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옥
여성가족부(장관 김현숙)와 대한상공회의소 신기업가정신협의회(ERT)는 19일(수) 경기남부청소년자립지원관(경기 군포)에서 가정 밖 등 위기청소년을 위한 ‘제2차 다함께 나눔프로젝트’ 행사를 개최하고 코로나 이후 악화된 위기청소년 마음건강과 가정 밖 청소년 등의 자립을 본격 지원하기로 했다.
※ 신기업가정신협의회(ERT) : 기업의 기술과 문화, 아이디어 등으로 우리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에 새로운 해법을 제시하기 위한 기업들의 모임으로, 기업의 역할을 사회가치 증진까지 확장
이날 행사에는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자 에스케이(SK)를 이끌고 있는 최태원 회장과 정상혁 신한은행장, 이석장 이디야커피 대표 및 오병권 경기도 행정1부지사, 자립에 성공한 청소년, 청소년동반자 등이 참여하였다.
이번 나눔은 소방관 복지‧회복 지원에 이은 신기업가정신협의회(ERT)의 두 번째 나눔으로 후원 금액은 약 23억 원 규모이며, 에스케이(SK)그룹이 15억 원, 신한은행과 이디야커피가 각각 7억 원, 1억여 원을 기부한다.
- 후원금은 ▴(마음건강 지원) 찾아가는 청소년 마음건강 지킴이 버스(약 8억 원, 5대) ▴(자산형성 지원) 자립지원적금 및 경제 금융교육(7억 원) ▴(취업 지원) 맞춤형 인턴십(약 5억 원) ▴(건강한 식사 지원) 행복도시락(3억 원) 운영에 활용되며, 위기청소년 상담‧복지 전문기관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이 기부금 관리를 맡는다.
여성가족부는 이번 나눔을 계기로 가정 밖 등 위기청소년에 대한 민간의 관심과 지원이 지속되도록 위기청소년 후원단(명칭 공모 예정) 출범을 알리고 민간과 일반인 조언자(멘토)의 참여를 독려해 나갈 계획이다.
(마음건강 지원) 여성가족부는 지난 3월 장관 약속 1호로 ‘청소년 마음건강을 돌보겠습니다!’를 발표하였으며, 이번 나눔에 힘입어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 방문하기 어려운 지역의 위기청소년을 직접 찾아가는 ‘청소년 마음건강 지킴이 버스’ 5대를 시범운영한다.
코로나19 이후 청소년상담 1388의 정신건강 상담*과 불안·우울 증세**를 호소하는 청소년이 크게 늘어나는 등 청소년의 심리·정서적 어려움이 증가하고 있으며, 지방에 거주하는 위기청소년의 경우 지리적 한계로 원활한 상담서비스를 받기 어려웠다.
* 청소년상담 1388 정신건강 상담 : (’18년) 15만여건 → (’21년) 21만여건
** 10대 우울증 환자 수 : (’18년) 43,029명 → (’21년) 57,587명10대 불안장애 환자 수 : (’18년) 21,489명 → (’21년) 31,701명
청소년동반자와 청소년상담사 등이 찾아가는 버스를 타고 은둔·방임·학교폭력 등으로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청소년을 직접 찾아가, 위기청소년 여건과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상담과 사례관리를 진행할 계획이다.
찾아가는 상담을 통해 발굴된 청소년은 지난 3월부터 운영을 시작한 ‘고위기 청소년 집중심리클리닉’* 등 고위기청소년 지원 프로그램과 적극 연계할 계획이다.
* 집중심리클리닉 : 고위기 청소년에 특화된 근거기반 자살·자해 예방 상담 프로그램
(자립 지원) 가정폭력, 가정해체 등으로 집으로 돌아갈 수 없어 홀로서기를 해야 하는 가정 밖 청소년 등을 위한 자립지원적금과 경제금융교육, 맞춤형 일경험 프로그램(인턴십), 행복도시락을 운영하여 위기청소년의 자립기반을 강화한다.
신한은행은 자립을 준비하는 청소년(100명)이 납입하는 월별 금액만큼 추가금액을 입금(월 최대 15만원, 1:1 대응(매칭))해줌으로써 만기 시 최대 1,08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3년 만기 이율우대(최대 5.85%, ’23.4.19.기준) 적금 상품을 운영하기로 하였다.
또한 경제 금융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경제개념을 확립하고, 급여운용 방법, 재테크 등을 익힐 수 있는 맞춤형 교육 기회를 제공한다.
이디야커피는 카페에서 일하기를 희망하는 청소년 30명에게 커피전문가 양성 교육(국제커피스쿨, GCS) 및 수료 후 전국 이디야 매장에서 실습사원으로 6개월 동안 일하며 커피전문가로 거듭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실습기간 중 급여는 SK(70%), 이디야커피(30%)가 각각 지원하기로 하였다.
이 밖에도 다른 분야에 적성을 가지고 있거나 관심 있는 회사가 멀어 출퇴근이 어려웠던 청소년에게는 SK가 급여의 70%를 지원하는 일경험 프로그램(인턴십)을 통해 출퇴근 걱정 없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 곳에서 실무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돕는다.
SK그룹은 쉼터 등 시설 퇴소 후 자립 여건을 갖추기 위해 청소년자립지원관을 이용하는 청소년(250명)에게 1년 동안 주 3회 행복도시락을 제공하여 건강한 식사를 지원한다.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은 “성장, 자립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위기청소년을 위해 여러 기업이 함께 힘을 합쳤다는 점에서 매우 뜻깊고 감사하다.”라며, “특히 이번 후원으로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청소년을 사각지대 없이 지원할 수 있는 ‘청소년 마음건강 지킴이 버스’가 운영될 수 있고 가정 밖 등 위기청소년의 자립지원이 강화된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며, 앞으로도 이러한 민간의 관심이 지속되어 적극 협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출처 : 여성가족부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ueehuee@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