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이예빈 ]


유난히 성격 테스트, MBTI 검사, 사주 등에 큰 감정이입을 하는 경우가 있으신가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심심풀이로 한 성격 테스트에서 결과를 보고선

"맞아.. 이거 완전 내 얘기잖아? , 헉! 완전 나랑 똑같다" 라고 말하는 경우 말입니다!


"지나친 관심은 나를 힘들게 해요"라거나 "귀찮은 건 전혀 하고 싶지 않아요"라는 말에 깜짝 놀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누구에게나 해당 되는 말일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이것은 단지 '바넘효과'라는 심리학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사실!


바넘효과에 대해 더 궁금하시다면 아래로 스크롤 해보시길 바랍니다.






바넘효과 (Barnum effect)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


일반적이고 모호해서 누구에게나 적용 가능한 성격 묘사를 특정한 개인에게만 적용되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성향입니다. 예를 들어, 점을 보러온 사람에게 점쟁이가 무슨 슬픈 일이 있나고 물었을 때, "어떻게 알았지, 여기 용하네"라고 생각이 드는 상황이죠.


과거 미국의 서커스 단장이었던 테일러 바넘이 사람들의 심리를 맞추는 묘기를 한 점에서 유래된 현상이기도 합니다. (과학적으로 바넘효과의 특성을 증명한 사람은 심리학자 포러이기에, "포러효과"라고도 일컫습니다.)


즉, 바넘효과는 누구에게나 통용되는 일반적인 사실을 자신한테만 특수적으로 발생한다고 믿는 현상이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바넘효과 원인



인간의 특성상 자기중심적으로 사고하는 이유 때문입니다. 자신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할 때 누구나 자기자신을 중심으로 두고 정보를 처리합니다. 누구나 자기 자신에게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죠. 특히 자신과 굳이 더 일치하는 부분이 있다면 내용의 전문성 혹은 신뢰성에 전혀 의심하지 않고 확신하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MBTI 검사를 일컫을 수 있습니다. " MBTI는 과학"이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이니 말입니다. MBTI 검사나 여러 심심풀이 성격 테스트는 사람의 유형을 단정적으로 나눌 수 있는 과학적 근거가 없습니다. 실제로 MBTI는 심리학으로 분류되지도 않습니다.


따라서 인간의 보편적 특성을 자기자신한테만 해당된다고 특별하게 생각하지 않아야 합니다.

다만 자기자신에 대해 이해하는데 참고하거나 이해하는 정도로는 생각할 수 있습니다.




바넘효과 주의점


 

점쟁이의 말이나, MBTI 검사, 여러 성격 테스트 등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어느 정도 괜찮습니다. 큰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자기자신에 대한 이해를 조금 더 높여줄 수 있습니다. 다만 주의해야 할 점들은 분명히 존재합니다. 그 중 일상 생활에서 주의할 점들 중 한가지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바로, 바넘효과를 활용하는 '광고'를 주의해야 합니다. 짧은 시간 안에 사람들의 마음을 바꿔 놓기 위해 다양한 심리 효과를 이용합니다.


반복되는 다이어트로 지치시는 분

식사시간이 불규칙하거나 요요가 오시는 분

잦은 회식으로 체중이 증가하신 분


위 멘트는 다이어트 광고 회사에서 활용한 바넘효과 전략 입니다. 다이어트 보조약을 찾아보는 사람들은 대부분 다이어트를 실패한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당연한 이유지만 그럴듯하게 이러이러한 분들에게 추천한다는 식으로 소비자를 매혹합니다.. 건강 악화로 체중이 증가할 수도 있고, 체질로 체중이 증가 할 수 있지만 여러 그럴듯한한 이유로 당신을 현혹하기에 충분한 광고 전략이죠.


따라서 광고에 현혹 되어 충동적인 구매를 하지 않도록 합리적인 생각을 해봐야 합니다.






지난기사

삐빅, 당신은 대2병인가요? 야나두!

금사빠, " 사랑에 빠진 게 죄는 아니잖아!"

그래 나 잘났어, '우월감'이 뭐가 문제인데?






참고문헌

매거진 낯선 사고, 당신을 믿게 만드는 마케팅 심리 전술 (2020.10.23) 

바넘 효과, 당신을 믿게 만드는 마케팅 심리 전술 - 매거진 낯선사고 (think-trigger.com)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6035
  • 기사등록 2023-04-14 18:13:0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 이예빈 이예빈의 다른 기사 보기
  • 안녕하세요 :) 심꾸미 7기로 활동하고 있는 이예빈 기자입니다.
    제가 경험하고 있는 심리학의 세계에 함께 푹 빠져 보세요!
    문의사항은 ye6807@naver.com로 연락 바랍니다.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