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이건우 ]


스포츠에서의 루틴은 선수가 최상의 컨디션과 완벽한 수행을 위해 의식적이거나 무의식적으로 반복하는 동작이나 절차를 의미한다. 선수들은 자신만의 루틴을 수행하는 것이 심리적으로 안정되고 원하는 경기력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선수들의 다양한 루틴


라파엘 나달(Rafael Nadal Parera)은 21세기 최고의 남자 테니스 선수로 손꼽힌다. 무려 20년 가까이 테니스계의 정점에 있었으며 단식 통산 전적은 1,080승 228패로 승률이 무려 82.6%나 된다. 전설적인 테니스 선수 나달의 높은 승률 뒤에는 독특한 경기 루틴이 있다. 무려 12가지나 되는 루틴인데 국내에서는 이런 나달을 보고 ‘루틴 부자’라고 부르기도 한다.

 나달의 12가지 루틴/사진=중앙일보

 

나달은 모든 경기에서 12가지나 되는 루틴을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수행한다. 2015년 호주 오픈 4회전 경기 도중 상표가 코트를 향하도록 놓인 물병이 바람에 의해서 쓰러지는 일이 생겼다. 그러자 볼키즈가 달려가 물병을 다시 세워주며 나달이 경기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도 했다. 이 장면은 관중들을 웃게 했으며 나달의 개인적인 루틴이 경기를 보는 모든 이들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 외에도 축구선수 손흥민의 루틴 오른발부터 경기장 딛기, 잔걸음으로 지그재그로 뛰기나 야구선수 윤동희의 루틴 배트를 쭉 긋는 동작같이 선수들은 자신만의 다양한 루틴이 존재한다.


윤동희(롯데 자이언츠) 선수의 타격 루틴과 따라하는 롯데 팬/사진=SBS Sports

 

나달은 자신의 루틴에 대해 “미신이 아니다. 머릿속을 정돈해 경기에 집중하는 데 도움을 준다. 내가 이기는 비결”이라고 말하며 자신이 원하는 완벽한 경기를 위한 루틴의 필요성과 앞으로 치를 경기에 대한 자신감을 표출했다.

 

하지만 이러한 루틴이 과도해지면 망상장애와 행동 강박을 초래하기도 한다. 루틴을 정상적으로 수행하지 못했을 경우 스트레스를 받으며 불안 증세를 보이고 루틴을 정상적으로 수행해야 한다는 강박적 사고에 빠져 수행에 차질이 생기며 다른 행동 강박 장애로 발전할 위험성도 있다.

 


루틴과 강박


게임 ‘리그오브레전드’의 프로게이머 ‘폰’(허원석)은 경기 전에 하는 세팅 강박증으로 인해 선수 생활을 은퇴하기도 하였다. 폰(허원석)은 모니터와 키보드 사이의 거리와 높이, 의자의 상태가 자신의 마음에 정확하게 들지 않으면 게임을 할 수 없고, 정신과 병원에 다녀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아 은퇴를 결정했다고 전했다.


모니터의 높이를 자로 재는 폰(허원석)/사진=DAILY eSPORTS


또한 전설적인 축구 스타 데이비드 베컴도 청결 강박과 대칭 강박을 앓고 있다고 고백했다. 그는 옷장의 옷을 색깔별로 정렬하고 일주일간 입을 옷을 미리 정리 해두어야 마음이 안정된다고 했다.

 

이렇게 선수들의 루틴은 정신적인 안정감과 신체 능력에 도움을 주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하지만 과도해지면 선수 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과거에는 강박 장애의 원인을 심리학적 요인에 근거하여 설명하려는 노력이 많았으나 최근 약물 연구 및 뇌 영상 연구들은 생물학적 요인이 강박 장애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뇌의 신경전달 물질인 세로토닌과의 연관성인데 세로토닌 시스템에 작용하는 약물들이 강박 장애 치료에 뚜렷한 효과를 보였고, 뇌 영상 연구가 강박 장애에서 특정 신경 회로 영역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선수들에게 있어서 루틴과 행동 강박 장애는 종이 한 장 차이이다. 원하는 경기력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자신만의 비결이 될 수도 있지만 지나치게 의존할 때는 자신을 옭아매는 족쇄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선수들은 자신만의 루틴을 건강한 범위 내에서 유지하며 루틴과 자유 사이에서 균형을 찾는 노력 또한 필요하다.



참고문헌

1) 서울대학교병원 [https://www.snuh.org/main.do]. (https://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42)

2)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main.do].(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32)

3)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83268)

4) 코메디닷컴 [https://kormedi.com/]. (https://kormedi.com/1625430/)

5) 김문일. (2021). 융합카페 강박증 (OCD). 진공이야기, 8(3), 34-38.


※ 심리학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에 방문해서 확인해보세요!

※ 심리학, 상담 관련 정보 찾을 때 유용한 사이트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심리학, 상담 정보 사이트도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재미있는 심리학, 상담 이야기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10627
  • 기사등록 2025-07-21 08:32:3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