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채연
[The Psychology Times=이채연 ]
서점의 베스트셀러 목록에선 인간의 마음을 위로하는 제목의 긍정심라학 관련 도서가 빠지지 않는다. 자극적인 제목과 함께 열정적으로 살기를 외치는 자기계발서나 경제서 옆에 항상 존재한다. 왜 우리는 이토록 긍정심리학 저서에 열광하는 걸까?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기술과 쏟아져 나오는 시청각적 정보들, 경쟁 과열 상태의 사회에서 사람들은 뒤처지지 않으려고 노력하지만, 동시에 마음 한편에 불안감과 스트레스, 우울함이 공존한다. 이에 치료 중심적인 심리학에서 벗어나 보통 인간의 ‘행복’을 다루는 긍정심리학이 유행하게 되었다. 그중에서도 주목받은 하나의 개념이 바로 ‘마음챙김’이다.
긍정심리학이란? - 내 행복을 찾아서
다소 생소할 수 있는 개념인 긍정심리학이란 이미 우리 삶 속의 일부가 되었다. 긍정심리학은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심리학부 교수 마틴 셀리그먼이 창시한 개념으로 불안과 우울,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 감정에 치우쳤던 기존의 심리학과 달리 개인의 긍정적 심리에 초점을 맞춰 연구하는 학문이다. 환자의 치료에 우선시 되었던 기존의 심리학에서 벗어나 보통인간의 행복과 관련한 연구를 진행하여 행복감을 증진하는 과학적 방법을 탐구한다. 비교적 최근에 마틴 셀리그먼 교수에 의해 제시된 하나의 심리학 방향성인 것이다. 삶의 긍정적 가치에 집중하자는 의미에서 시작된 긍정심리학은 현재 미국 100여개의 대학에서 정식으로 강좌가 진행되고 있다.
마음챙김이란? - 스스로 챙겨주는 나의 마음
긍정심리학에서 다루는 행복을 위한 방법 중 하나는 바로 ‘마음챙김’이다. ‘마음챙김’은 본래 불교 수행 전통에서 기원하였는데, 최근 종교적 의미를 벗어나 심리학점 구성 개념으로 자리 잡았다. 인지와 동기를 개입하지 않으면서 대상에 주의하는 것을 의미하며, 지금 – 여기에 또렷이 깨어있는 것을 말한다. 특히 마틴 셀리그먼은 ‘마음챙김’을 특정한 견해에 치우치지 않고 집착 없이 유연한 사고가 이루어지는 심리적 자유의 상태라고 보았다. ‘마음챙김’에 대해선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지만, 공통적으로 현재의 순간을 수용적인 태도로 받아들이며 순수관찰자로서 의식을 바라보는 것이라 정의한다. 그 어느 때보다 자극적이고 우리의 주의를 이끄는 방해물이 많은 현시대에 자신을 위한 ‘마음챙김’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마음챙김’을 통해 자기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세계를 객관적으로 인식하여 마음의 안정을 챙기고, 스스로를 편히 내려놓는 연습이 필요할 것이다.
마음챙김 훈련법과 일상 속 우리
‘마음챙김’에는 현재 다양한 훈련법들이 존재한다. 특히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인‘MBSR’은 만성병 혹은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환자를 위해 개발된 행동의학 프로그램이다. ‘MBSR’의 마음챙김 훈련에서는 일명 ‘건포도 먹기 훈련’, ‘보디스캔 훈련’, ‘정좌명상’, ‘하타요가’, ‘걷기명상’, ‘일상생활 속 알아차림’ 등 다양한 훈련법이 있다. 모두 공통적으로 현재 느껴지는 것에 집중하며 자신을 놓아주는 과정이다. 특히 ‘일상생활속에서 알아차림’은 마음챙김 수련을 일상생활 속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는 뜻인데, 매 일상 속에서 자신의 감정과 현재 의식을 알아차리기 위해 몰입한다면 언제 어디서든 마음챙김 훈련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긍정심리학 그리고 마음챙김은 결국 자기 자신을 돌보는 과정이다. 바쁘고 치열한 현실을 살아가면서 자기 자신을 돌아보고 현재를 온전히 느끼기 어렵기에, 마음챙김 훈련을 통해 스스로의 행복과 안정을 찾아보는 것은 어떨까?
참고문헌
[NAVER 지식백과]. (2014.4).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70250&cid=41991&categoryId=41991
[NAVER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838280&cid=42044&categoryId=42044
김정호. (2004년). 마음챙김명상의 유형과 인지행동치료적 함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lcy2735@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