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한다혜 ]


스트레스란 무엇일까? 스트레스는 정서적인 부담을 주는 자극과 그에 대한 반응을 뜻한다. 우리는 흔히 부정적인 경험만 스트레스라고 여기기 쉽지만, 정의에 따르면 로또에 당첨되는 일도 일상생활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 정서적인 부담을 제공함으로 스트레스라고 볼 수 있다.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골칫거리는 모두 스트레스이며, 우리는 스트레스 상황에 매일 직면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스트레스에 ‘잘’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식은 사람마다 다르며 사람마다 효율적인 대처 방식도 모두 다르다. Lazarus와 Folkman은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식을 크게 2가지로 나눈 ‘문제 중심-정서 중심 스트레스 대처 모형’을 제시했다. 

 


문제 중심적 대처 전략


문제 중심적 대처는 스트레스의 원인 또는 스트레스 원인과 자신의 상호작용을 직접 변화시켜 적극적으로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법이다. 즉, 스트레스 상황그 자체 혹은 해당 스트레스 상황에 직면한 자신을 직접 변화시키는 것이다. 문제 중심 대처의 예로는 갈등 해소를 위한 대화 시도, 산책, 음악 듣기 등이 있다. 문제 중심적 대처는 스트레스 요인을 통제 가능하다고 생각할 때 자주 사용된다.


 

정서 중심적 대처 전략


정서 중심적 대처는 스트레스 원인을 회피하는 것이다. 또한 스트레스 그 자체가 아닌, 그와 관련된 정서 상태에 주의를 기울이며 스트레스에 대처한다. 정서 중심적 대처 전략의 예로는 사교 모임 나가기, 사회적 지지 얻기 등이 있다. 정서 중심적 대처는 스트레스 요인을 통제할 수 없다고 느낄 때 자주 사용된다. 

 

스트레스 상황을 회피하는 정서 중심적 대처 전략이 부정적으로 느껴질지도 모른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우리는 매번 모든 스트레스에 대해 직접적으로 해결책을 찾거나,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나의 역량을 키울 수 없기 때문에 정서 중심적 대처 전략을 더 자주 사용하며, 이러한 대처 방식이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스트레스는 일상적인 경험이며 매번 나에게 일어나는 유형도 다르다. 따라서 우리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대처전략을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대처 유연성’을 길러야 한다. 상황에 맞는 대처 방식이 다르므로 여러 가지 대처 전략을 마련하여 스트레스 상황에서 적절한 대처 방식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대처 전략도 물론 중요하지만 이와 함께 스트레스 예방훈련과 사회적 지지도 스트레스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스트레스 예방훈련의 가장 대표적인 예시는 ‘이미지 트레이닝’이다. 스트레스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 대해 떠올려 보고 이에 대한 자신의 개입 방법을 명시화하는 것이다. 

 

사회적 지지는 앞서 정서 중심적 대처 전략의 예시로 소개한 바 있다. 사회적 지지와 관련된 선행 연구에 따르면,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사람의 수보다는 누가 제공하는지가 더 중요하다.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 감소에 도움이 되는 과학적 이유는,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알려진 코르티솔 분비를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회적 지지가 항상 스트레스 상황에 직면한 당사자에게 긍정적인 영향만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사회적 지지는 때에 따라 지지(encourage)가 아닌 지적(evaluate)으로 통제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스트레스는 일상을 위협하는 일상적인 일이기 때문에 회피할 수 없다. 따라서 우리는 문제 중심적 대처와 정서 중심적 대처 방법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상황에 따라 적절한 대처 전략을 선택할 수 있는 대처 유연성을 길러야 한다. 더불어 스트레스 예방훈련과 올바른 방향의 사회적 지지로 현명하게 스트레스를 극복해 나아가야 한다.

 





지난기사

‘다나카 상’과 ‘카페 사장 최준’ 등 우리는 왜 ‘부캐’에 열광할까?

월요병, 단순히 출근하기 싫은 마음이 아니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면접 필승 전략

안녕하세요. 심리 상담사 ChatGPT입니다.

안녕히 계세요 여러분~!

‘그만해’와 ‘하지 마’ 중 더 효과적인 표현은 무엇일까?

첫사랑이 잊히지 않는 이유







[참고 문헌]

-정은주(Jung Eun-ju);안창일(Ahn Chang-Yil). (2012).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 전략에 관한 성차 연구. 여성연구, (), 137-162. 

-김희숙, 박완주.(2010).생활사건스트레스, 스트레스지각, 스트레스대처양식,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한국간호과학회 학술대회,(),239-239.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6509
  • 기사등록 2023-06-12 21:11:3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