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심리학신문=신용욱 ]

▶ 신청하기 국민 마음건강을 위한 심리·상담서비스 법제화 토론회 (7/2(수) 14:00) 존경하는 한국상담학회 회원 여러분께 안녕하십니까. 어느덧 2025년 한 해의 절반이 지나고 본격적인 장마와 무더위의 계절이 찾아왔습니다. 학회는 여러 학회원님들의 관심과 지원에 힘입어상단협을 포함한 상담 단체들과 힘을 모아 “상담 서비스 법제화”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간의 노력으로 2024년도부터는 “전국민 마음투자지원사업”에도 민간자격으로 그 역량을 인정받아 참여하는 등 다양한 사회적 위상 확보와 전문가로서의 역할에도 참여하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현재 22대 국회에는 “온국민 마음 건강을 위한 전문상담서비스 법안”(이개호의원 대표 발의)이 발의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국민 마음건강 돌봄과 훈련된 전문상담사의 권익 증진이라는 같은 목적의 공익적 입법 활동들이 더욱 활발하게 실천될 때에 법제화의 가능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러한 시기에 상담 법제화를 위한 간절함으로, 또 하나의 몸부림을 시작하며 학회원님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한 중요한 행사가 예정되어 있어서 다음과 같이 안내 말씀을 드립니다. 2025년 7월 2일(수) 오후 2시에 “국민 마음건강을 위한 심리·상담서비스 법제화 토론회”가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개최됩니다. 이번 토론회는 “전국민 마음투자지원사업” 지원을 위해 시작된 협력을 통해, 우리 학회와 (사)한국심리학회가 공동으로 주관하여 개최되는 특별한 행사입니다. 또한 국회의원 남인순, 김예지 의원실과 함께 국회입법조사처에서 주최하는 행사로 정부와 국회에는 물론이고, 대외적으로도 우리 심리·상담 법제화 필요의 당위성과 구체적인 의견들을 큰 목소리로 낼 수 있는 중요한 행사입니다. 이번 토론회가 개최되는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은 500석의 대규모 행사장으로, 이런 큰 행사는 우리 학회의 열정과 단결력을 보여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학회원 여러분, 심리상담 법제화를 위해 적극적인 실천이 필요한 이 때에, 7월 2일 모두 국회로 오셔서 우리 한국상담학회의 단합된 힘을 보여주십시오. ▶ 행사명 : 국민 마음건강을 위한 심리·상담서비스 법제화 토론회 ▶ 일 시 : 2025. 7. 2.(수) 14:00-16:00 ▶ 장 소 :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 ▶ 주 최 : 남인순 의원실 · 김예지 의원실 · 국회입법조사처 ▶ 주 관 : 마음건강 법제화 포럼, 국회입법조사처 ▶ 비 용 : 무료 (선착순 200명) * 본 행사는 무료 행사로 10원은 입금하지 않아도 됩니다. * 신청 및 확인 방법: 신청하기 클릭 - "등록 클릭" 후 "결제하기"가 나오면 "행사 신청내역"으로 이동 - [모학회] 국민 마음건강을 위한 심리 상담 서비스 법제화 토론회 신청 목록에 나오면 완료.
▶ 학회 수련 인정 : - 자격검정 취득 요건 [ 연수/학술모임 2시간 인정 ] - 회원유지 요건 [ 학술행사 참여 1회 인정 ] ▶ 사전 참가 신청 기간 : 2025. 6. 30.(월)까지 ※ 유의 사항 : 이번 토론회는 대면행사로만 진행되며, 반드시 신분증을 지참하셔야 합니다. 또한 국회의원회관 출입증 수령 절차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오니, 행사 1시간 전에 도착하셔서 안내를 받으시기를 당부드립니다.
※ 추가 공지 : 7월 15일(화) 오후 2시에 이개호 의원실(“온국민 마음 건강을 위한 전문상담서비스 법안” 대표발의) 주최 『“전문상담서비스 법률안” 제정을 위한 공동 토론회』개최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추후 공지 예정)
![[한국상담심리학회] 법제화위원회 국회토론회_세로형a_v5_outline_1.png](/data/cheditor4/2506/39b6f5413263249ee70e66369ae2f3ba82afc0d7.png)
|
|
※ 자세한 사항은 학회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상담학회: https://counselors.or.kr/
출처 : 한국상담학회
저희 The Psychology Times에서는 다양한 학회 소식을 제공해 드리고 있습니다. 상담, 심리 분야에 관심 있는 분들께 유용한 정보가 되기를 바라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각 학회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심리학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에 방문해서 확인해보세요!
※ 심리학, 상담 관련 정보 찾을 때 유용한 사이트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심리학, 상담 정보 사이트도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재미있는 심리학, 상담 이야기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