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예은
[The Psychology Times=전예은]
미디어가 발전한 사회는 심리학에 대한 접근성을 높였다. MBTI가 가장 적절한 예시다. MBTI를 통해 사람들은 자신을 이해하게 되고 타인과의 다름을 전보다 비교적 쉽게 이해하는 모습을 보게 된다. 미디어의 발전으로 인해 TV 프로그램은 심리상담, 정신과에 대한 인식을 바꿔놓기도 했다. 대부분의 상담이나 육아 프로그램 패널로 자리하고 있는 오은영 박사는 심리검사나 심리 이론 등을 TV 프로그램에 나와 설명하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 그 중 사람들의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킨 것이 ‘애착이론’이다.
애착이론은 부모와 영유아 간에 형성되는 정서적 유대감이다. 애착유형으로는 불안형 애착, 회피형 애착, 혼란형 애착, 안정형 애착 등이 있다. 어감에서 알 수 있듯이, '안정형 애착'이 가장 안정적이고 건강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형태의 애착이다. 그렇다면 불안정형 애착은 안정형 애착이 될 수 없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애착 이론을 연구하는 해외 심리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어린 시절의 애착이 성인까지 꼭 지속되지는 않는다고 한다. 애착은 삶의 환경과 경험에 의해 충분히 변화가 가능하며, 부정적인 사건으로 인해 안정형 애착이 불안정형 애착이 되는 경우도, 긍정적인 사건으로 인해 불안정형 애착이 안정형 애착이 되는 경우도 모두 존재한다고 연구를 통해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는 불안정형 애착을 가졌더라도 노력과 경험을 통해 안정형 애착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노력으로 얻은 안정형 애착을 '획득된 안정애착'이라 부른다. 애착은 유아기 전반에 걸쳐 형성되며 애착 유형이 영속적이라는 애착 이론의 창시자 보울비의 주장과 다르게 이후 학자들은 애착은 성인기에 걸치면서도 형성되며 이에 따라 충분히 변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즉, 어린 시절에 부모에게 정서적이나 신체적 학대를 경험했더라도 성인기에 걸치기까지 다른 애착 인물을 만나고 관계를 맺었을 때 안정애착을 획득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획득된 안정애착'이라는 개념이 등장하고 초기에 연구했던 심리학자 Egeland는 비학대적인 어른과 친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불안정 애착을 가진 사람들이 안정애착을 획득하는 모습을 발견하였다고 했다. 또한 이들은 친밀한 관계의 어른으로부터 정서적 지지를 받아오며 변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획득된 안정애착을 가진 사람들은 결혼 이후 배우자와도 정서적이고 원만한 관계를 유지중인 것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획득된 안정애착으로 변화할 수 있는 첫번째 방법은 '정서적 지지'를 받는 것이다. 정서적 지지를 받는 것은 어떻게 보면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 자신이 정서적 지지를 상대에게서 기대하고 그런 지지를 받을 자격이 있다고 믿는 것에서부터 비롯된다. 자신이 사랑하는 상대를 포기하지 않고 그를 믿고 기대하는 것이다. 두번째 방법은 '과거를 성찰하는 것'이다. 과거 경험을 되돌아보며 과거 경험이 현재의 자신을 형성하는 데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본인을 더 알아가며, 본인이 현재 맺고 있는 타인과의 관계의 의미를 재정립하는 것이다. 이렇게 과거의 경험을 되돌아보며 자신을 알아가고 성찰할 때에는 심리상담사의 도움도 효과적인데, 이는 자신이 일관성 있는 성찰과 애착을 형성하는 데에 큰 도움을 준다. 세번째로는 '타인을 성찰하는 것'이다. 타인을 성찰해보면서 타인과의 관계에서 구체적으로 실현하고 싶은 의미가 무엇인지 되돌아보고, 실제적으로 변화를 실천해보면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혼란을 갖기보다 직면하며 자신이 내리는 관계의 정의를 보완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획득된 안정애착은 지속되는 불안정 애착과 동일하게 우울 지수가 비슷하고 지속형 안정애착보다 부정적인 감정에 취약하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성장기가 종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삶의 전반에 걸쳐 안정 애착을 획득할 수 있다는 사실은 불안정 애착의 사람들에게 매우 희망적인 사실이다. 우리는 변화하는 동물이다. 애착 유형을 획득해 나갈 수 있는 것처럼 우리에게 못 고치는 마음의 병이란 없다. 우리는 계속해서 변화할 수 있다.
지난 기사
더이상 나아갈 수 없을 때: 인문학이 당신을 치유할 때
출처
임선배. "대학생의 획득된 안정애착과 성격강점간의 관계." 국내박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3. 대전
서미경. "애착의 변화 : 획득된 안정애착과 현재의 불안정애착을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4. 경기도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melody091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