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정재하 ]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게 될 때 언제나 통과해야 하는 첫 관문이 바로 자기소개이다. 이름, 나이, 하는 일과 같은 질문은 쉽게 적어내려가는 반면 많은 사람들이 취미 혹은 나에 대한 재미있는 사실 등을 소개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그래서 자기소개를 할 때 영화 보기, 강아지와 산책하기와 같은 무난한 취미보다는 톡톡 튀고 개성 있는 취미를 가진 사람이 기억에 남기 마련이다. 사람들은 이렇게 개성 있는 사람들은 흔히 ‘특별하다'라고 말한다.


특별해지고 싶은 마음은 인간의 당연한 욕망이다. 친구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아지고 싶은 바람이던, 직장에서 능력을 인정받고자 하는 마음이던 모두 그 이면엔 남들과는 달라지고 싶다는 마음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개성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선, 특별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STEP 1 구상하기: 나에 대하여 알아가기


특별한 사람이 되고 싶다면 가장 먼저 다른 사람들과 나의 차별점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나 자신과 친해져야 한다. 나는 무엇을 잘하는지, 어떤 곳에 열정이 있는지 떠올려보자. 단, 이 과정에서 주의할 점은 절대 다른 사람 눈에 어떻게 보일지에 대한 생각을 하지 않는 것이다. 아무리 생각해도 자신은 평범하다는 사람들은 주로 남들 시선을 의식하여 자신의 장점을 숨기거나 엄청나게 특출난 것만이 개성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사고방식으로 자신의 특징을 하나 둘 지워나가다 보면 남는 것이 없게 되는 것이 당연하다. 사소한 것일지라도 나의 특징을 적어보자.


어느 정도 특징이 생각났다면 왜 그러한 특징을 가지게 되었는지 생각해 보자. 예를 들어 나는 ‘유튜브를 자주 보는 사람’이라면 어떤 유튜브를 보는 사람인지, 왜 그 유튜브를 보는 것을 좋아하는지 고민해 보자. 다양한 특징에 대하여 끊임없이 질문하다 보면 나는 어떤 사람인지에 대한 감이 잡히게 된다.


나를 알아가는 법 예시

STEP 2 실천하기: 잘하는건 살리고 못하는건 과감하게 버리자!


나에 대해 알게 되었다면 이제는 나의 특징을 개성으로 발전시켜보자. 대다수의 사람들은 모든 것을 적당히 잘하려고 한다. 장점을 살리기보다는 단점을 보완하는데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다. 하지만 하기 싫은 것에 오랜 시간을 투자하는 것은 그 과정이 행복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결국엔 장점도 단점도 없는, 특색 없는 사람이 될 가능성이 높다. 단점을 보완하는 것도 좋은 자기개발이지만, 나만의 개성을 위해서는 장점을 파고들고 단점은 시원하게 드러내는 것이 더욱 매력적이게 다가온다. 


예를 들어 손재주가 있는 사람이라면 장점을 살려 요리를 배워서 새로운 매력을 어필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앞서 말했듯이 절대 무언가에 능통한 것만이 매력인 것은 아니다. 단점 또한 나의 매력으로 만들 수 있다. 그림을 정말 못 그린다면 못 그리는 나 자신을 부끄러워하지 말고 당당하게 정체를 알 수 없는 그림을 그려보자. 조금 창피할지라도 친구들에게 웃음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고 그림을 못 그린다는 나의 단점이 ‘당당하고 유쾌한 사람’이라는 장점으로 돌아올 것이다. 


우리는 모두 특별하다


문학작품을 구상할 때, 가장 중요한 과정 중 하나가 바로 캐릭터를 해석하는 것이다. 주요한 인물이라면 모두 특징적인 성격이나 습관을 가지고 있다. 이 말인즉슨 이야기 속 특별한 인물이 되기 위해서는 개성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기사를 통해 지금까지는 알지 못했던 특별한 나에 대하여 알게 되었으면 좋겠다. 




지난 기사

심리치료 분야의 아버지, 아론 백의 인지 치료(Cognitive Therapy)




참고자료

Helm, K. (2021, December 30). The Problem of Perfectionism. Lewis University Experts Blog. Retrieved October 5, 2022, from https://www.lewisu.edu/experts/wordpress/index.php/the-problem-with-perfectionism/#:~:text=Research%20has%20demonstrated%20that%20high,feelings%20of%20low%20self%2Dworth. 

Nemko, M. (2022, January 8). How to become special. Psychology Today. Retrieved October 5, 2022, from https://www.psychologytoday.com/us/blog/how-do-life/202201/how-become-special 

덧붙이는 글

기사 제목의 특성상 ‘특별한 사람이 되는 법’이라고 표현했지만, 인지하지 못했을 뿐, 우리는 이미 특별한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사가 특별한 당신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4731
  • 기사등록 2022-10-15 20:05:5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