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윤정
[The Psychology Times=장윤정 ]
불안한 우리
불안함을 느끼면 잘할 수 있는 것도 실수하게 된다. 마음을 초조하게 만들어 복통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 집중력이 떨어져 많은 집중력을 요구하는 상황에 치명적이다. 이처럼 불안은 일상을 살아가는 데 있어 많은 악영향을 미친다.
'나는 왜 남들보다 불안을 더 많이 느끼는 걸까?' 라는 고민을 해 본 경험이 있는가? 필자는 해당 고민을 하였을 때 남들과는 다른 관점으로 생활 속 사건을 해석하기 때문이라고 결론 내렸다. 실제로, 불안을 더 많이 느끼는 성격은 그렇지 않은 성격과 다른 체계로 반응하고 행동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행동 활성화 체계와 행동 억제 체계
유치원생 A는 누군가에게 칭찬 듣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 A는 칭찬을 듣기 위하여 한글 공부를 열심히 하는 등 노력한다. 칭찬 듣거나 장난감을 선물로 받는 순간은 A가 가장 행복을 느끼는 순간이다. A는 행동 후 제공되는 보상에 초점을 맞춘다.
유치원생 B는 혼나는 것을 매우 두려워한다. B는 혼나지 않기 위하여 어른들이 싫어하는 행동은 최대한 삼간다. B가 제일 싫어하는 상황은 꾸중을 듣는 상황이다. B는 행동에 대한 처벌에 초점을 맞춘다.
한 커플이 있다. 커플 중 한 명인 C는 선물을 사주는 등 상대가 좋아하는 행동을 많이 하기 위하여 노력한다. 다른 한 명인 D는 약속에 늦는 것을 싫어하는 상대의 특성을 고려하여 약속에 늦지 않으려 노력한다.
두 유치원생과 한 쌍의 커플은 행동하는데 서로 큰 차이를 보인다.
A와 C는 타인이 싫어하는 행동을 하지 않는 것보다 좋아하는 행동을 많이 하는 것에 집중한다. 이들은 행동 활성화 체계(BAS)에 따라 행동한다. 행동 활성화 체계란, 어떠한 대상, 사건에 접근하여 탐색하도록 하는 행동 체계로서, 행동 후 제공될 보상에 초점을 둔다. 이는 인간 성격 중 충동성, 공격성과 관련되어 있다.
이에 반해, B와 D는 타인이 좋아하는 행동을 하기보단 타인이 싫어하는 행동을 하지 않는 것에 집중한다. B와 D는 행동 억제 체계(BIS)에 따라 행동한다. 행동 억제 체계란, 행동하는 것을 억제하여 처벌당할 상황을 피하도록 하는 행동 체계로서, 행동 후 제공될 처벌에 초점을 둔다. BIS에 따른 반복적인 행동은 불안을 많이 느끼는 하나의 원인이 된다.
BAS와 BIS는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며 이 행동 체계는 사람 성격 형성에 하나의 원인이 된다. 즉, BAS를 따르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충동적이고 공격적인 성격 특성을 지니고 있다. BIS를 따르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좌절에 더욱 민감하고 불안을 많이 느끼는 특성을 보인다.
행동 억제 체계 관련 연구
실제로 한 연구에서 성인 300명(남성 195명, 여성 105명)을 대상으로 BIS 및 BAS, 정서 조절 곤란, 불안, 공격성 수준을 자기 보고식 질문지를 통해 측정하였는데, BIS가 불안을 정적으로 예측함에 반해 BAS가 불안에 미치는 효과는 유효하지 않았다는 결과를 도출해 냈다. 이에 반해 공격성에 대해서는 BAS가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BIS가 공격성에 주는 영향은 유효하지 않음을 도출해 냈다.
그저 사고 체계의 차이일 뿐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왜 남들보다 불안을 많이 느끼는가? 라는 질문에, BIS에 따른 무의식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때문이라고 답할 수 있다. 이 행동은 불안을 많이 느끼는 하나의 원인이 된다. 타인보다 불안을 많이 느낀다고 걱정할 필요가 없다. 그저 어떤 시스템이 활성화되어 행동이 이루어지냐의 차이일 뿐이다.
지난 기사
휴식도 제대로 즐기지 못하는 당신! 슈드비 콤플렉스 일지도?
참고문헌
신수진,and 장혜인. "행동억제체계 및 행동활성화체계가 불안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6.2 (2021): 391-414.
Randy J. Larsen, David M. Buss(저) 김근향, 조선미, 권호인(역). 제 6판 성격심리학(2018). 시그마프레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yunjung290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