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심리학 신문_The Psychology Times=김채현 ]

 

사진=JTBC '재벌집 막내아들' 방송 캡처

위의 이미지는 JTBC에서 방영한 ‘재벌집 막내아들’의 한 장면으로 시청자들로 하여금 등장인물들 사이의 권력을 알 수 있게 한다.

위와 같이 상대적으로 권력이 높은 인물을 높은 위치에 두고, 권력이 낮은 인물을 낮은 위치에 두어 사람들 사이의 권력 격차를 보여주는 구도는 드라마 혹은 영화에서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는 오직 미쟝센을 위해서 존재하며, 대중매체에서만 보이는 장치가 아니다. 현실에서도 위치와 권력의 상관관계는 존재하고 있다.

 

현대 사회의 건물들을 가만히 둘러보면 대다수의 건물이 모두 고층 형식이다.

건물의 데이터베이스를 가진 ‘Council on Tall Buildings and Urban Habitat’에 따르면 특히 대한민국은 150m 이상의 건물을 가진 전 세계국들 중 4위에 해당한다.

 

그런데 이 고층 건물은 사람들에게 존재 그 자체의 의미인 ‘많은 층수를 가진 높은 건물’이라고만 와닿지는 않는다. 고층 건물은 마치 피라미드와 같이 권력을 보여주는 상징으로 비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분양가격을 보면 고층이 저층보다 평균적으로 더 높은 가격에 분양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제로 고층 아파트나 호텔의 맨 위층은 고급 주거 공간으로 흔히 펜트하우스라 불린다. 또한, 회사 빌딩의 맨 위층은 주로 높은 지위 혹은 직급을 가진 사람들이 사용한다.

따라서 사람들은 고층 건물의 맨 위층을 보며 “높다”라는 생각보다 “저기는 어떤 사람들이 있을까?”라는 의문을 더 많이 갖기도 한다.

 

그렇다면 고층은 언제부터 그리고 어떻게 권력의 상징이 되어버린 것일까?

 

발터 슈미트(Walter Schmidt)의 ‘공간의 심리학’에 따르면 1853년, 엘리베이터 발명 이전까지의 건물들은 지금처럼 높지 않았고, 고층이 아닌 2층 혹은 1.5층의 공간이 선호되었다고 한다. 높은 직급을 가진 사람들이 힘들게 계단을 오르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엘리샤 오티스(Elisha Otis)에 의해 현대식 엘리베이터가 발명된 이후로 상황은 역전되었다. 건물의 높이에 있어서 혁명을 가져왔으며, 더 이상 계단을 통해, 수많은 발걸음을 내디디며 한 층씩 올라갈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낮은 층에 살든, 높은 층에 살든 해당 층에 가기 위해 개인에게 드는 노력은 비슷해졌다.

 

따라서 더 이상 ‘노력의 정도’에 의해서 층수가 정해지던 과거와는 달리 ‘인간의 심리적 특성’을 이용하며 높은 직급을 가진 사람들은 고층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인간과 동물은 계급 및 서열이 가장 높은 개체인 ‘알파’를 마주할 때 위로 올려다보며, 서열이 낮은 개체는 고개를 숙이거나 엎드림으로써 자신보다 서열이 높은 상위 개체에게 자신의 위치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또한 진화심리학자 하랄트 오일러(Harald Euler) 교수에 따르면 “그룹에 속한 사람이 그룹 구성원들에게 지시를 내릴 때는 구성원들보다 높은 위치에 올라가 지시를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라고 한다.

 

즉, 고층에 사회적으로든, 경제적으로든 직급이 높은 사람들이 위치하는 것은 단지 ‘풍경이 좋아서’가 아니라는 것이다.

 

사람들은 흔히 ‘심리학’이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MBTI와 같은 심리테스트 혹은 심리상담을 주로 떠올린다. 하지만 ‘심리학’은 테스트를 하지 않아도, 상담소에 가지 않아도 사람들 곁에 늘 항상 함께 있다. 심리학은 인간의 행동 혹은 심리 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분야로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너무나 익숙하기 때문에 의문을 품지 않고 스쳐 지나가는 수많은 현상 혹은 풍경에 주의를 기울이면 누구든지 일상생활 주변에 숨겨져 있는 심리학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발터 슈미트. (2020.05.07.). 공간의 심리학(인간의 행동을 결정하는 공간의 비밀). 반니.

-이성규 (2015.08.13). 도시를 수직으로 확장시키다. The Science Times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B%8F%84%EC%8B%9C%EB%A5%BC-%EC%88%98%EC%A7%81%EC%9C%BC%EB%A1%9C-%ED%99%95%EC%9E%A5%EC%8B%9C%ED%82%A4%EB%8B%A4/

-재벌집 막내아들 공식홈페이지. (2023). “명장면클립”. https://tv.jtbc.co.kr/clip/pr10011524/pm10066036/vo10642546/view#player-wrap

-한국심리학회. (2023). “심리학정보”. https://www.koreanpsychology.or.kr/user/sub03_1_1.asp

-Council on Tall Buildings and Urban Habitat. (2023). “countries”. https://www.skyscrapercenter.com/countries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5692
  • 기사등록 2023-02-20 13:22:1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