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수아
[The Psychology Times=조수아 ]
‘피는 물보다 진하다’라는 말이 있다. 이는 혈육의 정이 깊음을 이르는 말로, 피로 이어진 가족의 깊은 가족애를 표현할 때 흔히 쓰이는 표현이다. 그렇다면 과연 정말로 피는 물보다 진한 것일까? 다시 말해, 피로 이어진 가족만이 끈끈하고 애틋한 것일까?
일본 영화의 거장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가족 영화는 이러한 물음을 관철하는 새로운 가족의 형태를 제시한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은 1995년 영화 <환상의 빛>을 시작으로, <아무도 모른다>, <걸어도 걸어도>, <바닷마을 다이어리> 등의 수작을 제작하며 평단의 호평을 받았다. 이를 이어 2018년에는 영화 <어느 가족>으로 칸영화제 최우수상이 황금종려상을 수상하며 세계적으로 그 영화의 가치를 인정받았다. 또한 최근에는 우리나라의 배우 배두나와 송강호, 강동원, 이지은 주연의 영화 <브로커>의 개봉으로 국내 관객들에게도 그의 이름을 알린 바 있다.
이러한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영화들은 대부분이 ‘가족’을 소재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가족을 소재로 한 영화들이 넘쳐나는 영화 시장 속에서 고레에다 감독의 영화가 특별함을 갖는 이유는 바로 ‘피로 이어지지 않은’ 가족의 이야기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가족 영화’라고 하면 혈연으로 이루어진 가족들의 끈끈한 사랑 이야기를 다루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고레에다 감독의 영화는 비혈연의 다양한 형태의 가족의 모습을 보여주며, 그 속에서는 무엇보다 진한 가족애가 느껴지도록 만든다. 여기에 더해 고레에다 감독의 영화는 그들을 통해 왜 남이었던 이들이 진짜 가족이 될 수밖에 없었는지에 관한 서사를 부여하는데, 이 중 많은 부분이 사회 문제를 꼬집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영화는 차별점을 갖는다. 지금부터는 이러한 고레에다 감독의 영화 속 새로운 가족의 형태와 그들을 진정한 가족으로 만들어준 데에는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쳤을지 이야기해 보고자 한다.
영화 <아무도 모른다> 속 가족의 형태
고레에다 감독의 영화 <아무도 모른다>에서는 아버지가 다른 네 명의 아이들로만 이루어진 가족이 등장한다. 이들은 어린 나이에 어른들로부터 방치되어 열악한 환경 속에 남겨지게 됨에도 불구하고, 끈끈히 연대하며 가족의 형태를 이루어 살아간다. 어린 나이임에도 서로를 누구보다 이해하고 가장 잘 돌볼 수 있는 ‘가족’으로서 받아들인 것이다.
영화 <어느 가족> 속 가족의 형태
앞선 작품의 아이들은 같은 엄마와 다른 아빠의 자식들이라는 공통점이 있었다면, 감독의 또 다른 작품 <어느 가족> 속에 등장하는 가족들은 공통점이 없다는 공통점을 가졌다. 영화 속 가족의 구성원을 보면 여느 가족들과 다를 것 없어 보이는 균형을 갖추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엄마, 아빠, 첫째 딸, 둘째 아들, 막내딸, 그리고 할머니까지. 그러나 이들은 모두 본래 가족들로부터 버림받았거나, 스스로 버렸거나, 도망쳐 나와 뭉친 새로운 가족들이다. 이들은 세상으로부터, 혈육으로부터 상처를 입고 혼자가 되었다가, 공통의 아픔을 공유하고 있는 이들을 만나 새로운 형태의 가족을 이루었다.
이와 같은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영화 속 비혈연의 다양한 가족의 형태를 통해 우리는 진정한 가족이란 무엇인지, 가족의 의미에 관해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다. 공감과 연대, 함께 공유하고 있는 것들로부터 느끼는 동질감. 서로가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유일무이한 존재라는 사실. 이러한 요소들이 그들을 진짜 가족보다 더 진짜인 가족으로 만든 것이다.
<아무도 모른다> 속 아이들은 모두가 같은 상황 속에 놓여있다. 엄마는 같지만, 다른 아빠를 가진. 그러나 아빠의 존재 자체도 알지 못하는 아이들이라는 점에서 그들은 서로 연대한다. <어느 가족> 속 가족들은 각자의 필요에 의해 함께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늘 함께하며 서로를 보듬는다. 이들은 서로의 아픔을 누구보다 제대로 공감하고 이해한다. 개인의 아픔이 아니라, 함께 공유하고 있는 공통의 아픔이기 때문이다. 피로 이어진 가족 간에도 서로를 이해해 주지 못해서 부딪치고 갈라지는 사회 속에서 비혈연 관계인 이들은 피보다 진한 무언가로 연결되어 있다. 어쩌면 진정한 가족이란 피가 아닌 물일지라도, 무언가를 함께 공유하며 진심으로 공감할 수 있을 때 이루어지는 것일지 모른다.
[참고 문헌]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피는 물보다 진하다
정수완, 2014, 고레에다 히로카즈 영화에 나타난 가족의 의미 연구,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sua5584@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