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다연
[심리학 신문_The Psychology Times=양다연 ]
'짱구는 못말려'의 떡잎마을 방범대(왼쪽부터 차례대로 맹구, 유리, 짱구, 철수, 훈이)
날씨가 더워지면서 동네에서 소리를 지르고 뛰어 노는 아이들이 많아졌음을 실감한다. 아이들은 가끔 줄넘기를 하기도 하고, 어떤 때는 김장용 대야에 물을 받아 마당이나 집 앞 골목에서 물놀이를 하기도 한다. 그럴 때면 동네의 골목이 물로 흥건해지는데, 어린 아이들을 보기 힘들어진 요즈음 그렇게라도 주변에 동심이 남아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어 기쁘기도 하고, 그 좁은 대야에서 몇 시간 동안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아이들이 부럽기도 하다. 동네의 아이들을 보고 있자면 '어린이'라는 말이 가장 잘 어울리는 '짱구는 못말려' 속 다섯 명의 떡잎마을 방범대가 떠오른다. 과거와 미래에 대한 생각 없이 오직 지금 이 순간만을 재미있게 즐기는 것 같아 보이는 우리 동네의 어린이들이 짱구와 친구들을 연상시킨다. 이러한 어린이들의 모습은 어른들이 동심에 대해 향수를 느끼게 한다.
그렇다면 무엇이 어른들로 하여금 어린 시절을 그리워하도록 만드는 것일까? 그 '동심'이라는 것의 핵심은 무엇일까? 주인공 짱구의 모습을 생각해보면 이유를 짐작해볼 수 있다. 세상물정 모르는 천진난만함과 가끔은 어이없지만 그렇기에 귀여운 짱구의 행동은 영락없는 아이의 모습이다. 그러한 모습은 어른들에게는 결코 다시 건널 수 없는 강 저편에 있는 존재일 것이다. 자신의 어린 시절과 영원이 이별을 해야만 했다는 사실이 어린이에 대한 무한한 너그러움과, 사랑, 그리고 그리움을 낳은 것은 아닐까? 이번 기사를 통해 짱구와 함께 '짱구는 못말려'를 빛낸 철수, 유리, 훈이, 맹구의 행동을 통해 어린이의 심리에 대해 더 알아보고자 한다.
잘난척의 정석, 철수
철수는 떡잎마을 방범대의 브레인 역할을 한다. 그렇기 때문인지 철수가 가장 많이 하는 행동은 '잘난척'이다. 스위스의 심리학자인 피아제(Jean Piaget)는 인지발달 과정을 4단계로 나누었는데, 5세인 철수는 2세부터 6세에 해당하는 '전조작기' 단계에 있다. 그리고 피아제는 이 단계에서 나타나는 주요 특징 중 하나가 '자기중심성'이라고 말한다.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로는 '세 개의 산' 실험이 있는데, 다르게 생긴 세 개의 산 모형을 아이와 인형 가운데에 놓고 아이에게 맞은편의 인형에게 보일 산의 모습을 설명하라고 하면 자신이 보는 것과 같은 모습을 묘사한다는 내용의 실험이다. 따라서 이 시기의 아이들은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사물과 현상을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하고, 철수와 같이 주변을 자기중심적으로 해석하고 그로부터 타인과 자신을 분리시킨 발언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아이에게 이타성을 길러주는 것이 필요한데, 나이가 듦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타성이 생긴다는 이론과 나이와 이타성의 상관 관계는 없다는 이론이 대립을 하고 있기는 하나, 아이들이 자신의 것을 타인과 나누도록 하거나 타인을 위한 행동을 하도록 교육해야한다. 특히, 아이들은 보이고 만져지는 자신의 '소유물'을 나누는 것보다 시간, 노력 등 보이지 않는 것을 나누는 것이 나의 이득을 헤치지 않으면서도 타인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이라고 인식한다. 따라서 아직 자신의 물건을 타인과 나누는 것이 서투른 아이에게는 친구를 위해 종이비행기를 접어준다든가, 편지를 써주는 등의 활동을 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파이터의 정석, 유리
유리는 다섯 아이들의 홍일점으로, 네 남자아이들보다 더 성숙하고 재빠른 사고를 할 때가 많다. 하지만 유리가 보이는 이상 행동이 하나 있는데, 화가 날 때마다 자신이 평소 가지고 다니는 큰 토끼 인형을 때리는 행위이다. 이는 유리의 어머니 때부터 시작된 습관인데, 두 모녀는 기분이 좋지 않으면 토끼 인형을 주먹으로 때림으로써 화를 푼다. 대부분 가정의 주양육자가 어머니라는 점을 고려하면 유리의 이러한 공격적 행동의 가장 큰 원인은 어머니임을 알 수 있다. 그렇기에 유리의 공격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어머니의 공격적 행동이 먼저 해결되어야 한다. 하지만, 엄성애, 박성연에 따르면 공격성은 가정에서보다 유치원, 어린이집 등의 보육 상황에서 더욱 문제가 된다. 왜냐하면, 유리의 경우는 어머니가 먼저 공격적 행동을 시작했다는 특이 사항이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아이들의 공격성은 부모님 앞에서보다는 부모님이 없는 유치원, 놀이터 등에서 나타나기 때문이다. 교사가 가장 어렵다고 지적하는 아이들의 문제 행동도 바로 공격성이 나타나는 행동이다. 따라서, 교사는 보육 시설 등에서 영유아와의 친밀한 관계를 쌓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윤수정에 따르면 교사와 영유아간의 관계가 친밀할수록 아이의 자기 통제와 공격성 조절 능력이 높아진다. 영유아 시기에 나타나는 공격성을 고치지 않으면 이것이 학교에 들어가서도 지속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또래 친구들에게 부정적인 거부 반응을 얻게 될 수도 있기에 부모와 교사의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내향인의 정석, 훈이
훈이는 다섯 아이들 중 가장 소심하고 눈물이 많은 '아기' 같은 아이이다. 훈이같이 낯가림, 불안 등을 보이는 경우는 가정이나 보육 기관의 정상적인 교육과 관리 하에서도 충분히 발생 가능한 일이다. 왜냐하면 어린 아이에게 그러한 증상은 본능적으로 나타나는 경계의 초기 보호 대응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박소영, 구본권에 따르면 이러한 낯가림, 불안 등이 수면, 식사, 소변 가리기 등 아이의 자율성을 요구하는 행위를 방해하는 데까지 영향을 끼친다면 문제가 된다. 보통 이러한 증상은 2세에서 3세 사이에 심하게 나타나는데, 이것이 영유아기를 넘어서까지 나타나게 되면 아이의 정서가 안정되지 못해 또래에 비해 미숙하고 더딘 발달을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아이의 경우에는 부모나 교사의 과잉 보호가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기에, 우선 아이에게 얼마만큼의 관심이 집중되는지 객관적으로 지켜볼 필요가 있다. 또래에 비해 과잉 보호를 하고 있다면 아이를 보호자로부터 조금씩 분리시키는 연습이 필요하고, 또래와 충분히 교류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해야 한다.
애어른의 정석, 맹구
맹구는 다른 친구들과는 다르게 상당히 과묵하고 조용하다. 사고를 치지도 않고 오히려 친구들이 저지른 문제를 수습하는 인물이다. 하지만 맹구는 '돌멩이 모으기'라는 독특한 취미를 가지고 있는데, 감정 표현을 잘 하지 않지만 바닥에서 돌멩이라고 착각하고 시멘트를 주우면 아주 화를 낼 정도로 돌멩이 줍기에 집착한다. 맹구는 말이 없어도 때때로 기발한 아이디어를 내거나 친구들을 돕는 등의 도움을 주며 떡잎마을 방범대로 문제없이 활동하고 있으나, 만약 현실에서 맹구처럼 엉뚱한 행동을 지속하는 데에 더해, 심하게 말이 없고 대인관계에 어려움 등을 보이는 행동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면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의심해 보아야 한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자폐증을 비롯해서 자폐증의 진단기준은 충족하지 않지만 부분적으로 그러한 증상을 보이는 증후군을 통틀어 이르는 말인데, 실제로 '짱구는 못말려' 북미판에서 맹구는 지적장애 설정으로 나온다. 이러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발달 전반에 걸친 문제를 가지고 있고, 치료의 목적이 완치보다는 증상 완화에 있기 때문에 지속적이고 꾸준한 행동 및 언어 교정, 타인과의 상호작용, 심리 치료 등을 동원해 증상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짱구는 못말려’ 속 다섯 명의 떡잎마을 방범대는 극 중 특정한 컨셉을 소화해야 하는 등장인물이라는 점에서 조금은 과장된 행동을 보이도록 설정되었을 것이다. 그렇기에 일상 생활에서 이 다섯 아이들과 유사하거나 같은 행동을 보이는 아이들은 거의 없을 것으로 추정하지만, ‘짱구는 못말려’ 속 아이들의 행동들이 실제 아이들에게서도 나타나는 것이 아예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항상 주변의 아이들을 예의주시 해야하고, 교육과 교정이 필요한 부분이 보인다면 아이가 올바른 행동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아이들이 아이들답게 자랄 수 있도록 돕는 일은 어른이 해야 할 일 중 하나이다.
출처 표기
자폐스펙트럼장애.위키백과[Wikipedia].(2021.07.10) .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D%8F%90_%EC%8A%A4%ED%8E%99%ED%8A%B8%EB%9F%BC
떡잎마을 방범대 사진. (2021.07.10). https://ziunzoon.tistory.com/53
박소영, 구본권. (2014) 온라인상에서의 영유아기 육아 상담에 나타난 주요 주제와 솔루션 분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충주.
박애경. (2012). 전조작기 유아의 인지발달 및 이타행동 수준확인 연구. 한국보육학회. 서울.
엄성애, 박성연. (2006). 보육시설 영유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성, 연령,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보육경험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서울.
윤수정. (2012). 영유아의 자기통제와 공격성 간의 교사-영유아관계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서울.
Dodge, 1983; Ladd & Burgess, 1999; Ladd & Burgess, 2001. 재인용.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