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늘
[The Psychology Times=지하늘 ]
대한민국은 OECD 자살률 1위 국가다. 최근 실종, 고독사와 관련된 기사가 쏟아지는 요즘, 우울증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
우울증이란 의욕 저하와 더불어 우울감을 주요 증상으로 한다. 인지 및 정신 신체적 증상을 일으켜서 일상 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질환을 말한다. 또 우울장애는 생각, 감정, 신체장태 그리고 행동 등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심각한 질환이다. 우울장애는 흔한 정신질환 중 하나다. 하지만 이에 대한 분명한 원인에 대해서 명확하게 알려진 바 없다. 다른 정신 질환과 같이 다양한 생화학적, 유전적, 또 환경적 요인 등이 우울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우울장애를 일으키는 다양한 원인을 모르기 때문에 지금 자신이 겪고 있는 것이 우울장애인지 헷갈리고 그저 쉽게 넘길 때가 있다. 그런 사람들을 위해 간단하게 자신의 우울증을 진단하는 테스트가 있다. 또한 이와 함께 우울증의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자.
우울증 자가 진단 테스트에는 열다섯 가지의 질문이 있다.
1. 미래에 대한 희망이 없음
2. 종일 우울한 기분이 듦
3. 이유 없이 죄책감이 듦
4. 열등감이 생기고 그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음
5. 일상생활이 불만족스러움
6. 자살 충동을 느껴본 적이 있음
7. 과수면 또는 불면증에 시달림
8. 나에 대해 싫고 추한 느낌이 듦
9. 피곤해서 일상생활을 할 수가 없음
10. 어떤 것에 대해서 결정을 스스로 하지 못함
11. 실패자, 낙오자라는 생각을 자주 함
12. 건강에 대해 자신이 없으며 성생활이 무의미함
13. 별일이 아님에도 눈물이 자주 남
14. 나만 소외되는 느낌이 듦
15. 식습관이 변하지 않았는데 갑자기 체중 감소 또는 증가 증상이 나타남
이 질문들에 대해서 해당하지 않으면 0점, 가끔 그렇다는 1점, 자주 느낀다는 2점, 항상은 3점으로 체크하면서 확인해볼 수 있다. 테스트를 합산한 점수가 0~15점이라면 일반적인 상태이며, 16~30점은 우울 초기로 가끔 우울하지만, 극복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31~45점은 심한 우울함이 의심되며 주변 지인들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이며, 50점 이상은 전문가의 상담 치료가 필요하니 반드시 병원에 방문해야 한다.
이처럼 자신이 어떤 상태인지 모르겠다면 간단한 테스트를 진행하여 자신의 상태를 자가로 체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우울증 초기 증상을 세 가지 말해보자면, 첫 번째로 식욕, 수면 등의 문제가 있다. 입맛이 없어서 식사를 못 하거나 잠을 거의 못 잔다면 이는 우울증 초기 증상일 수 있다. 두 번째는 우울한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된다는 것이다. 마지막은 정신적 고통을 견디기 힘들어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가 계속 지속되면 안 좋은 생각을 하거나 극단적인 생각을 할 수 있으니 꼭 치료와 상담이 필요하다.
필자 또한 개인적인 이유로 우울감에 빠져 살던 때가 있었다. 온종일 우울한 기분에 사로잡혀 있으며, 기분이 좋다가도 금세 우울해지기도 했다. 감정 기복이 심하고 자존감이 떨어지며 삶에 대한 의욕이 없어 신체까지 덩달아 피로해져 수면시간이 늘었다. 별것 아닌 일에도 눈물이 많아지고 아무 이유 없이 과거에 사로잡혀 우는 날도 있었는데, 그때는 이것이 우울증 초기 증상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다. 그저 힘든 일을 겪었기 때문에 잠시 동안 겪는 감정적 스트레스라 생각했고 빠른 시일 내에 회복하여 다시 일상생활을 할 수 있으리라 믿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도 쉽사리 우울증이 극복되지 않았고, 결국 나 자신이 나의 우울과 대면하고 인정을 한 다음에야 시간을 가지며 차차 우울증을 극복할 수 있게 되었다.
우울증이라는 것은 누구나 걸릴 수 있는 단순한 정신질환이라고 생각하지만 증상이 심해지면 정신적인 고통을 겪고 극단적은 선택을 할 수도 있는 무서운 질환이다. 이러한 우울증을 초기에 관리하고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우울증에 걸리지 않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우울증인지 재빨리 판단하고 조치를 취하는 것이다.
지난 기사
출처
MSD 매뉴얼. (2021). URL: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C%A0%95%EC%8B%A0-%EA%B1%B4%EA%B0%95-%EC%9E%A5%EC%95%A0/%EA%B8%B0%EB%B6%84-%EC%9E%A5%EC%95%A0/%EC%9A%B0%EC%9A%B8%EC%A6%9D
세종특별자치시 보건소. URL: https://www.sejong.go.kr/health/sub05_03_06.do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jhngksmf0322@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