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유다현 ]




  

최근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사람이 많은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갑자기 정신을 잃고 쓰러지는 경우가 흔하게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학업 문제로 크게 스트레스를 받았던 나는 이번 겨울 집에서 두 번 실신하는 경험을 하였다. 평소에도 컨디션이 좋지 않았지만 그날따라 심한 어지러움을 느끼면서 기절하였다. 쓰러지는 순간의 기억은 나지 않았고 누워있는 상태에서 정신이 돌아왔다. 처음에는 이석증인가 싶어 이비인후과를 가보았지만 결과는 아니었고 여러 병원에 다닌 결과 신체적 큰 문제는 없지만 미주신경성 실신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친구들에게 이에 대해 말하니 다들 본인이나 지인이 비슷한 경험을 했다며 우리 주변에서 흔히 일어날 수 있는 증상이라는 걸 알게 되었다.




미주신경성 실신이란?



미주신경성 실신이란 “극심한 신체적 또는 정신적 긴장으로 인해 혈관이 확장되고 심장 박동이 느려져 혈압이 낮아지는 현상이 갑자기 나타나는데, 급격히 낮아진 혈압 때문에 뇌로 가는 혈류량이 감소하여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는 것”으로, 신경 심장성 실신이라고도 부른다. (서울대학교 병원) 어지러움과 함께 피부가 창백해지고 시야가 흐려지며 쓰러지게 되는데, 이때 머리를 부딪히면 크게 다칠 수 있어 전조 증상이 있다면 빠르게 앉거나 누워야 한다. 미주신경성 실신은 혈압과 맥박수가 떨어지고 스트레스와 긴장이 신경계에 영향을 주면서 발생한다. 따라서 심하게 스트레스를 받았거나 사람이 많은 대중교통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다. 미주신경성 실신의 특별한 치료 방법은 없고 보통 자연스럽게 호전되지만 증상이 반복될 경우 혈액검사, 심전도검사, MRI 등의 검사를 진행해야 한다.




카페인과 스트레스


 


실신으로 인해 여러 병원에 다녔을 때 공통으로 들었던 말은 ‘커피를 줄여야 한다.’라는 것이었다. 카페인을 많이 포함하는 음료는 교감신경을 자극하면서 심장박동을 빠르게 하거나 혈압을 올린다. 그런데 과도한 상태가 된다면 이를 억제하기 위해 신체가 작용하다가 오작동이 생기며 미주신경성 실신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자율신경계는 스트레스에 취약하며, 카페인은 긴장감을 유발하면서 스트레스에 시달리게 만들 수 있어서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 규정한 성인의 카페인 최대 일일 섭취권장량 400mg을 넘지 않도록 유의하며, 평소보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상황이라면 카페인 섭취를 잠시 중단해야 한다. 자율신경계에 이상이 있을 경우 복통, 속 쓰림 등이 발생할 수 있는데, 카페인을 과다 섭취할 경우에도 소화장애, 위염 등을 일으킬 수 있다. 평소 건강하던 20대이더라도 공부나 일을 하기 위해 밤을 새우려고 카페인을 많이 섭취한다면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 속에서 카페인이 작용하여 신체적으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주신경성 실신을 예방하려면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미주신경성 실신은 심할 경우 정밀 검사 후에 약물 치료를 할 수 있지만 대부분 자연적으로 호전된다. 그러나 반복되는 스트레스로 인해 여러 번 실신을 경험한다면 스트레스가 다른 병을 일으킬 수도 있다. 만병의 근원인 스트레스는 본인만의 해소 방법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이더라도 몸 밖으로 배출해야 미주신경성 실신을 포함한 여러 증상을 예방할 수 있다. 진부하게 들릴 수 있겠지만 우리 몸속으로 들어온 스트레스는 어느 곳에서 문제를 일으킬지 모르기 때문에 자신만의 꾸준한 운동과 취미 생활을 통해 스트레스에 노출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항상 나의 신체적•정신적 상태에 대해 정확히 알고 적절한 생활 습관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면서 본인의 몸을 관리해야 한다. 만약 미주신경성 실신을 경험했다면 현재 내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지, 어떻게 해소하면 좋을지 돌아보는 시간을 가지면서 건강을 회복하길 바란다.







[참고자료]

- 서울대학교병원. 미주신경성 실신. N 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597 

- 스포츠동아. (2021.1.12.). [건강 올레길]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실신, 원인 파악부터 먼저 해야. https://sports.donga.com/article/all/20210112/104882804/1 

- 시사위크. (2023.4.4.). 적정선 넘으면 ‘독’ 되는 ‘카페인’… ‘커피 한 잔’엔 얼마나?. http://www.sisaweek.com/news/articleView.html?idxno=203874 

- 헬스인뉴스. (2023.5.31.). 원인 모를 심신의 이상 증상, 스트레스로 인한 ‘자율신경실조증’ 의심 [이승준 원장 건강칼럼]. http://www.healthi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962 

- 헬스조선. (2023.6.10.). 출근길 지하철 실신, 전조 증상과 대처법은….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6/09/2023060902374.html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6716
  • 기사등록 2023-07-03 07:35:5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