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수민
[The Psychology Times=채수민 ]
인간에게 망각은 신이 내린 축복이라는 말이 있다. 좋아하는 친구에게 고백했다가 거절당해서 서러웠던 일이나 사람들 앞에서 우스꽝스럽게 넘어져서 부끄러웠던 일처럼, 소위 말하는 이불킥 할만한 일도 나중에는 흐릿한 기억으로 남는다. 당시에는 강렬하게 느껴졌던 감정들이 오랜 시간이 지나고 나면 대수롭지 않게 느껴지거나 그 사건 자체를 제대로 기억하지 못하기도 한다. 괴롭거나 부끄러웠던 일들이 잊히지 않고 계속 기억난다면 삶을 살아가는 게 매우 힘겨울 것이다. 철학자 니체는 망각을 통해서 머리에 새로운 경험을 위한 여유 공간을 만들고, 삶의 행복을 성취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때로는 극도로 고통스러운 사건을 겪은 후 너무 많이 망각해서 자신을 잃어버린 사람들이 있다.
해리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 자신, 시간, 주위 환경을 하나의 큰 줄기로 연속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해리는 이 연속적인 의식이 끊어지는 현상이다. 해리는 정신장애를 앓고 있지 않은 사람도 경험할 수 있다. 멍 때리는 것이나 정신을 놓고 있는 것, 정신을 차리고 보니 내가 뭘 하고 있었는지 기억이 안 나는 것 모두 정상적인 해리 반응이다. 해리 장애는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괴로운 일을 겪었을 때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감정이나 사고 등을 분리하였으나 그로 인해 일상생활에 문제가 생긴 경우이다. 해리 장애 중에 해리성 정체감 장애는 많이 들어봤을 수도 있다. 영화에서 다중인격이라는 소재로 많이 등장하기 때문이다. 해리 장애의 원인으로는 극심한 공포감을 경험했던 외상 사건 때문이라고 여겨지나 아직 연구가 더 필요한 부분이다.
해리성 기억상실
해리성 기억 상실은 해리를 겪음으로써 기억을 상실하는 것이다. 뇌의 문제나 발작 장애, 약물로 인해 기억이 사라진 것이 아니어야 한다. 없어진 기억은 몇 분 정도일 수도 있고 몇 십 년, 혹은 삶 전체 일 수도 있다. 기억 상실은 갑작스럽게 나타난다. 외상을 겪은 직후에 기억을 잃을 수도 있지만 사건을 겪은 후 한참이 지나서 기억을 잃기도 한다. 기억 상실 때문에 혼란스럽고 힘들어하는 사람도 있지만, 간혹 아무렇지 않은 사람도 있다. 상실된 기억은 보통 외상이나 극도의 스트레스를 유발한 사건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다. 분명 사건에 대한 기억을 잃었음에도 외상 사건이 일어났던 현장에 가는 것을 꺼림직하게 생각하고 피하는 경우도 있다. 해리성 기억상실은 상황에 따라 내담자가 기억을 되살리는 것을 매우 고통스러워하고, 기억해야 할 이유가 없다면 내담자를 안심시키고 응원하는 방식의 지지치료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급하게 기억을 복구해야 하는 경우에는 최면이나 약물치료를 한다. 그러나 복구한 기억이 불완전하거나 부정확할 수 있다. 기억이 돌아온 이후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비슷하게 과거의 외상 사건을 현재 실제로 벌어지는 것처럼 다시 겪는 플래시백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우울증이 나타날 수도 있고 자살 위험성도 높기 때문에 기억 상실을 회복한 후에도 외상 사건을 극복하는 방향의 심리치료를 진행한다.
해리성 둔주
해리성 기억상실 때문에 자신의 정체성이나 과거의 기억을 잃은 채로 장기간 떠나는 것을 해리성 둔주라고 한다. 그렇게 떠난 곳에서 새롭게 삶을 시작하기도 한다. 둔주 기간에는 정상적으로 보이는 경우가 많아 문제라고 인식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둔주가 끝나고 나면 자신이 왜 이곳에 있고, 무슨 일이 있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아 혼란스러울 수 있다. 둔주 이후에는 대부분 자신의 정체성을 다시 기억해 내고 둔주가 시작되기 전의 기억이 돌아온다. 그러나 때때로 과거의 기억을 회복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둔주 기간의 기억을 회복하기 위해서 해리성 기억상실의 치료와 마찬가지로 기억 복구에 도움이 되는 심리 치료를 하고 최면이나 약물 치료를 병행할 수도 있다. 또한, 둔주를 유발한 사건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고 둔주의 재발을 막는 방향으로 심리치료를 한다.
지난 기사
참고문헌
황성훈. 2010. 해리 경향을 보이는 사람들의 자기 구조 특징.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Dissociative Amnesia [MSD manual professional version]. (2023) Dissociative Amnesia - Psychiatric Disorders - MSD Manual Professional Edition (msdmanuals.com)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kitty01c@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