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신연우 ]




Flashbulb memories – why do we remember learning about dramatic events so  vividly?



감정이 기억에 남는 이유


플래시벌브 기억 이론은 브라운과 컬릭(Brown & Kulik)이 1977년에 처음 제안한 개념으로, 놀랍고 감정적으로 강한 사건을 처음 들었을 때의 상황에 대한 생생하고 구체적인 기억을 의미한다. 기억은 정보를 부호화하고 저장하며 인출하는 인지 과정이다. 브라운과 컬릭의 이론은 감정이 수반된 기억이 일반적인 기억보다 더 정확하고 생생하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하며, 이는 감정적 각성 상태에서 작동하는 특수한 신경 메커니즘 때문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특수 메커니즘 가설’이란 무엇인가


그들은 이를 '특수 메커니즘 가설(special-mechanism hypothesis)'이라 명명하였으며, 이 가설에 따르면 임계치를 넘는 놀라움과 감정이 촉발되면 그 순간의 세부사항과 주변 상황이 뇌에 영구적으로 각인된다고 본다.


플래시벌브 기억을 입증한 실험


브라운과 컬릭은 이 이론을 뒷받침하기 위해 1977년, 놀랍고 개인적으로 의미 있는 사건이 플래시벌브 기억을 유발하는지를 조사하고자 자가 보고 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들은 40명의 흑인 남성과 40명의 백인 남성 미국인을 대상으로, 존 F. 케네디 대통령, 마틴 루터 킹 목사 등 9명의 공적 인물의 사망 소식과 개인적으로 알던 인물의 사망에 대해 질문하였다. 참여자들은 당시 자신이 어디에 있었는지, 누구와 있었는지,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어떻게 소식을 들었는지, 어떤 감정을 느꼈는지, 그 사건이 얼마나 개인적으로 중요한지, 그리고 이후 그 사건에 대해 얼마나 자주 이야기했는지 등에 대해 답하였다.


생생하게 남은 그날의 기억들


연구 결과, 90%의 참여자가 해당 사건이 일어난 날에 대한 상당한 세부 사항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특히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에 대해서는 매우 구체적인 기억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공적 인물의 암살에 대한 기억에서는 참여자의 인종과 개인적 관련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예를 들어, 흑인 참여자의 75%는 마틴 루터 킹의 죽음을 플래시벌브 기억으로 보고한 반면, 백인 참여자 중에서는 33%만이 동일하게 응답하였다.


감정은 인지 과정을 어떻게 바꾸는가


이 연구는 감정이 기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잘 보여준다. 브라운과 컬릭의 연구 결과는 개인적으로 중요한 사건이자 놀라운 사건일수록 기억이 더욱 생생하고 상세하게 저장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흑인 참여자들이 마틴 루터 킹의 암살 사건을 백인 참여자보다 더 자세히 기억한 것은 해당 사건이 그들에게 더 큰 개인적 의미와 감정적 충격을 주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는 감정이 인지 기능, 특히 기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한다.


잊히지 않는 기억, 그리고 그 의미


우리가 기억하는 사건은 단순한 정보 그 자체가 아니라, 그 순간에 느꼈던 감정과 함께 저장된 경험의 조각이다. 브라운과 컬릭의 연구는 기억이란 단순한 기록 장치가 아니라, 감정과 함께 살아 숨 쉬는 인지적 구조임을 보여준다. 감정은 기억을 단단히 묶는 접착제와도 같으며, 우리의 정체성과 세계관 형성에 깊숙이 관여한다.


물론 이후의 연구들은 플래시벌브 기억이 항상 정확한 것은 아니며, 시간이 지나면서 왜곡되거나 과장될 수 있음을 지적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왜 어떤 기억은 잊히지 않는지를 설명하려는 심리학적 시도를 통해 인간의 기억이 단순히 ‘기억력의 문제’가 아니라, 감정과 정체성이 얽힌 복합적인 심리 현상임을 이해하게 된다.



참고문헌

  • Brown, R., & Kulik, J. (1977). Flashbulb memories. Cognition, 5(1), 73–99. https://doi.org/10.1016/0010-0277(77)90018-X

  • McGaugh, J. L. (2003). Memory and Emotion: The Making of Lasting Memories. Columbia University Press.

  • Sharot, T. (2011). The Optimism Bias: A Tour of the Irrationally Positive Brain. Pantheon.

  • Kensinger, E. A. (2009). Emotional Memory Across the Adult Lifespan. Psychology Press.


  • ※ 심리학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에 방문해서 확인해보세요!

    ※ 심리학, 상담 관련 정보 찾을 때 유용한 사이트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심리학, 상담 정보 사이트도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재미있는 심리학, 상담 이야기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10334
  • 기사등록 2025-07-11 08:25:2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