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행복한 삶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 -긍정심리학적접근을 중심으로
  • 기사등록 2022-11-05 22:19:45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김재중 ]


[행복한 삶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행복한 삶은 무엇인가?"라고 누군가 묻는다면 즉각적인 대답이 나오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혹, 즉각적으로 얘기하는 사람이 있다 한들 평소에 삶의 의미와, 행복에 대해 사유하는 시간을 가졌던 사람과 비교했을 때는 대답이 담고있는 생각의 깊이가 다를 것이다. 


우리 모두는 행복할 권리가 있으며,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한 행동들에 대한 자유 의지가 주어졌으며 이를 침해 당하지 아니할 권리 또한 지니고 있다. 진정한 행복에 대한 정의는 개인 차가 분명히 존재할 것이다. 

어떤 이는 본인이 생각하는 기준에 부합한 재산을 지니고 있고 그것을 소비하며 사는 것이 진정으로 행복한 삶을 사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 어떤 이는 명예를 얻어서 많은 사람들이 자신을 알아보고 지지하고 우러러보는 시선을 누리는 삶이 진정으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것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우리가 진정으로 행복한 삶을 살려면 어떤 자세를 가져야 하는가? 오늘은 그 질문에 대해서서  긍정 심리학적 관점에 의거해서 진정한 행복을 누리고 성장하는 삶이 무엇인지, 어떤 자세를 지니고 살아야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긍정심리학이란 무엇인가?]



긍정심리학은 인간의 긍정적인 심리적 측면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인간의 행복과 성장을 지원하는 심리학의 분야이다.


긍정심리학에서는 인간의 진정한 행복과 성장을 위해서 과거의 상처에 비중을 두어 불행을 제거함으로써 행복으로 나아가는 소극적인 방법이 아니라, 개인의 현재와 미래를 위해서 스스로의 강점을 단련하여 적극적으로 삶의 의미를 찾아가도록 접근하고 개입하는 것에 대해 연구한다.


1998년 미국심리학회 회장이자 긍정심리학의 대가인 Seligman은 신년사중에서 연구를 과거의 깨어진 삶에 대한 것보다 무언가 잘 해낼수 있는 일에 대해서 비중을 두고 연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Seligman은 인간 내면의 긍정적인 심리를 확장시켜서 기쁘고 만족스러우며, 당면하는 역경과 고통의 상황들을 이겨내고 스스로 하여금 행복을 만들어 나갈 수 있는 도구로써 긍정심리학을 말한다.


긍정심리학에서는 크게 쾌락주의적 행복관과 자기실현적 행복관 2가지로 행복에 관한 관점을 설명한다.


먼저 쾌락주의적 행복관은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을 통해서 자신의 삶에 대해 만족감과 안락감을 느끼게되는 긍정적인 심리상태를 누리는 것이 행복이라고 보는 관점이다. 

쾌락주의적행복관은 외부로부터의 복잡함을 벗어나 개인의 안락하고 편안한 삶을 중시하는 소극적인 행복관이라고 볼 수 있다.


자기실현적 행복관은 개인의 잠재적 능력을 긍정적인 성품을 통해서 충분하게 발휘함을 통해서 자신과 주위 사람들과 함께 번영하는 삶의 형태로 정의할 수 있다.


기존의 정신분석학과 같은 결정론적 관점에서는 인간에대해서 어떠한 조건에 의해서 결정되는 존재라고 이해했었다. 그러나 긍정 심리학에서 인간은 어떠한 조건에 의해 결정되는 존재가 아니라 스스로 자유의지가 있어서 상황에 대해서 굴복하거나 극복하는 것을 스스로가 선택할 수 있는 능동적인 존재로 이해한다.


긍정심리학에서 강조하는 바와 같이 우리가 각각의 잠재적 능력을, 강점을 충분히 발휘함을 통해서 자신을 비롯한 주위 사람과 번영을 이루는 삶의 형태를  지향하고 나아간다면 

우리는 자기실현적인 행복, 지속적인 행복, 성장하는 삶으로 한층 더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다.



[행복한 삶을 살려면 어떻게 해야하는가?]



심리학자 Ben-Shahar에 따르면 '최적의 행복'이란 미래에 대한 분명한 목표의식을 가지고 살아가되 현재의 과정, 그 과정에 고통과 역경이 포함되어있다 한들 그러한 고통과 역경을  즐길 줄 아는  삶

즉, 현재와 미래가 함께 행복할 수 있는 삶을 사는 것이라고 말한다. 


자신이 하는 일에 열정을 느끼고, 자신의 잠재력을 발견하고 자신이 하는 일이 의미가 있고 가치있다고 느끼게 되면 누구든지 행복해질 수 있다.


또 그런 행복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즐거움과 의미를 동시에 가질 수 있는 목표를 정하고,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행동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자신의 현재 위치에서 최선을 다할 수 있고, 목표를 위해 나아가는 현재의 과정들을 즐길 수있으면 그 즐거운 감정들은 곧 자신의 행복감을 느낄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행복의 도구로써 긍정심리학을 우리 삶에 대입해본다면 어떨까?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말하는 행복과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한 자세는 우리가 

삶의 의미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보고, 본인의 인생관을 결정하는데 또 하나의 긍정적인 방향성을 제시해 줄 것이다.


행복이 무엇인가에 대해 고민하는 이들, 행복한 삶을 사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는 이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지난 기사

쉼 없이 달리고 있는 당신, 휴식의 미학을 아십니까?

현실을 잠시 떠나 마주하는 ‘나만의 무릉도원’ 그 세계가 주는 이점

‘일상으로의 회복' 으로 가는 걸음, 코로나19가 지나간 자리를 돌아본 후 내디뎌야 할 걸음




참고문헌

고윤숙.(2022). 긍정심리학의 행복구조에 관한 기독교 상담학적 고찰 및 적용: Seligman과 Ben-Shahar를 중심으로.KCI JOURNAL, 13권(3), 2237-2250.

"긍정심리학이란?"[한국긍정심리연구소].http://www.kppsi.com/main.php?location=positive1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4922
  • 기사등록 2022-11-05 22:19:4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