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진우
[한국심리학신문=채진우 ]
신체 완전성 정체성 장애(Body Integrity Identity Disorder, 이하 BIID)는 스스로의 신체 일부가 본인의 것이 아니라고 느끼거나, 특정 신체 부위를 제거하거나 마비시키고자 하는 강한 욕망을 느끼는 희귀 정신적 장애다.
이들은 신체적으로는 건강함에도 불구하고, 특정 팔다리나 감각 기능이 자신의 정체성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인식한다.
이러한 인식의 괴리는 개인의 삶에 극심한 고통과 불편을 초래하며, 때로는 자해 또는 불법적인 방법으로 원하는 신체 상태를 만들려는 행동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BIID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나뉜다:
절단 지향형(Amputation type): 자신이 특정 팔이나 다리가 없는 상태로 존재해야 한다고 믿는다. 많은 환자들이 해당 신체 부위가 마치 "자신의 것이 아닌 이물감"처럼 느껴진다고 표현한다.
마비 지향형(Paralysis type): 특정 부위가 마비되어 있어야 본래의 자아와 일치한다고 느끼며, 일부는 실제로 스스로 신경을 손상시켜 마비 상태를 유도하기도 한다.
감각 상실 지향형(Sensory loss type): 청각, 시각 또는 촉각 등의 감각을 잃는 것을 원하는 경우도 있다.
BIID는 오랫동안 정신질환의 범주로 여겨져 왔으나, 최근 들어 성 정체성 장애나 트랜스젠더 정체성과 유사한 정체성 장애로 바라보려는 시도도 있다.
특히 BIID를 경험하는 사람들은 “현재의 신체가 자신의 진짜 자아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성전환자들이 겪는 성별 불일치 감정과 유사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BIID는 아직 국제질병분류(ICD)나 미국 정신의학회(DSM)에서 공식 진단명으로 확립되지 않았으며, 신경학적 기원과 심리적 요인을 모두 고려해야 하는 복잡한 상태로 분류되고 있다.
BIID의 명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가설들이 제시되고 있다:
신경학적 가설: 뇌의 체성 감각 영역(somatoparietal cortex)에서 신체 지도(body map)가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즉, 뇌가 특정 부위를 ‘내 몸의 일부’로 인식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심리적 가설: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 특정 장애인을 본받고자 했던 기억, 혹은 타인의 동정을 받고자 하는 욕구가 잠재적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
BIID 환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상태, 즉 절단되거나 마비된 상태에 도달하지 못하면 극심한 스트레스와 불안을 호소한다.
하지만 의료계에서는 건강한 신체를 의도적으로 손상시키는 외과 수술을 금기시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BIID 환자들은 공식적인 치료를 받지 못한 채 고통 속에 살아가고 있다.
현재까지 BIID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으며, 주로 다음과 같은 방식이 시도되고 있다:
인지행동치료(CBT): 환자가 자신의 신체와 정체성을 일치시키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정신치료 접근법.
항우울제/항불안제 투여: BIID로 인한 우울, 불안 증상을 경감시키기 위한 보조적 치료.
경계적 수술적 접근 논의: 일부 의료윤리 전문가들은 제한적인 조건 하에서 절단 수술을 허용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여전히 큰 논란거리다.
BIID는 아직 대중에게 거의 알려지지 않은 장애로, 많은 사람들이 이를 단순한 변태나 이상 심리로 간주하곤 한다. 이로 인해 BIID 환자들은 가족과 사회로부터의 이해 부족, 자책, 고립, 우울 등의 이중적 고통을 겪는다.
또한 의료 제도와 법적 체계 역시 BIID를 장애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환자들은 적절한 지원을 받기 어렵다. 일부 국가는 신체 절단 수술을 법적으로 금지하고 있으며, 이는 환자들이 비의료적 방식으로 위험을 감수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신체 완전성 정체성 장애는 인간이 ‘자기 자신’이라고 느끼는 감각, 즉 자아정체성과 신체적 실재 사이의 간극에서 비롯된 복합적 문제다. 단순히 병리적인 시각만으로는 이해할 수 없으며, 보다 폭넓은 심리학적, 철학적, 윤리적 성찰이 요구된다.
향후 BIID에 대한 더 많은 연구와 사회적 논의가 이루어져, 이들이 고립과 고통에서 벗어나 보다 인간적인 방식으로 자신을 실현할 수 있는 길이 열리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Martin, T., (2024). What Is Body Integrity Identity Disorder?. Retrieved from: https://www.webmd.com/mental-health/what-is-body-integrity-identity-disorder.
※ 심리학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에 방문해서 확인해보세요!
※ 심리학, 상담 관련 정보 찾을 때 유용한 사이트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심리학, 상담 정보 사이트도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재미있는 심리학, 상담 이야기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appinessxingfu@naver.com
아주 가끔 내 몸이 나의 의지대로 움직인다는 것 자체가 신기하고 이상하게 느껴질 때가 있었는데, 여기서 더 심화되면 BIID로 이어진다는 것도, 그러한 장애가 있다는 것도 처음 알았네요. 자아의 확장이 신체에 국한되지 않는 경우를 드러내는 걸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