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성원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최성원 ]
영화 ⌜지상의 별처럼⌟ 속 주인공 이샨은 학교 수업에 적응을 하지 못하고, 책 읽는 것을 어려워하며 글자들이 춤을 추고 있다고 말한다. 선생님과 주변 어른들은 이샨이 머리 나쁜 학생이라고 하지만, 이샨은 지극히 정상적인 지능을 갖추고 있다. 그렇다면 이샨에게는 왜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것일까? 그 원인은 바로 난독증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이샨을 도와줄 수 있을까?
앞서 영화 ⌜지상의 별처럼⌟의 이샨처럼 정상적인 지능을 갖추고 있고, 정서적인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지능수준에 비하여 현저한 학습부진을 보이는 경우를 DSM-5에서는 ‘특정 학습장애’라고 한다.(DSM-5는 대표적인 미국의 정신장애 분류체계이다.) 이는 아동·청소년에게서 나타나는 정신장애이며, 특정 학습장애는 읽기장애, 쓰기장애, 수학장애 세 가지로 나뉘며 읽기장애에 난독증이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난독증이 있으면 단어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며, 철자를 잘 못 쓰고, 문자 해독에 어려움을 느낀다. 해독 자체에서 너무 많은 인지적 자원을 소모하여 책읽기를 힘들어하고, 이해력이 부족해 보일 수 있지만 사실 이해력에는 문제가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학습장애에 대한 심리치료로는 학습을 위한 기술을 가르치고, 심리적인 지지를 통해 자존감과 자신감을 키워주는 것, 효과적인 공부법을 통해 생활관리를 지도한다. 학습장애는 ADHD와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서, 과잉행동을 억제시키기 위해 중추신경 자극제와 같은 약물치료를 사용하기도 한다.
난독증과 같이 특정학습장애를 지닌 아동은 조기개입이 중요하다. 모든 발달장애의 예방과 치료로는 조기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학습장애를 지닌 아동은 수년간의 학업 실패로 인해서 개입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그만큼 주변 어른들의 섬세한 관찰과 빠른 대처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학습장애를 치료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 부모와 선생님의 끈기가 중요하다.
지난기사
영화 '인사이드아웃' 장면들과 함께 알아보는 꿈을 꾸는 과정
출처:
권석만. (2013). 현대이상심리학. 학지사
Israel, Malatras, Wicks-Nelson. (2022). 아동·청소년 이상심리학. 시그마프레스
난독증협회. (2016). http://www.kdyslexia.org/?m=bbs&bid=dyslexia&uid=361
영화 ⌜지상의 별처럼⌟ 네이버 스틸컷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