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성민기 ]


Pixabay

방 안에는 원탁과 3명의 사람이 앉아있다. 세 사람의 앞에는 현금 1억이 들어있는 가방이 있으며 세 사람은 각자 ‘독식’ 혹은 ‘분배’ 라는 선택지 중 하나를 동시에 선택해야 한다. 세 사람 모두 분배를 선택한다면 세 사람은 각자 3천만 원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셋 중 한 사람만 독식을 선택하고 두 사람이 분배를 선택한다면 독식을 선택한 한 사람이 1억을 모두 차지하게 되고 분배를 선택한 두 사람은 돈을 받을 수 없다. 한 사람이 분배를 선택하고 두 사람이 독식을 선택한다면 분배를 선택한 사람이 6천만 원을 독식을 선택한 두 사람이 각각 2천만 원을 받게 된다. 세 사람 모두 독식을 선택하는 경우 똑같이 각자 1천만 원을 받게 된다.


과연 세 사람은 각자 어떤 선택을 하게 될까?


독창적인 온라인 콘텐츠 기획으로 유명한 유튜브 크리에이터 장지수 씨가 기획한 유튜브 콘텐츠 <공범 2>의 마지막 화에서 나온 상금 분배 장면이다.


이 장면은 게임이론의 대표적 이론 중 하나인 '죄수의 딜레마'를 응용한 것이다.


관찰자 입장에서는 세 사람 다 분배를 선택하여 각각 3천만 원씩 가져가는 것이 가장 좋은 선택지처럼 보인다.


그러나 ‘죄수의 딜레마’ 이론은 각자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최선의 방법을 선택한다고 했을 때 각자에게 더 좋은 결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결과가 각자에게 더 불리해지는 방향으로 전개된다는 점에서 상당히 흥미로운 이론이다.


이 이론의 당사자들은 왜 모두가 이득을 볼 수 있는 방법을 택하지 않았을까?


'죄수의 딜레마' 현상은 이 이론의 구조 때문에 발생한다.


서로 협조하면 서로에게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이론의 당사자들은 대부분 전체의 입장에서 최선을 선택하는 것을 목표로 삼지 않는다.


전략을 바꿔 전체보다는 자신의 입장에서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면 다른 사람이 손해 보더라도 자신을 위하는 선택을 하는 것이 훨씬 합리적일 것이다.


상대가 협조할 때 자신도 협조해서 얻는 이익보다 상대를 배반했을 때 자신이 얻을 수 있는 이익이 더 크다는 것이다.


위 사례를 예시로 들면 한 사람이 얻을 수 있는 이익은 분배를 선택했을 때 최소 0원에서 최대 6천만 원이지만 독식을 선택한다면 최소 1천만 원에서 최대 1억 원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그렇다면 개인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독식을 선택하는 것이 손해도 줄이면서 최대의 이익까지 생각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 여기게 되고 이러한 생각으로 모두 독식을 선택하게 된다면 각자 최소한의 이익만을 얻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 이론의 결론은 개인의 이기적인 선택으로 인해 전체의 입장에서 손해를 보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는 관점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이러한 '죄수의 딜레마' 이론은 실생활 속에서도 자주 등장한다.


지인 여러 명과 같이 식사 후 밥값을 계산할 때 1/n로 계산한다고 했을 때 옆의 지인이 값비싼 메뉴를 시킨다면 내가 지인보다 비교적 저렴한 메뉴를 시키더라도 내가 낼 금액은 지인이 시킨 음식과 내가 시킨 음식값의 1/n 일 테니 굳이 비교적 저렴한 음식을 주문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모든 사람이 상대적으로 비싼 메뉴를 고르게 되고 결국 주문한 메뉴의 값을 각자 지출하는 것보다 더 비싼 식사를 하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예시를 본다면 같은 업종의 A 기업과 B 기업이 고객 유치를 위해 경쟁을 벌이는 경우 A 기업이 광고를 확대하여 고객을 유치한다면 당연히 B 기업 또한 고객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광고, 홍보 부문을 확대할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는 경우 결국 두 기업은 광고에 막대한 자본을 투자함으로써 이익을 얻기보다 오히려 두 기업 모두 손해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위 사례들을 통해 ‘죄수의 딜레마’ 이론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서로 협력하기보다 상대방을 배반하는 것이 유리해 보이기 때문에 협력이 유지되기는 어렵지만 서로 신뢰하고 협력한다면 더 우월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도 이러한 선택의 상황이 왔을 때 무작정 자기 자신에게만 유리한 선택을 하는 것보다는 조금 더 고민 후 다른 사람들을 신뢰하고 다 같이 좋은 결과를 얻어 보는 것이 어떨까?



참고문헌

조인성. 2017. 「죄수의 딜레마의 개념과 적용」. 『專門經營人硏究』. 20. 전문경영인학회

죄수의 딜레마는 무엇이고 생활에 어떻게 나타날까. [조선비즈]. (2011)

url: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8/11/2011081102209.html

TAG
1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5717
  • 기사등록 2023-02-21 18:32:1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