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혜
[The Psychology Times=김동혜 ]
우리가 살아가는 이유
누구나 한 번쯤 “왜 사는가?”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 질문에 대하여 누군가는 행복해지기 위해서라고 답할 것이고, 누군가는 자아실현을 위해서라고 답할 것이다. 또 누군가는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하기 위해서라고 답할 것이며, 또 다른 누군가는 좋아하는 음식을 먹기 위해서라고 답할 것이다. 이 질문에 정답은 없다. 그러나 모든 대답들은 “의미를 추구하기 위해서”라는 답으로 모일 수 있다. 삶에 있어서 '의미'라는 것은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무언가이다. 행복, 부, 명예, 성공, 자아실현, 가족, 사랑 등 자신이 인생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무엇이든 삶의 의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을 실현하고자 하는 마음은 우리를 살아가게 하는 원동력이자, 우리가 살아가는 이유가 된다.
살아가는 이유가 없는 삶: 멜랑콜리아 증상
의미를 추구하는 것은 우리가 살아가는 이유이며, 삶 자체가 의미를 추구하는 과정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추구하는 의미가 없는 삶은 건강한 삶의 형태를 갖추기 어렵다. 하고 싶은 것도, 좋아하는 것도, 가치 있다 생각하는 것도 없이 그저 흘러가는 대로 살아가는 삶에서 우리는 결코 행복하게 살 수 없을 것이다.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멜랑꼴리하다'라는 표현은 추구하는 의미가 없는 삶, 즉 살아가는 이유가 없는 삶을 나타낸다. 이 표현은 우울증의 하위 명시자 중 하나인 '멜랑콜리아'에서 비롯된 것인데, 이는 즐거움을 느끼는 능력을 상실한 상태를 말한다. 멜랑콜리아 양상을 동반한 우울증에서는 무쾌감증을 특징으로 극심한 우울감과 정신병적 증상, 식욕부진 및 체중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어떠한 것도 멜랑콜리아 상태에 있는 사람에게는 즐거움을 주지 못한다. 그에게는 친구를 만나 이야기하는 것도, 음식을 먹는 것도, 일을 하고 돈을 버는 것도 아무 의미가 없는 행동이다. 말 그대로, 살아갈 이유를 잃어버린 상태에 처해 있는 것이다. 무쾌감은 단순히 우울한 것보다 더 위험한 감정이다. 아무리 깊은 우울 속에 있어도 삶의 한 켠에 즐거움을 주는 것이 존재한다면, 그로부터 우울에서 벗어날 수 있는 힘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삶의 어디에도 즐거움이 없다면, 깊은 우울에서 벗어나는 것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더 어려워질 것이다.
이처럼 삶의 의미를 찾고, 그것을 추구할 수 있는가의 여부는 삶의 질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자신이 좋아하는 게 뭔지 알고,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아는 것. 자신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이 무엇인지 아는 것. 자신이 생각하는 가치 있는 삶이 어떤 것인지 아는 것. 그리고 그렇게 알게 된 자신만의 삶의 의미를 추구하고 실현해나가는 것은 행복한 삶의 필요조건이다.
삶의 의미는 어떻게 찾을 수 있는가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이 마냥 쉬운 일은 아니다. 단순히 목표가 있다고 해서 삶의 의미를 찾은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에 의해 선택된, 혹은 사회적 통념에 따라 선택한 목표를 자신만의 삶의 의미라고 말할 수는 없다. 열심히 공부해서 좋은 대학에 들어가고, 그럭저럭 괜찮은 직장에 들어가 조건에 맞는 배우자를 만나 결혼하고, 아이를 낳아 또 ‘성공한 삶’을 살도록 양육하는 것. 이러한 삶이 표면적으로는 모두 행복한 삶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대학과 회사, 가족을 선택하는 것에 있어서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사회적 인식을 고려하느라 자기 자신의 목소리를 듣지 않았다면 어떨까? 자신의 흥미는 고려하지 않고 취업이 잘 되는 전공을 선택하고, 자신이 의미있다 여기는 일이 무엇인지는 고민해보지 않고 급여 조건이 좋은 회사를 선택하고, 자신의 행복해질 수 있는가는 생각하지 않고 조건만 보고 배우자를 선택했다면, 그래도 사회적으로 '성공한 삶'이라 인식되니 행복한 삶인 것일까?
아무리 겉보기에 성공한 삶이라 할지라도 자신이 즐거운 일을 하고 있지 않다면, 자신이 가치있다 생각하는 일을 하지 않는다면,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결코 의미를 추구하는 삶이라고 말할 수 없다. 삶의 의미는 100% 자신의 선택으로 결정한 것일 때만이 진정한 의미가 된다. 따라서 진정으로 의미 있는 삶을 살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에 대해 아는 것이 가장 첫 번째다. 다른 사람의 시선이나 사회적 평가는 신경 쓰지 않고, 오로지 자신의 내면만을 들여다 보아야 한다. 내가 가장 즐거울 때는 언제인지, 나를 가슴 벅차게 하는 일은 무엇인지, 어떤 사람과 함께해야 행복할 수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
의미를 추구하지 않는 삶에서는 살아가는 이유를 잃고, 자신의 삶을 그저 언젠가 끝나버릴 무의미한 것으로 받아들이게 될 것이다. 하지만 삶의 의미를 찾는다면, 자신이 삶으로써 무언가 의미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자각이 스스로를 앞으로 나아가게 하고 행복한 삶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지난 기사
공황발작 응급처치: 죽을 것 같은 공포에 빠진 사람을 구하는 법
누구나 악인이 될 수 있다 – Milgram의 복종 실험과 Asch의 동조 실험으로 본 ‘악의 평범성’
사람들은 생각보다 당신에게 관심이 없다: 사회불안장애와 자기초점적 주의 및 사후반추 사고의 관계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