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이유나A ]


상대평가는 학생들의 학업 성적을 상대적인 순위나 비율에 따라 평가하는 방식으로, 절대평가에 비해 훨씬 더 심리적 부담과 부정적 영향을 유발한다. 이는 경쟁 구조가 내재된 평가 시스템이 개인의 자아 존중감, 대인관계, 학업 동기까지 광범위하게 훼손하기 때문이다. 상대평가의 심리적 영향은 크게 정체성 혼란, 과열된 경쟁에 의한 관계 변질, 만성적 불안과 좌절감, 등급의 내면화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는 단순한 성적 비교를 넘어 삶의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자아상을 형성한다.



정체성 혼란과 부정적 자아상 형성




상대평가는 학생들이 자신의 가치를  등급으로 환원시키도록 유도한다. 고등학생들은 첫 내신 성적표를  받으며  "등급 확인의 충격"을 경험하는데, 이는 성적이 낮을 경우 자신의 능력과 미래에 대한 희망을 상실하게 만든다. 전희정, 손호양, 우주영(2019)의 '고등학생이 경험하는 내신제도와 상대평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에 따르면, 학생들은 "등급이 곧 인생의 징표"라고 믿게 되며 , 개성 대신 등급으로 자신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일부 학생은 "들러리 서는 기분"이라 표현하며, 학업 성적이 우수한 학생조차 "소외감"을 느낀다. 이러한 현상은 절대평가에서는 개인의 성장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상대평가는 타인과의 비교를 강제해 정체성 혼란을 가속화한다.



경쟁적 대인관계와 사회적 고립


상대평가는 동료를  경쟁자로 인식하게 만든다. 고등학생들의 71%가 "친구와의 관계가 서열 경쟁으로 변질되었다"고 응답했으며, 이는 협력보다 경쟁을 우선시하는 환경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한다. 터키의 사례에서도 상대평가 도입 후 학생들이 동료의 실패를 바라며 지식 공유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수한 성적을 받은 학생들은 오히려 집단에서 소외되며, 이는 "능력 기반 사회비교"가 부정적 정서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반면 절대평가는 개인의 목표 달성에 집중하도록 해 경쟁적 관계를  완화한다.



만성적 스트레스와 학업 동기 상실


상대평가 체제에서는 작은 실수도 등급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어 학생들이 지속적인 불안에 시달린 다. 연구 참여자 중 63%가 "시험마다 등급이 떨어질까 봐 두려움"을 호소했으며, 이는 수면 장애나 위장 장애와 같은 신체 증상으로까지 이어진다. 또한, "노력해도 등급이 오르지 않는다"는 인식이 팽배해 학업 동기가 급격히 저하된다. 절대평가가 개인의 발전을 인정하는 반면, 상대평가는 고정된 등급 비율로 인해 학생들이 "벽에 부딪힌 듯한" 좌절감을 경험한다.



등급의 내면화와 장기적 영향




상대평가는 단순한 성적 평가를 넘어 학생들의 심리 구조 자체를 변화시킨다. 내신 등급이 주홍글씨처럼 가슴에 새겨져 우울감, 낙담, 패배감이 일상화된다. 이는 성인기에도 지속되어, SNS에서의 사회비교 경향성과 연결될 때 우울증이나 불안 장애 위험을 높인다. 특히 상향 대조 비교를  하는 학생들은 자신의 부족함을 과도하게 인식해 자아존중감이 저하된다. 반면 절대평가는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해 개인의 약점을 개선할 기회를  준다.



끝맺음


상대평가가 절대평가보다 심리적으로 힘든 이유는 비교의 강제성에 있다. 상대평가는 학생들로 하여금 끊임없이 타인과 자신을 측정하게 하며, 이 과정에서 정체성, 관계, 동기까지 구조적으로 훼손한다. 절대 평가가 개인의 성장과 목표 달성에 초점을 맞춘다면, 상대평가는 "한 줄 세우기"를  통해 다수를  낙오자로 만드는 시스템이다. 교육 정책은 등급 중심의 평가를 탈피해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과 협력적 학습 환경을 조성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출처

1. 상대평가는 학생을 어떻게 좌절시키나?.[드림 투데이]. (2023). 

https://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36036

2. 전희정, 손호양, 우주영. (2019). 고등학생이 경험하는 내신제도와 상대평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 학회지: 학교, 16(3), 401-431.

3. 상대평가는 배움의 걸림 돌인가?. [Brunch] (2023). https://brunch.co.kr/@2woowhypi/267

4. 성적평가 방식을 평가하다.[국민대신문]. (2020). 

https://press.kookmin.ac.kr/news/articleView.html?idxno=13346



※ 심리학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에 방문해서 확인해보세요!

※ 심리학, 상담 관련 정보 찾을 때 유용한 사이트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심리학, 상담 정보 사이트도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재미있는 심리학, 상담 이야기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10368
  • 기사등록 2025-06-19 08:29:0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