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간접 트라우마: 일상 속 트라우마와 마음의 무게 - 간접 트라우마의 증상, 영향, 그리고 개선 방법들
  • 기사등록 2023-11-02 00:09:04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박소영 ]



요즘 소셜 미디어에 10분 정도만 접속해도 머리가 지끈거리고, 얼굴이 화끈거리고 심장이 두근거리는 등 트라우마와 비슷한 증상을 겪는다. 전쟁 뉴스에, 계속되는 범죄, 지구 온난화에 대한 걱정 등으로 언제 한번 조용할 날이 없는 세상이다. 그렇다고 뉴스를 아예 안 볼 수는 없고, 알아야 할 내용은 알아야겠고… 많은 이들이 미디어를 통해 사건사고를 접하며 비슷한 증상을 겪었을 것이다. 이처럼 직접적으로 경험하지 않아도 간접적으로 듣는 이야기들로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겪는 것을 간접 트라우마라고 한다. 



간접 트라우마란 무엇일까?


간접 트라우마란 다른 사람들이나 미디어를 통해 예민한 내용들에 세부적으로 노출되어 일어나는 현상이다. 가정 폭력을 목격한 아이들이나 의료 봉사자들과 같은 전문직 종사자들에게 주로 나타나지만, 최근 들어 인터넷을 통해 일반인들 또한 이를 경험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작년 10월 31일 이태원 참사의 경우, 사건이 일어난 후 대중들에게 일파만파 퍼졌던 영상들로 기자들뿐만 아니라 추모 시민, 그리고 이러한 정보를 접하는 여러 사람이 간접 트라우마를 겪었다고 한다. 더 나아가, 계속되고 있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과 이스라엘-파키스탄 전쟁으로 많은 사람이 사회적 공포와 불안을 경험하며 간접 트라우마를 겪는다. 한 논문에 의하면 특히 일반인들의 경우, 아무런 예고 없이 트라우마를 일으킬 수 있는 미디어에 노출될 때 간접 트라우마의 영향이 더 크게 일어난다. 때문에, 간접 트라우마에 대해 경고를 내놓기도 하였다 (Ramsden, 2017). 



간접 트라우마의 증상과 영향


우리가 알고 있는 트라우마와 비슷하게 간접 트라우마의 증상은 계속된 피곤함, 불안, 과민성, 동기부여와 업무 효율성 저하, 절망, 간접적으로 목격한 사건을 재경험 하는 것 등이 있다 (Siegfried, 2008). 이에 더해, 간접 트라우마는 사회적 교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안 좋은 소식과 이야기들로부터의 계속된 노출은 정신적으로 영향을 끼치며, 동정심을 감퇴(Compassion fatigue)시키는 결과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감소된 사회와의 교류는 더 큰 사회적 고립과 정신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도 있다. 실제로, 펜데믹 시기 병원에서 일했던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던 논문에 의하면 간접 트라우마는 극심한 우울증, 불안, 그리고 자살 경향성으로까지 이어진다 한다 (Ariapooran et al., 2022). 



개선 방법들


비록 직접적인 트라우마가 아니더라도, 위에 언급된 이유로 인해 간접 트라우마는 절대 가볍게 여길 수 없는 중요한 정신 건강 문제이다. 때문에, 스스로 또는 다른 사람에 의해서라도 알아차려지고 개선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법 중 하나로, 자신이 다룰 수 있는 뉴스 매체와 정보의 한계를 깨닫는 것과, 건강한 소셜 미디어 생활, 꾸준한 마음 챙김 시간과 휴식 시간 등이 있다. 먼저, 소셜 미디어나 뉴스에 나오는 내용들로 쉽게 지친다는 느낌이 든다면, 잠시 이러한 매체들을 꺼놓는다거나 멀리하는 방법이 있다. 더 나아가, 소셜 미디어에 사용하는 시간을 분배하고 계획하여 정해진 시간 외에 되도록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민감한 영상이나 주제를 표시한 내용들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다른 사람들과의 직접적인 교류와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통해 주위에 시선을 돌리는 것 또한 효과적인 방법이다. 


우리 자신의 건강을 챙겨야 주위의 사람들 또한 서로를 도울 수 있는 세상이 만들어진다. 안 좋은 소식이 자주 들리는 요즘, 잠시 소셜 미디어에서 관심을 돌리고 우리가 할 수 있는 다른 최선의 방법들을, 그리고 우리가 세상을 위해 도와줄 수 있는 또 다른 방법들을 찾아보는 것은 어떠할까. 






지난 기사


어디까지가 범죄이고 어디까지가 정신질환일까?

반려동물, 가정 내 작은 심리 상담사

코로나솜니아 (Coronasomnia): 코로나로 인한 불면증?

마음챙김과 명상: 내면 속 침묵의 힘






참고문헌 

김세현. (2022년 11월 2일). 실시간 중계도 ‘간접 목격자’…트라우마 ‘비상’. KBS 뉴스.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5592502 

Amnesty International. (2019). The hidden victims of repression – how activists and reporters can protect themselves from secondary trauma. https://www.amnesty.org/en/latest/news/2019/02/how-activists-and-reporters-can-protect-themselves-from-secondary-trauma/ 

Ariapooran, S., Ahadi, B., & Khezeli, M. (2022). Depression, anxiety, and suicidal ideation in nurses with and without symptoms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during the COVID-19 outbreak.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37, 76-81. 

Siegfried, C. B., (March 2008). Child Welfare Work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Child Welfare Trauma Training Toolkit: Secondary Traumatic Stress. The National Child Traumatic Stress Network. Module 6, Activity 6c 

Wein, H. (2022). Healthy social media habits. NIH News in Health. https://newsinhealth.nih.gov/2022/09/healthy-social-media-habits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7359
  • 기사등록 2023-11-02 00:09:0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