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김하연]


영화 이터널 선샤인과 무의식의 영향

영화 이터널 선샤인에서는 조엘과 클레멘타인이 우연히 만나 사랑에 빠지는 장면이 등장한다. 그들은 함께 오랜 시간을 보내며 사랑을 나누지만, 끝내 다툼과 갈등에 지쳐 서로에 대한 기억을 지우기로 결심한다. 조엘과 클레멘타인은 서로를 잊고 새로운 삶을 살아가려 하지만, 결국 다시 만나게 되고, 다시 사랑에 빠지게 된다. 이 영화의 핵심적인 질문은, 기억이 지워졌음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이 다시 사랑에 빠질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그 답은 무의식의 영향에 있다. 의식적으로는 서로에 대한 기억을 모두 지워버렸지만, 그들의 무의식 속에서는 여전히 서로에 대한 애정과 끌림이 남아 있었다.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

이처럼 영화 속 이야기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의 의식에서 기억이 사라지더라도 무의식 속에 억제된 감정이나 기억은 여전히 남아 있을 수 있다. 이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에서 중요한 개념인 '무의식'과 깊은 관련이 있다. 프로이트는 정신을 의식, 전의식, 무의식으로 나누어 설명했으며, 그는 무의식이 우리의 행동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 프로이트의 이론에 따르면, 의식은 우리가 자각하는 부분에 해당하며, 이는 마치 물 위에 떠 있는 빙산의 10%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전의식과 무의식은 물 아래 보이지 않는 90%에 해당하며, 우리의 행동과 감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


                                                     ©SimplyPsychology


무의식의 억제된 욕망

프로이트는 무의식을 자각할 수 없지만, 그것이 인간의 행동에 중요한 동기를 제공한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우리가 의식적으로는 잊은 감정이나 기억이 무의식 속에 억제되어 있을 수 있으며, 그것이 우리의 행동이나 감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그는 무의식이 억압된 욕망이나 충동을 포함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현대 심리학에서는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이 과학적으로 검증되기 어렵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무의식이 모든 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무의식의 개념은 여전히 인간 행동을 이해하는 중요한 틀로 여겨지고 있다.


헨리 몰레이슨의 기억 상실과 무의식

프로이트의 이론이 비판을 받지만, 무의식의 영향을 잘 보여주는 사례 중 하나는 기억 상실 환자 헨리 몰레이슨의 사례이다. 헨리는 간질을 치료하기 위해 뇌의 감정을 조절하는 편도체와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의 3분의 2를 제거하는 수술을 받았다. 그 결과, 그는 새로운 정보를 30초 이상 기억하지 못하는 기억 상실 환자가 되었고, 매일 같은 신문을 읽으면서 매번 그것이 새로운 뉴스처럼 다가왔다. 또한 부모가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들을 때마다 처음 듣는 것처럼 서럽게 울곤 했다. 그는 의식적으로는 기억을 하지 못했지만, 그의 무의식에는 여전히 기억이 남아 있는 부분이 있었다.


절차적 기억과 무의식적 학습

그러나 그가 기억을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무의식적인 능력은 여전히 살아 있었다. 그는 '절차적 기억'이라는 무의식적인 학습 능력을 유지하고 있었던 것이다. 브렌다 밀너는 헨리에게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며 별을 그리도록 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는 자신이 이미 이 실험을 했다는 사실을 기억하지 못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별 그리기 수행 능력은 점점 더 향상되었다. 이는 의식적인 기억이 사라졌지만, 무의식적인 학습 능력은 여전히 남아 있다는 사실을 증명해주었다.


무의식의 지속적인 영향

헨리는 수술 후에도 집의 위치나 내부 구조를 그려낼 수 있었고, 부모의 죽음 같은 정서적으로 중요한 사건에 대해서는 그 기억을 어렴풋이 되새길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무의식이 우리의 행동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뇌과학자들은 헨리의 사례를 통해 해마가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과, 감정이 기억을 강화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는 의식적으로 과거의 기억을 떠올릴 수 없었지만, 그가 경험한 감정은 무의식 속에서 여전히 그를 영향을 미쳤다.


의식과 무의식의 상호작용

헨리의 사례는 무의식이 우리가 의식적으로는 기억하지 못하는 정보를 여전히 지니고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그는 의식적인 상태에서 벗어나 있었지만, 그의 무의식은 여전히 그의 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그는 매일 새로운 날을 살아가며, 과거를 되새기지 않고 미래에 대한 불안을 느끼지 않았다. 그러나 그의 무의식 속에 억제된 기억과 감정은 여전히 그에게 영향을 미쳤다. 헨리의 경우처럼, 무의식은 단순히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부분에 존재할 뿐만 아니라, 우리의 행동과 감정에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013 Sinauer Associates, Inc.


무의식에 대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

그러나 현재 무의식에 관한 연구는 아직도 충분히 진행되지 않은 상태이다. 무의식이 인간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무의식의 역할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신 분석학뿐만 아니라, 신경과학과 심리학을 결합한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무의식이 인간의 내면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은 인간 정신을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다.


결론: 영화와 현실에서의 무의식의 역할

영화 이터널 선샤인의 이야기는 결국 우리가 기억을 잃더라도 무의식 속에 남아 있는 감정이나 기억이 다시 드러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무의식이 우리 삶에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일깨워준다. 인간의 감정과 행동은 단순히 의식적인 결정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깊은 무의식 속에서 형성된 기억과 감정에 의해서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우리는 기억해야 한다.



*참고문헌

Scoville, W. B., & Milner, B. (1957). Loss of recent memory after bilateral hippocampal lesions.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20(1), 11–21.

Simply Psychology. (n.d.). The Unconscious Mind. Retrieved from https://www.simplypsychology.org/unconscious.html




※ 심리학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에 방문해서 확인해보세요!

※ 심리학, 상담 관련 정보 찾을 때 유용한 사이트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심리학, 상담 정보 사이트도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재미있는 심리학, 상담 이야기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10086
  • 기사등록 2025-05-09 08:26:1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