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서혜주 ]


       이미지 출처: pixabay.com/ko/

 

연예인의 고민을 들어주고 해결해주는 프로그램 '오은영의 금쪽 상담소'에 아이돌 송민호가 출연해서 자신이 공황장애와 우울증을 앓고 있다고 고백했다. 예능에서 엉뚱한 모습과 유머 감각으로 나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을 웃게 했지만 정작 그는 촬영할 당시에 몰래 울다가 들어간 적도 있다고 한다. 이처럼 요즘 방송에서는 자신이 가진 정신적 아픔을 고백하는 연예인을 자주 볼 수 있고 오히려 우울증이나 공황장애가 없는 연예인을 찾는 게 더 빠를 정도이다. 그렇다면 많은 팬들의 사랑을 받으며 사는 연예인은 왜 이렇게 슬플까? 

 


슬퍼도 웃어야 했던 사람들 - 감정노동



소녀시대 서현이 할머니가 돌아가신 날 음악방송 데뷔 무대를 위해 웃으며 노래를 불러야 해서 힘들었다고 이야기한 적이 있다. 이처럼 연예인의 노동 특성은 '감정 노동'이라고 할 수 있다. Hochschild는 감정노동을 조직이 요구하는 바람직한 감정 표현을 하기 위해 애쓰는 행위라고 정의 내렸다. 연예인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관계를 연구한 결과, 감정 노동 자체가 높은 직무스트레스의 요인임을 입증하였다. 감정노동자인 연예인은 방송이 원하는 대로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실제 감정은 숨겨야 하고 이러한 감정의 불일치 상태에서 자신을 위선적이라고 생각하며 정체감 혼란을 겪는다. 이런 상황에서 연예인을 향한 유언비어나 악플은 그들의 심리적 우울을 더욱 높아지게 만든다. 

 


부담스러울 만큼 큰 파급력 - 베르테르 효과 



연예인의 기부활동은 대중의 기부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입증한 연구가 있다. 연예인을 통한 홍보활동은 기업, 브랜드의 이미지뿐만 아니라 연예인이 기부한 기부단체의 신뢰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또한 연예인의 자살 방법과 원인이 상세하게 적힌 뉴스가 보도되면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자살을 시도한다는 모방범죄 또는 베르테르 효과에 대한 위험성도 높다. 연예인의 파급력은 대단히 높고 이에 따라 연예인들은 사람들에게 늘 모범을 보여야 한다는 압박감에 시달린다. 처음 엄청난 인기를 맛보고 뒤따르는 행보에 대한 부담감으로 자살하는 연예인들도 많은데 이를 소포모어 증후군이라고 부른다. 

 


매일 평가를 받고 살아가는 사람들 - 공적 자의식 



'공적 자의식'이란 외부에 보여지는 나에게 집중하는 것으로 공적 자의식이 높은 사람은 자신의 모든 것이 남에게 보여지고 있다고 믿고 타인의 평가나 반응에 민감하다. 특히 대중에게 보여지는 직업인 연예인은 공적 자의식이 높은 편이고 재능있고 매력적인 연예인들 사이에서 그들의 인기에 대한 강박감은 극심한 다이어트나 성형으로 이어지기 쉽다. 

 


연예인도 사람이다



아이돌 송민호는 자신이 힘들다고 이야기하면 다들 배부른 소리를 한다고 할까 봐 무섭다고 했다. 이 말을 듣고 나니 화려함 속에 가려진 연예인의 슬픔은 깊고 깜깜한 바다를 상상하게 한다.


사생활이 보호받지 못하고 매일 자신에 대한 평가가 이뤄지는 세상 속에서 내쳐질까 두려워하는 연예인들도 여느 학생들, 직장인들처럼 그들의 일과가 끝나고 나면 오늘 하루를 잘 살아냈다고 긴 한숨을 내뱉을지도 모르겠다. 연예인도 똑같은 사람이고 그들도 자신이 선택한 직업의 무게를 견디고 있을 것이다. 다 같이 하루를 버텨내는 사람들끼리 응원해주는 세상이 되기를 바란다. 항상 재미와 웃음을 선사해주는 연예인들에게 당신들의 힘듦을 누구보다 이해한다고 위로의 말을 건네기 위해 이 글을 바치고 싶다





지난 기사

나쁜 일은 정말 한꺼번에 올까?

어린아이는 엄마 뱃속에서의 일을 기억하나요?





참고문헌:

이훈석, & 전병준. (2012). 방송연예인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2), 616-626.

한상린, 홍성태, 김효진, & 강수영. (2013). 연예인의 기부활동이 대중의 기부참여에 미치는 영향. 고객만족경영연구, 15(3), 141-154.

남순현. (2019). 연예인 자살에 대한 보건 사회과학적 담론 분석. 보건과 사회과학, 52(1), 5-41.

이주연. (2015). 공적 자의식 (Public Self-consciousness) 이 연예인의 외모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융합인문학, 3(1), 25-39.

https://www.mk.co.kr/star/broadcasting-service/view/2022/03/274423/ 송민호, 공황장애·조울증→가정사 고백 "평범한 일상도 어려워"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3806
  • 기사등록 2022-06-16 00:34:0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