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양현서 ]


 

미술관에 가서 당신이 평소 보고 싶었던 그림 한 점 앞에 서 있다고 상상해보자. 충분히 그림을 감상한 뒤 당신은 친구들과 함께 작품에 관한 이야기를 나눈다. 당연하게도 그림에 대한 해석은 복사한 듯이 일치할 수 없을 것이다. 작품에 대한 의견이 나오는 데는 이를 감상한 시간, 그 당시 개개인의 심정, 그리고 그 밖에 각자의 배경을 구성하는 요소 하나하나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진실은 이런 면에서 그림과 비슷하다. 진실을 대하는 인간의 태도는 각자가 놓인 상황과 생각에 따라 너무도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분명 한 사건이 발생한 경위는 존재하는데, 이에 대한 해석은 수만 가지다. 그래서 우리는 입버릇처럼 “양쪽 입장을 다 들어봐야지”라고 말한다. 현대사회에서 벌어지는 일들은 대부분 미묘한 관점의 차이에 따라 가해자와 피해자가 뒤바뀌기도 하고, 혹은 아예 다른 사건으로 변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듯 진실에 대한 각기 다른 해석이 존재하는 것을 ‘라쇼몽 현상’이라 부른다. 이번 기사에서는 라쇼몽 효과와 이를 잘 다스리기 위해 필요한 노력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라쇼몽 현상이란?


사진출처·네이버 영화라쇼몽 현상은 일본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영화 <라쇼몽>에서 유래된 표현으로, 개개인의 해석에 따라 진실을 이해하는 것을 일컫는다. 이 작품은 어느 사무라이의 죽음에 얽힌 다양한 인물들의 의견을 따라 흘러간다. 산적과 사무라이의 아내, 그리고 해당 사건의 목격자인 나무꾼은 철저히 각자의 관점에 근거해 증언한다. 


작품의 말미에 이르자 인물들의 의견이 달랐던 이유가 각자의 명예를 지키기 위한 이기심 때문이었음이 밝혀진다. 결국 진실규명을 어렵게 만든 것은 사건에 대한 진술자들의 ‘자기중심적 해석’이었다. 이들의 진술은 각각의 입장에서는 진실일 수 있으나, 모든 이들의 의견을 아우를 수 있는 명백한 진실은 아니었다. 

 



라쇼몽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


오늘날 해당 표현은 객관적인 상황을 주관적으로 해석하는 사회 현상을 설명하는 데도 사용된다. 라쇼몽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다양한데, 먼저 앞서 작품에서처럼 각자가 중요시하는 가치, 다시 말해 ‘욕망적 진실’의 다양성을 꼽을 수 있다. 우리는 모두 각자 우선시하는 가치의 순위가 다르다. 어떤 이는 명예가 중요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이는 금전적인 가치를 가장 높게 평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자연스레 한 상황을 해석하는 데도 녹아들게 된다. 마치 <라쇼몽>에서 각 인물이 사실과는 상관없이 자신의 욕망에만 초점을 맞춘 진술을 했듯이 말이다. 


 이처럼 라쇼몽 효과는 개인의 욕망으로 인해 발동한 이기심과 같이 고의적인 것일 수 있지만, 이와 상관없이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도 있다. 대표적인 예시가 인간의 기억력이 지닌 한계성이다. 우리는 분명 다 함께 회의에 참여했음에도 각자 논의 사항에 대해 기억하는 바가 달랐던 경험을 하기도 한다. 이는 같은 말을 들었다 해도 이를 인식하는 과정은 조금씩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모든 상황에는 해석의 여지를 통해 메워야 할 구멍이 존재하는데, 이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는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한 사건에 관한 결과가 다른 점은 위와 같지만, 고의적인 의도는 들어가지 않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사람마다 기억력의 정도가 다르다는 점 역시 라쇼몽 현상의 원인 중 하나다.

 


진실에 한 걸음씩 가까워지기


 

그렇다면 진실을 마주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 앞서 언급했듯 우리는 모두 인간성의 결함을 가진 존재이기에, 오로지 하나의 사실만을 공유하고 주관적인 해석을 전부 지우는 것을 불가능할 테다. 다만 다음과 같은 노력이 수반된다면, 진실에 한 걸음 가까워지는 것은 가능하다.


라쇼몽 현상을 잘 다스리기 위해서는 ‘자기 객관화’가 이뤄져야 한다. 자기 객관화란 자신을 타인의 시선을 통해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의미한다. 각자가 가진 주관을 무시할 필요는 없다. 다만 본인이 어떤 욕망과 가치에 따라 결정을 내리고, 상황을 해석하는지에 대해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주변 사람들과 충분히 소통하며 각자가 지닌 주관을 공유해야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의견이 성립되는 데 영향을 미친 배경을 객관적으로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를 통해 지나치게 개인의 이익에만 기반한 의견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는 주관성을 구분할 수 있다. 한 의견에는 수많은 요인과 배경이 작용한다는 걸 소통하는 과정을 통해 공유하고 이해할 수 있을 때, 우리는 비로소 진실로 향하는 길에 한 발짝 내딛게 된다.

 




지난기사

디스토피아에서 마주한 타인의 존재

영원한 무인도가 아닌 산호섬에 당도하기 위해

성공 앞에서도 스스로를 의심하는 당신에게






(참고문헌)

김옥지. (2019). ‘라쇼몽 효과’의 현대적 수용과 원형적 의미‒아쿠타가와의 「라쇼몽」과 「덤불 속」을 중심으로. 한국일본근대학회

김철권, 임진수. (2019). 라쇼몽 - 욕망의 진실에 대하여. 한국영화학회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6025
  • 기사등록 2023-04-12 17:37:0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