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최윤서 ]



누구에게나 있어서 나 자신을 있는 그대로 사랑하는 것은 중요하다. 자기 자신을 믿고 소중히 여기는 것은 타인과의 비교에 마음이 흔들리지 않게 해주고 걱정과 불안으로부터 지켜주는 방패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 너무 과해진다면, 그것은 오히려 자기 자신에게 독이 되는 것은 물론, 다른 사람들에게도 물리적, 정신적인 피해를 줄 수 있다. 그런 과한 자기애의 형상을 ‘나르시시즘’이라고 한다.



나르시시즘이란?


나르시시즘이란 자기 자신을 사랑의 대상으로 삼아 그것에 도취하는 심리 상태를 뜻한다. 그리스 신화에서 호수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사랑해 호수를 들여다보다 물에 빠져 죽게 된 나르키소스 이야기에서 유래했다. 나르시시즘이란 용어를 정의한 사람은 독일의 정신과 의사 파울로 네케이다. 나르시시즘은 유아기의 정상적인 발달단계인 일차적 나르시시즘과 퇴행적인 이차적 나르시시즘으로 구별할 수 있다. 이차적 나르시시즘은 자기애에서 대상애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해 자기애성 인격장애(NPD)의 성향을 띄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정서적이고 극적인 성격 특성을 나타낸다. 위험하다고 분류되는 유형은 이차적 나르시시즘에 해당한다.



나르시시즘의 특성


나르시시즘 성향이 있는 사람인 나르시시스트는 헛된 망상으로 인해 객관적인 부분을 보지 못하고 자신만을 세상의 중심으로 세우기 때문에 타인에게 관심이 없다. 따라서 타인을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구로만 이용하고 타인의 기분이나 감정을 전혀 살피지 않는다. 또한, 자기 우월성을 남들에게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강해 완벽주의와 권력에 집착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주변인의 성공을 자신의 지위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해 지나치게 자기 합리화를 하며 현실을 왜곡한다. 본인만이 돋보일 수 있는 유리한 상황을 만들기 위해 타인을 깎아내리는 것도 서슴지 않는다. 그리곤 자신의 실제 부족한 부분들을 거짓과 환상으로 과대하게 부풀린다. 나르시시즘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타인에 대한 끝없는 착취이다. 앞서 말했듯이, 나르시시스트는 타인의 감정을 배려하지 않고 자기 자신의 욕구와 목적에만 열중하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는 과정에서 인신공격, 성희롱, 성적 유린 등의 끔찍한 착취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나르시시즘, 그 원인은?


나르시시스트적 성격이 형성되는 가장 큰 이유는 부모이다. 나르시시즘적 성향이 유전적 영향이 있다는 연구는 아직 없으므로, 후천적으로 어린 시절의 과잉 및 결핍으로 인해 나르시시스트적 성향이 발현될 가능성이 큰 것이다. 심리학자인 에디 블루멜만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부모의 과한 칭찬이 아이를 나르시시즘에 빠뜨린다고 한다. 사소한 일에도 너무 과하게 칭찬하면 아이는 이후에도 쉽게 만족하지 못하며 그만큼의 칭찬을 받으려 주의의 나머지 사람들을 깎아내리려고 한다는 것이다. 또는, 학대나 방임과 같은 사랑의 결핍이 일종의 방어기제로서 작용하여 자아상을 부풀리게 된다. 이에 부모는 아이에게 과하지 않은 적절한 칭찬을 해줘야 하며 누군가와 비교하는 칭찬은 늘 조심해야 한다. 또한, 아이의 자존감을 바닥으로 떨어지게 하는 심한 비하는 특히 삼가야 한다.



기피의 1순위, 나르시시즘


심리학자인 김경일 교수는 나르시시스트를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보다 더 위험하다고 언급했다. 나르시시스트는 자신에게 병적으로 집착하여 다른 사람들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에선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의 성향과 상당 부분 비슷하다. 하지만, 나르시시즘이 제일 위험한 이유는 범죄로 이어질 확률이 매우 높은 다른 두 유형과는 달리 나르시시즘은 범죄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적다는 것이다. 따라서 범죄자가 아니므로 격리되지 않아 일반인 속에 섞여서 아무 일 없는 듯이 살아갈 수 있다. 지금도 알게 모르게 스며들어 우리의 삶을 갉아먹을 수 있으므로 나르시시스트의 특징들을 잘 기억하여 그들을 구별하고 멀리해야만 한다. 나르시시스트는 약물치료와 행동치료를 통한 변화의 가능성은 있지만, 특성상 완전히 치료하는 것이 매우 힘들다고 한다. 그들은 스스로 무엇을 잘못했는지 인지조차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들을 피하는 것이 상책이지만 피할 수 없다면, 그들을 바꾸려고 도전하거나 대립하지 말아야 한다. 가능한 가장 건강한 방법으로 그들을 대처해야 한다.



참고문헌

짐 와일더. (2019.06.25.). 나르시시즘, 그 판도라 상자를 열다. 토기장이

맹동례. (2016). 나르시시즘 캐릭터에 대한 이해와 성찰. 영상기술연구. Vol.- No. 24 [2016]. 41-64(24쪽).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URL: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73993&cid=40942&categoryId=31531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4540
  • 기사등록 2022-10-02 21:17:2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현재의견(총 1 개)
  • TPT_mangosteen2022-11-01 23:46:21

    나르시시즘이 단순히 ‘자기애가 넘치는것’ 으로 끝나는것이 아니라 지나치게 되면 타인에게 정서적, 물리적인 피해를 입힐 수도 있다니… 진정으로 나를 사랑하는 건강한 정서를 가진 사람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부모로서 자녀들에게 올바른 마중물 역할이 되어야 함을 생각해 봅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