 긴장이 유발되고 불안이라는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이런 감정과 긴장은 최상의 수행을 할 수 있지 못하게 방해하는데, 이는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승부욕이 과하면 나의 정신에 휘두르는 검이 될 수도 있다.

 

나에게만 휘두르는 검이 아닌 타인에게도 이 검이 휘둘러지는데, 과도한 승부욕은 경쟁에서 규칙을 어겨서라도 이기고 싶다는 페어플레이 정신을 저해해 상대편과의 공정한 게임을 방해하는 요소로도 작용한다. 팀 게임에서도 승부욕은 팀과의 단합을 방해하기도 한다. 팀 내 경쟁이 높을수록 언어적 공격성이 높음과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가 있다. 이는 팀 내 경쟁이 관계갈등을 유기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승부욕이라는 검이 팀에게 휘둘러진 것이다.


팀내경쟁과 관계갈등의 관계에 대한 언어적 공격성의 조절 효과, 강규산, 탁진국. (2011)


발전시키고 지키는 검

승부욕이 나를 더욱 발전시키고 좋은 결과를 유도하기도 한다. 이기기 위해서는 포기를 하면 안 된다. 포기한 순간 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되면 포기하고 싶어지거나 질 것이라는 예측이 될 때가 있다. 승부욕은 이런 상황에서 포기를 하지 않고 최선을 다할 수 있는 자세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런 승부욕에 의한 포기하지 않음이 대한사격연맹에 등록된 사격 선수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마인드셋과 운동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에서의 목표는 이기는 것이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강한 의지와 열정이 필요할 때가 있다. 승부욕은 이런 의지와 열정을 채워주는 역할을 하기도 합는데, 태권도 선수들의 운동몰입과 관련된 연구에서는 대표선발전을 이기고 올라가겠다는 의지, 시합에서 이기겠다는 의지 등의 강한 의지를 내비치게 한다. 이런 승부욕이 의지를 불러일으키고 좋은 결과를 내기 위한 원동력이 되어 좋은 결과를 내비칠 수도 있다. 

 

우리가 다스려야 하는 검

승부욕은 어떻게 사용하고 어떤 상황에 적용하느냐에 따라서 다양한 효과를 만들어 낸다. 확실한 것은 강한 의지와 열정을 우리에게 주어진다는 것이다. 이것이 과한 것인지 아닌지를 잘 생각해야 한다.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서 우리는 많은 노력을 할 것이다. 승부욕도 마구 올라올 수 있다. 이것이 과한 것인지 아닌지 한번 생각해 보자. 적절한 승부욕으로 원하는 목표에 다가갈 수 있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1. 1) 한태영. (2013). 갈등관리에 대한 직무탈진의 영향.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7(2), 75-103.

  2. 2)윤원정. (2024).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8(4), 151-168.

  3. 3)강규산, 탁진국. (2011). 팀내 경쟁과 팀 몰입, 팀 만족의 관계: 관계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1), 157-181.

  4. 4)이대명. (2024). 사격선수의 승부근성과 마인드셋 및 운동성과의 관계. 코칭능력개발지, 26(7), 35-42



※ 심리학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에 방문해서 확인해보세요!

※ 심리학, 상담 관련 정보 찾을 때 유용한 사이트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심리학, 상담 정보 사이트도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재미있는 심리학, 상담 이야기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10049
  • 기사등록 2025-04-30 10:06:2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