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김시은 ]


이 세상에 태어난 모든 사람들은 각기 다른 삶을 살아갑니다. 화목한 가정에서 태어날 수도 있고 엄격한 가정에서 태어날 수도 있으며 부유한 가정에서 클 수도 있고 가난한 가정에서 클 수도 있습니다. 항상 웃는 얼굴을 띄며 사는 사람도 있고 무뚝뚝한 사람도 있으며 당당한 성격을 가진 사람도 있지만 소심한 성격을 가진 사람도 있습니다. 우린 모두 다른 꿈을 꾸고 다른 인생을 설계합니다. 하지만 인간이라면 전 세계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피해 갈 수 없는 것이 있습니다. 그건 바로 ‘죽음’입니다.


죽음은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 중에 겪어본 사람은 없지만 생의 마지막 순간에 반드시 일어나는 것입니다.

 




유품정리사가 떠난 이들의 뒷모습에서 배운 삶의 의미 


 

<떠난 후에 남겨진 것들>이라는 책에선 고인의 유품을 정리하는 일을 하는 유품정리사의 이야기가 담겨있습니다. 그들은 고인이 전하고 싶었지만 미처 전하지 못했던 말, 전하고 싶었지만 미처 전하지 못했던 생각을 대신 전달해 줍니다.

 

책은 다양한 죽음과 죽음 후의 상황에 대해 이야기해 줍니다. 누가 봐도 인정하는 직업을 가졌지만 하고 싶은 일을 하지 못해 불행하게도 스스로 생을 마감한 사람의 이야기부터 자식에게 부담을 주고 싶지 않아 지병을 숨겼던 부모, 외로움을 도벽이나 사치로 해소하던 사람, 그리고 힘든 삶에 의욕을 잃고 의지를 놓은 사람의 이야기까지. 어쩌면 죽은 이의 생에 대해서도 이야기해 줍니다.


 

그중에선 폐지를 주우며 사시다가 돌아가신 할머니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경제적인 지원을 제공해 주는 자식도 없고 반지하에서 단출하게 살지만 할머니는 항상 집을 깨끗하고 따뜻하게 유지했습니다. 물건들은 책장에 단정하게 진열되어 있습니다. 할머니는 지나가버린 자신의 인생을 한탄하거나 아쉬워하지 않고 현재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며 하루하루를 소중히 보냈습니다. 폐지를 주우며 생계를 유지하는 동안에도 틈틈이 성경을 읽고 필사하며 복지관에 다녔고 종이접기를 배웠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자신이 처한 좋지 못한 상황에서 돌파구를 찾기보단 과거의 선택에 대한 후회나 되돌릴 수 없는 일에 대한 절망으로 오히려 남은 시간을 망가뜨립니다. 하지만 남은 인생을 어떻게 살아내느냐는 현재의 우리가 새롭게 결정할 수 있는 것이죠. 죽음은 어떻게 보면 두려운 게 맞습니다.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했기 때문에 예상하기도 어렵습니다. 그러나 죽음을 두려워하기 전에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할지,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는 한 번쯤 고민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당연한 것들 - 추모와 애도


 

우리는 추모시설, 애도 기간과 같은 단어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기도 합니다. 추모의 사전적 의미는 ‘죽은 사람을 그리며 생각함.’ 애도의 사전적 의미는 ‘사람의 죽음을 슬퍼함.’입니다. 고인의 죽음 후 남겨진 사람들은 더 이상 사랑하는 사람을 볼 수 없다는 사실에 슬퍼하고, 지켜주지 못했다는 자책감에 좌절합니다. 그 마음을 극복하고 회복하는 데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는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 당연한 것입니다. 우리는 충분히 머물러서 그들과 함께한 기억을 떠올리고 남기고자 해도 괜찮습니다. 가까운 사람의 죽음을 경험하는 일은 견딜 수 없을 정도로 강렬한 고통이니까요. 




실존주의를 덧붙이며



실존주의를 주창한 얄롬은 인간의 궁극적인 관심사로 자유, 고립, 무의미성, 그리고 ‘죽음’을 주창합니다. 죽음은 불안의 가장 근본적인 원천이며 삶과 죽음, 존재와 비존재는 상호적이라 여깁니다.


죽음이 있기에 삶은 특수하고 귀중한 기회입니다. 언제 다가올지 모를 죽음 대신 존재하는 삶을 위해 살아야 합니다.




오늘은 어제 죽은 이가 그토록 바랬던 내일이다.’라는 말이 떠오릅니다. 그러니 마음껏 삶을 누리세요. 자신의 선택을 스스로가 믿어주고, 다른 사람의 눈치를 보지 않으며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사랑하는 사람과 후회 없이 행복한 시간들을 보내세요. 그렇다면 삶을 더 빛나는 순간들로 채울 수 있을 거예요.






김새별.(2020). 떠난 후에 남겨진 것들. 청림출판. 

떠난 후에 남겨진 것들 : 네이버 도서 (naver.com) 

네이버 국어사전. '추모'의 검색결과 :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네이버 국어사전. '애도'의 검색결과 :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7059
  • 기사등록 2023-08-30 08:29:3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