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성은
[The Psychology Times=최성은 ]
여름은 다이어트의 계절?!
곳곳에 보이는 푸른 나무들과, 머리를 타고 흐르는 땀방울들이 모두 여름이 왔음을 가리키고 있다. 찾아온 더위 속 사람들의 옷차림 또한 점점 가벼워지고 있다. 간소화된 옷차림에 따라 사람들은 여름을 맞이할 준비로서 ‘다이어트’를 하게 된다.
‘다이어트’는 자신의 체중을 줄여, 보다 건강한 몸으로 가꾸는 것을 이야기한다. 이러한 다이어트의 방법으로는 전세계적으로 다양하다. 키토제닉, GM 다이어트 등등 체중과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극심한 다이어트가 부르는 병
비만은 많은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건강에 해롭기 때문에, 체중을 관리하여 건강한 몸이 되는 것은 몸에 이롭다고 바라볼 수 있다. 하지만 초절식 다이어트, 원푸드 다이어트, 굶기처럼 식단의 영양소를 고려하지 않고 그저 ‘체중 감량’에만 목적을 둔 방법들은 오히려 건강에 득이 되는 것이 아닌 실로 가는 지름길이라 바라볼 수 있다.
특히 이처럼 ‘식사, 음식’에 대해 강력한 제지를 두고 다이어트를 지속하다 보면, 건강의 악화와 더불어 마음의 병인 ‘신경성 폭식증’이 찾아올 수도 있다.
우리의 몸과 마음을 위협하는 신경성 폭식증이란?
신경성 폭식증은 “체중 증가를 막기 위해 스스로 구토를 유발하거나, 설사약, 이뇨제를 남용하며 과도한 운동 등의 극단적인 행동을 하는 것으로 음식을 먹고자 하는 욕구와 체중 증가를 피하고자 하는 열망이 서로 충돌을 일으키는 정식적인 질환”이다. 주로 몸무게에 대한 과도한 강박으로 인해 음식에 대한 엄격한 절제를 하다가 스트레스와 같은 내부적 요인이나 외부적 요인에 의해 식단 조절을 포기하고, 몸에 무리가 갈 정도로 음식을 폭식하는 것을 이야기한다.
음식을 섭취한 후에는 자신이 음식을 참지 못했다는 죄책감으로 억지로 토를 하거나, 설사제를 먹거나 하는 등의 체중에 대한 강박을 보인다. 이러한 행위는 역류성 식도염, 영양 불균형, 소화장애 등의 신체적인 병증을 일으킬 수 있을 뿐더러, 정신적인 우울함, 허무함, 낮은 자존감과 자책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신경성 폭식증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다.
신경성 폭식증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신경성 폭식증에서 가장 중요한 치료법은 인지행동치료이다. 이는 잘못된 식습관을 교정하고, 폭식과 구토의 반복을 유발하는 왜곡된 생각을 수정하는 것이다. 또한 자신의 식이문제에 대해 관찰하고, 기록하는 방법을 배우며, 폭식의 촉발 요인을 찾아내 대처 요령을 익히기도 한다. 신경성 폭식증의 악순환을 끊어내기 위해서는 스스로의 극복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
신경성 폭식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신경성 폭식증을 극복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신경성 폭식증이 찾아오지 않게 예방하는 것이다. 예방 방법으로 가장 핵심적인 것은, ‘자존감’이다. 낮은 자존감과 부정적인 정서는 줄곧 폭식증으로 이어지기도 하므로, 자신의 신체를 사랑할 줄 알며, 체중 증가로 인한 체중 변화에 대해 예민하게 생각하지 않는 태도를 길러야 한다.
또한 수많은 다이어트 방법 중에서 극단적으로 식단을 조절하는 방법이 아닌, 균형잡힌 식사와 적절한 운동을 통해 체중을 감량하며, 건강한 몸을 가꿀 수 있는 다이어트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몸과 마음 모두 건강히 살아가는 삶
다이어트를 하는 이유는 모두 다 다를 것이다. 어느 누군가는 건강을 위해, 어느 누군가는 아름다움을 위해 체중을 관리하는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그 근본적인 이유는 모두 ‘더 나은 나로 만들기 위함’ 일 것이다. 다이어트는 다른 누군가가 아닌, 나 자신을 위해 하는 일이다. 그러므로 그 과정 속 자신의 자존감, 신체적 건강함과 정신적 건강함을 지키기 위해 극단적인 다이어트보다도, 오랫동안 즐기며 지속할 수 있는 다이어트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난기사
사예. (2022). 나는 식이장애 생존자입니다. 띠움.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cse122421@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