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민서
[한국심리학신문=조민서 ]
A씨(32)는 소개팅을 통해 만난 사람과 첫 데이트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이었다. 대학에서 문학을 전공하고 출판사에서 일하는 A씨는 같은 출판계에서 편집자로 일하는 민수와 대화를 나누며 놀라웠다. 좋아하는 작가가 비슷했고, 주말에 독립서점을 돌아다니는 취미도 같았다. 심지어 인생의 목표도 비슷했다.
"너무 신기해요. 마치 제 생각을 읽는 것 같았어요." A씨는 친구에게 전화로 말했다. "우리가 이렇게 비슷할 줄이야..."
스타트업에서 개발자로 일하는 B씨 몇 번의 데이트 앱 경험 끝에 회의감을 느끼고 있었다. "대화가 전혀 통하지 않아요. 제가 코딩과 기술 이야기를 하면 상대방은 눈을 (glazed over) 하고, 그들이 관심 있는 주제는 저에겐 전혀 흥미가 없고..." 그러던 중 회사 동료의 소개로 만난 사람인 C씨는 달랐다. IT 분야에서 일하는 C씨는 B씨의 기술적 열정을 이해했고, 두 사람은 첫 만남에서 세 시간 동안 인공지능의 미래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이 두 가상의 사례는 심리학에서 말하는 '걸맞추기 원리(Matching Principle)'를 잘 보여준다. 우리는 일상에서 종종 "유유상종"이라는 말을 듣는다. 비슷한 수준이나 성격의 사람들이 서로 어울린다는 의미인데, 이 속담에는 심리학적 진실이 담겨 있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걸맞추기 원리(Matching Principle)'라고 부르며, 특히 연애와 결혼 관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유사성이 끌어당기는 힘
인간관계의 기본 원리 중 하나는 '유사성의 매력'이다. 로버트 치알디니(Robert Cialdini)의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자신과 비슷한 특성을 가진 사람들에게 자연스럽게 끌리는 경향이 있다. 이는 단순한 취향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의 심리적 메커니즘에 깊이 뿌리내린 현상이다.
심리학자 로버트 치알디니의 연구에 따르면, 대학생들의 데이트 선택을 분석했을 때 자신의 매력 수준과 비슷한 상대를 선택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이는 단순히 '최대한 매력적인 사람'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과 어울리는 수준'의 사람을 선택하는 현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유사성은 관계의 시작부터 지속, 그리고 발전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연인 관계나 결혼에서는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연애와 결혼에서의 유사성
'걸맞추기 원리'는 로버트 치알디니(Robert Cialdini)와 같은 심리학자들이 연구한 개념으로, 사람들이 연애와 결혼 관계에서 자신과 '어울리는(matching)' 상대를 선택하는 경향을 설명한다. 이는 단순히 외모의 매력도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위, 지능, 교육 수준 등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난다.
심리학자들은 수많은 커플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대부분의 장기적인 관계가 여러 차원에서 '비슷한 수준'의 사람들 사이에서 형성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설명할 수 있다.
1. 상호 이해와 공감의 용이성
비슷한 배경과 경험을 가진 사람들은 서로를 더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같은 문화권에서 자란 두 사람은 명절의 의미나 가족 행사의 중요성에 대해 별도의 설명 없이도 서로를 이해할 수 있다.
2. 일상적 갈등의 감소
가치관이나 생활 방식이 유사할수록 일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이 줄어든다. 소비 습관, 자녀 양육 방식, 여가 시간 활용법 등에서 유사한 견해를 가질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3. 사회적 네트워크의 통합
유사한 배경을 가진 파트너들은 서로의 사회적 네트워크에 더 쉽게 융화될 수 있다. 이는 관계의 안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4. 자기 확인(Self-verification)의 욕구
인간은 자신의 자아상을 확인받고 싶어하는 심리적 욕구가 있다. 유사한 특성을 가진 파트너는 이러한 자기 확인 욕구를 충족시켜 줄 가능성이 높다.
걸맞추기 원리의 현대적 적용
현대 사회에서 걸맞추기 원리는 온라인 데이팅 알고리즘에도 적용되고 있다. 많은 데이팅 앱들이 사용자의 가치관, 취향, 생활 방식 등을 분석하여 유사한 성향의 사람들을 매칭시키는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또한 이 원리는 자기 인식과 관계 발전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자신의 가치관과 우선순위를 명확히 이해함으로써, 보다 적합한 파트너를 찾고 만족스러운 관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유사성은 관계의 기반이다
걸맞추기 원리는 단순한 관찰이 아닌, 인간관계의 형성과 유지에 관한 중요한 심리학적 통찰을 제공한다. 우리가 누구에게 끌리고, 누구와 장기적인 관계를 형성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물론 관계의 성공은 유사성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상호 존중, 효과적인 의사소통, 갈등 해결 능력 등 다양한 요소가 함께 작용한다. 그러나 기본적인 유사성은 이러한 관계 기술이 발휘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준다.
결국 속담이 말하듯 '유유상종'은 단순한 관찰이 아닌, 인간관계의 심리적 메커니즘을 담고 있는 지혜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다. 걸맞추기 원리를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자신의 관계 패턴을 더 깊이 이해하고, 보다 만족스러운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Cialdini, R. B. (2009). Influence: Science and practice (5th ed.). Pearson Education.
Finkel, E. J., & Eastwick, P. W. (2008). Speed-dating.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7(3), 193-197.
Mare, R. D. (1991). Five decades of educational assortative mating.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6(1), 15-32.
Schwartz, C. R. (2013). Trends and variation in assortative mating: Causes and consequences. Annual Review of Sociology, 39, 451-470.
※ 심리학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에 방문해서 확인해보세요!
※ 심리학, 상담 관련 정보 찾을 때 유용한 사이트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심리학, 상담 정보 사이트도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재미있는 심리학, 상담 이야기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whalstj668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