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택
[The Psychology Times=서원택 ]
주변에 많이 보이는 노숙자들
우리는 종종 기차역이나 지하철역에서 길에 누워있는 노숙자들을 볼 수 있다. 지하철역에 가가면 무기력하게 누워있는 노숙자들, 서로 술을 마시며 큰 소리로 떠들고 있는 노숙자들을 발견할 수 있다. 필자는 노숙자들을 볼 때 왜 그들이 그들을 지원해 줄 수 있는 노숙자 전용 시설에 가지 않고 길거리에서 힘들게 노숙을 하는지 의문을 가졌다. 분명 노숙자들을 지원하는 생활시설에 들어가게 된다면 더 풍족한 식사와 옷이 제공되고 무엇보다 편하게 잘 수 있는 공간이 생기는 것 아닌가?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거리 노숙자들은 왜 생활시설을 이용하지 않는 것일까?
노숙자들은 보통 실직, 사업 실패, 이혼 및 가족해체, 신용불량, 파산 등의 이유로 노숙을 결심하게 된다. 이러한 노숙자들을 위해서 사회는 노숙자들을 위한 시설을 준비해 준다. 그러나 시설에는 개인의 공간이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자유마저도 없다. 2016년에 조사한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거리 노숙자의 생활시설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 단체 생활과 규칙이 31.2%로 1순위로 뽑혔고, 실내 공간이 답답하다는 이유가 21.1%로 2순위에 뽑혔다. 이렇게 노숙자들은 시설을 이용함으로써 거리에 있을 때보다 더한 불편함을 겪는다. 그래서 우리가 흔히 노숙자라고 생각하는 거리 노숙자들이 시설을 이용하지 않고 기차역, 지하철역 주변에서 생활을 하며 잠을 자는 것이다.
거리노숙자에 대한 사람들의 궁금증
이렇게 시설을 이용하지 않고 기차역이나 지하철역 같은 거리에서 생활하는 거리 노숙자들에 대해 사람들이 궁금한 것들이 많을 것이다. 필자도 편의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할 때 매일 라면과 술을 사 오는 거리 노숙자들이 대체 어떤 경위로 돈을 구했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많이 가졌다. 2016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수입이 없는 거리 노숙자들이 41.5%긴 하지만, 27.2% 거리 노숙자들은 근로활동을 하고, 12.5% 거리 노숙자들은 교회 및 복지시설에서 지원금을 받는다. 노숙자라고 다들 일을 안 하는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노숙자에 대해서 단순히 일을 하고 싶지 않아서 노숙자가 됐다고 말한다. 그러나 적지 않은 노숙자들이 일을 할 의욕을 가지고 있고, 실제로 일자리를 구하는 노숙자들의 숫자도 꽤 된다. 즉 모든 노숙자들이 단순히 일을 하는 것이 싫어서 노숙을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를 이용하지 않는 거리 노숙자들은 무슨 이유로 이용하지 않는 것일까? 2016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41.6%의 거리 노숙자들이 제도나 절차를 잘 몰라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이들에게 제도의 절차를 알려줘야 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노숙자들의 우울증
또한 노숙자들은 우울증을 겪고 있는 경우가 많다. 우울증 평가도구 'CES-D 11문항'을 이용한 노숙자 등의 우울증 평가 결과에서 무려 51%의 거리 노숙자들이 우울증이 확실하고, 18%의 거리 노숙자 등이 우울증을 겪고 있을 가능성이 유력하다고 나온다. 이처럼 노숙자들은 힘든 환경에 처해있다.
노숙자들의 사회복귀가능성
사람들은 실제로 노숙자가 어떤 이유들로 노숙을 하게 됐으며, 노숙 생활을 하면서 힘든 점들이 무엇인지, 정신질환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사회로 복귀를 할 수 있을 것인지 등에 대해서 별로 궁금함을 가지지 않는다. 보통의 사람들은 노숙자들은 그저 길거리에서 가까이하고 싶지 않은 사람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그들에게도 평범하게 살던 시절이 있었으며, 지금은 좌절을 겪고 노숙생활을 하고 있지만, 충분히 다시 일어설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이다. 우리와 다른 존재들이 아니다. 필자는 노숙자들을 전부 사회로 복귀시키는 것은 이상적인 말이며 힘들다는 것을 알지만, 그래도 노숙자들을 위한 제도 개선을 통해서 더 많은 수의 노숙자가 사회로 복귀해서 더 나은 삶을 누렸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참고자료]
1.이승홍,배치운,고효종,정운진,고상현.(2016).거리노숙인의 만성노숙과 연관된 인구사회학적, 임상적 변인.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김용훈,이경숙,차혜명.(2020).노숙인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관한 연구.한신대학교 한신아동발달상담연구센터
3.최삼욱,신영철,신은정,김현수,이재헌,김범조.(2007).도시 쉼터 남성 노숙자에서 병적 도박의 실태와 심리사회적 특성.한국중독정신의학회
4.통계청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6). 「2016년도 노숙인 등의 실태조사」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swt2082@naver.com
노숙자들에게 사회의 일원으로서 복귀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제도적 개선이 필요합니다.
쉽지 않은 일이지만 노숙자들이 자발적으로 찾을 수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실질적으로 필요한 제도들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