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김정현B ]


근 몇 년간 한국 사회에서 MBTI 성격검사는 엄청나게 유행했다. 심리학자 ‘칼 융’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MBTI는 시행이 쉽고 간편해, 많은 사람이 접근할 수 있었다. MBTI 외에도 한국에서는 비슷한 검사들이 계속 유행했다. 연애 MBTI, 여행 MBTI 같은 MBTI를 응용한 검사들, 성격을 색으로 표현하는 테스트 등 공신력 있는 검사는 아니라도, 재미로 하는 심리 검사에 대해 관심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 사람들을 위해 오늘은 MBTI보다 비교적 정확하고, 어쩌면 한국인의 특성이 더 잘 반영됐다고 볼 수 있는 헥사코(HEXSACO) 검사를 소개하려고 한다.


헥사코 검사는 기존에 성격의 구성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성격의 5 요인 모델(Big 5)를 수정해 나온 검사이다. 한국인 심리학자 '이기범'과 캐나다의 심리학자 '마이클 애쉬튼'이 성격 요인에 하나를 추가해 헥사코 검사가 탄생했다. 기존 성격의 5 요인 모델은 ‘외향성’, ‘호감성’, ‘성실성’, ‘정서적 안정성’, ‘개방성’으로 구성된 검사인데, 이것에 ‘정직-겸손성’ 요인을 추가해 이것들의 영문명의 앞 글자를 따 HEXACO라고 부르게 됐다.


사진출처: Pixabay



헥사코 검사의 문항별 해석은 다음과 같다.

  1. 정직-겸손

이 점수에서 높은 점수는 개인적인 이익을 위해 다른 사람들을 이용하거나 규칙을 어기는 것을 피하는 것을 의미한다. 점수가 낮으면 개인적인 이익을 중요시하고, 물질적 이득에 의해 동기를 부여받으며, 강한 자기 중요성을 느끼는 사람이다.


  1. 정서성

이 척도가 높은 사람은 신체적 위험에 대한 두려움과 스트레스에 대한 불안을 경험한다. 또한 타인으로부터 정서적 애착이나 지지를 필요로 한다. 반대로 이 척도가 낮은 사람들은 신체적 피해를 잘 신경 쓰지 않으며, 스트레스에 대한 걱정이 적다. 그리고 타인과 자신의 염려를 잘 공유하지 않으며 정서적으로 분리되어 있다고 느낀다.


  1. 외향성

외향성이 높으면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느끼고, 모임과 상호작용을 즐기고, 열정과 긍정적인 에너지가 많은 사람이다. 외향성이 낮으면 사회적 상황에서 주목받을 때 어색함을 느끼고, 사회 활동에 무관심하며, 다른 사람들보다 덜 활기 있고 낙관적이라고 느낀다.


  1. 우호성

우호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은 자신이 당한 부당한 일과 자신이 겪은 잘못을 용서하고, 다른 사람을 판단하는 데 관대하며, 기꺼이 타협하고 협력한다. 이들은 자신의 화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낮은 점수를 받은 사람은 자신에게 잘못한 사람에게 원한을 갖고, 다른 사람의 잘못에 대해 비판적인 사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성실성

이 점수가 높은 사람은 자신의 시간과 물리적 환경을 정리하는 것에 철저한 편이며, 목표를 향해 근면하고 완벽하며 정확하기 위해 노력한다. 또한 결정을 내릴 때 신중한 편이다. 성실성 점수가 낮은 사람은 주변 환경이나 시간에 크게 개의치 않으며 어려운 작업이나 도전적인 목표를 피하며, 약간의 실수는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 그리고 충동적으로 결정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1. 개방성

이 척도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은 다양한 지식 영역에 대해 호기심이 많고, 일상생활에서 상상력이 풍부하고 특이한 아이디어나 사람에게 관심이 많다. 그리고 예술과 자연의 아름다움에 몰입한다는 특징이 있다. 반대로 이 척도에서 낮은 점수의 사람은 지적 호기심이 적으며, 창의적인 것, 급진적이거나 파격적으로 보일 수 있는 아이디어에 매력을 느끼지 않는 특징이 있다. 



헥사코 검사를 하는 방법은 어렵지 않다. 한국어로도 번역이 되어 있어, 인터넷에 검색해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문항이 100개 정도 된다는 것에서 푸는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과, 제공하는 결과지가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다행히 인터넷에 검색해 보면 표를 이용해 보기 쉽게 정리할 수 있는 표를 찾을 수 있다. 헥사코 테스트는 검사를 시작하기 전, 설문에서 “귀하의 결과는 임상 평가가 아닙니다.”라고 말한다. 이 검사가 MBTI보다 정확하긴 하지만, 어떤 병리적인 것을 평가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지난 기사


나도 예술가가 되려면 우울해야 할까?

침대에 누워서 이 글을 보고 있다면 불면증에 걸릴 수 있다.

SNS 숏폼 무한 스크롤하다간 내 뇌가 위험하다!

게으른 완벽주의자? 난 왜 일을 미룰까?

난 왜 완벽주의자가 되었나. -완벽주의에 관하여 1부-

완벽주의는 나쁜건가요? -완벽주의에 관하여 2부-

"나 ADHD인가 봐!" 농담처럼 한 말이 진짜일 수 있다?

암기 잘하고 싶은 사람을 위한 꿀팁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성격의 6요인 모델.

URL: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87655&cid=40942&categoryId=31531

유태용. (2007). 성격의 6요인(HEXACO) 모델에 의한 성격특성과 조직구성원 직무수행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0(3), 283-314.

김해룡, 김정자, 권영해. (2012). BIG5 성격특성과 셀프리더십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27(3), 115-146.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7781
  • 기사등록 2023-12-19 22:56:2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