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김주원 ]



Q. 빈칸에 들어갈 인지적으로 합리적인 말을 고르시오 


나는 공부를 _______. 


① 좋아한다. 

② 해야만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을 수 있다. 

③ 해서 반드시 100점을 받아야 한다. 


정답은 무엇일까요?  ①번입니다. 


어떤 것을 정답으로 고르셨나요? 정답이 아닌 것들은 왜 정답이 아닐까요? 

정답과 상관없이 자신이 평소에는 어떻게 공부에 대해서 생각하시나요? 

 

②번 ③번은 비합리적 신념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비합리적 신념은 사회심리학자 앨버트 엘리스가 주창한 개념으로 ’ 절대로 ~이어서는 안 된다’, ‘반드시~을 해야만 한다’, ‘ 반드시 ~이어야 한다.’와 같은 문장 형식으로 인지 도식을 구성합니다. 이때 인지 도식이란 하나의 사건을 보고도 다르게 해석되는 사람이 다르게 가지고 있는 생각의 체계를 의미합니다. ‘절대로, 반드시, 해야만 한다, 안된다’의 표현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비합리적인 신념은 융통성 없는 신념, 절대주의적인 신념, 완벽주의적인 신념의 모습을 그려냅니다. 

 

비합리적 신념의 역효과로는 지연행동이 있습니다. 홍은순(2011)에 따르면 자기 비하나 적대감 등과 연계된 비합리적인 신념은 과제에 대한 개인의 부정적인 해석을 유발하여 지연행동으로 연결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해야만 한다는 비합리적인 신념으로 스스로를 옥죌수록 이는 지연행동으로 이어져 되려 그 행동을 못하게 되는 역설적인 상황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이외에도 비합리적인 신념은 인지행동주의적인 입장에서 다양한 이상심리의 원인이 됩니다.



 ‘내’가 부재한 신념들은 아닌지


 

좋은 대학교, 좋은 직장을 요구받는 사회속에서 비합리적인 신념을 하나쯤은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좋은 대학교를 가야만하는데’, ‘대외활동을 많이 해야만하는데’, ‘좋은 직장에 취업해야만 하는데’라는 무수한 생각의 꼬리들은 이 글을 작성하는 저 역시도 가지고 있는 비합리적인 신념입니다.  가장 큰 문제는 이 안에는 ‘내’가 없다는 지점입니다. 왜 대외활동을 많이 해야하는지, 내가 하고 싶어서인지 다른 사람들에게 밀리지 않는 스펙을 가지기 위함인지, 그 스펙을 무엇을 위함인지, 이러한 자기판단조차 서지 않을 상태로 그저 그래야만 한다고, 그렇게 살아야만 한다고 스스로에게 비합리적으로 요구하고 있는게 아닌지 다시금 생각해보게 됩니다. 

 


그럴 수 있는 것들이 만무한 세상 속 자기주도적인 삶을 위해서는



세상은 내가 원하는 대로 흘러가지 않습니다. 죽음 이외에는 절대적인 것도, 반드시 일어나야만하는 일도 존재하지 않을 정도로 세상도 나도 타인도 무수한 변화의 흐름속에 존재합니다. 이때 세상이 내가 원하는 대로 흘러가지 않는다고 비아냥거리는 것이 아니라, ‘그럴 수 있지’라고 인정하며 그 안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것들을 해보는 것이 ‘자기주도적인 삶’의 시작일 것입니다. 

 

본 기사를 통해서 자신의 삶에 must와 should의 비중은 얼마나 되는지 살펴보는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그리고 그것들로 점철된 삶속에서 정작 ‘나’를 잃어가고 있었다면 다시 현재로 돌아와 나에게 집중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길 바랍니다. 




그럴 수 있다.

그럴 수 없는 일들은 없다. 

그런 일도 있다.

그런 마음도 있다.

그런 사람도 있다.

그래야만 하는 것들은 없다.



출처

https://edumon.tistory.com/265

염보은, 정구철. (2022). 비합리적 신념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과 지연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이수인, 김충명. (2019). 대학생의 비합리적 신념과 사회불안 간 관계에서의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3634
  • 기사등록 2022-05-25 12:39:2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