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채빈
[The Psychology Times=정채빈 ]
도서관에서 공부하는 사람들을 관찰하다 보면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낀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으로 나눌 수 있다. 무언가를 듣는 사람 중 강의 듣는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은 음악을 들으며 공부하고 있을 것이다. 필자가 친구들과 공부할 때도 클래식을 듣는 친구, 가요를 듣는 친구, 아무것도 듣지 않는 친구 등 여러 가지 공부 방식을 관찰할 수 있다. 그리고 모두 “이 방법이 가장 집중이 잘 된다”고 말한다. 즉 누군가는 음악을 들어야 집중이 잘 된다고 느끼지만 다른 누군가에게 음악은 집중을 방해하는 소음인 것이다. 과연 공부와 음악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으며 어떤 방식으로 공부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까?
음악의 긍정적 효과
대부분의 공부는 오감 중 한 가지인 시각을 주로 사용한다. 이는 시각을 제외한 다른 감각들은 심심한 상태로 남겨두는데 이 상태가 공부 중 하는 행위들, 예를 들어 볼펜 돌리기 (촉각), 간식 섭취 (미각)을 유발하는 것이라고 한다. 여기서 청각도 예외가 아니다. 다시 말해서 공부 중 노래를 듣는 것은 오감 중 하나를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악 감상은 스트레스 호르몬과 혈압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음악 감상은 불안감 감소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 예로Groake의 연구에서는 조용한 상태와 음악을 듣는 상태에서 참가의 불안감을 비교했을 때 음악을 듣는 참가자들의 불안감 수치가 눈에 띄게 줄어드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 연구는 음악을 듣는 것이 정신건강 관리에 중요한 마음 챙김 레벨을 높였다고 주장한다. 그러니 여러 가지 걱정에 공부에 제대로 집중을 못 하는 경우 음악 감상이 불안감을 줄이며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음악의 부정적 효과
공부 중 음악을 듣는 것은 일종의 멀티태스킹으로 이해해야 한다. 뇌는 한 번에 두 가지 일을 하는 데 취약하다. 인지 뇌과학자 SAHAR YOUSEF은 멀티태스킹은 존재하지 않으며 우리가 멀티태스킹이라고 부르는 것은 뇌가 두 행위 사이를 빠르게 오가며 집중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두 행위 사이를 오가는 데는 많은 정신적 에너지가 사용된다. 즉 음악을 들으며 공부를 하는 것은 두 가지 일을 동시에 한다기보다는 공부에 집중했다가 음악에 집중하는 식인 것이다. 이는 정신적 에너지를 빨리 소모하기 때문에 공부를 하는 중 금방 지치고 피곤하다고 느끼는 이유가 될 수 있다.
효율적인 방식
종합하면 두 방법 모두 뚜렷한 장단점이 있다. ‘어떤 방식을 택하는 게 더 효율적인가’에 대해서 학자들은 사람의 성향에 따라 다르다고 주장한다. 특히 외부 자극 욕구의 차이에 따라 음악을 듣는 것이 해가 되거나 득이 될 수 있다고 한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자극에 대한 욕구가 높은, 지루함을 쉽게 느끼는 사람의 경우 노래를 들었을 때 노래를 듣지 않은 경우보다 학습 능력이 낮았지만 상대적으로 외부 자극에 대한 욕구가 낮은 경우 음악 감상은 인지 능력을 향상한다고 한다.
가끔 음악을 들으며 공부를 하는 건 효율적이지 못하다며 한심하게 보는 시각이 존재하곤 한다. 그러나 연구들은 아직 어떤 방식이 더 효율적인가에 대해 일관된 답을 찾지 못한 듯하다. 이는 어떤 방식이 정답이거나 틀리다고 주장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또한 연구 결과들은 음악의 종류에 따라, 공부의 강도에 따라, 개인차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 그러니 자신이 가장 집중이 잘 된다고 생각하는 방식으로 공부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공부를 하는 것일 것이다.
지난기사
참고문헌
Does Listening to Music Regulate Negative Affect in a Stressful Situation? Examining the Effects of Self-Selected and Researcher-Selected Music Using Both Silent and Active Controls (Groarke et al., 2019)
The Science Times (website) 2020. 3. 13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C%9D%8C%EC%95%85%EC%9D%B4-%EC%A0%95%EB%A7%90-%ED%95%99%EC%8A%B5-%ED%9A%A8%EA%B3%BC%EB%A5%BC-%EB%86%92%EC%9D%BC%EA%B9%8C/
공부 잘 되는 소리기술에 관한 연구 (정찬중, 배명진, 2006)
Multitasking doesn’t work—here’s what does (Julia Martins, December 15th, 2022)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jcb091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