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조수빈B ]


pexels

사계절의 시작과 새 학기의 출발을 알리는 봄. 이 계절은 우리에게 여러모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하지만 봄만 되면 찾아오는 우울감과 무기력감으로 인하여 무거운 마음으로 겨울을 떠나보내는 사람들이 있다. 따뜻한 날씨 속, 나의 마음에 자리 잡은 우울함은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목표를 향하고, 밝은 미래를 꿈꾸는 것을 힘들게 만들곤 한다. 

봄만 되면 찾아오는 우울감, 대체 왜 그런 걸까?



봄에 나타나는 계절성 우울증


유지영 기자의 “요즘 잠 많고 과식하는 당신, 혹시 ‘계절성 우울증’?”기사에 따르면 계절성 우울증이란 특정 계절과 맞물리는 우울 증상의 시작과 회복이 2년 이상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보통 ‘계절성 우울증’이라 하면 겨울에 우울 증상이 시작되어 봄에 회복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점점 짧아지는 낮의 길이와 감소된 일조량과 같은 겨울의 특성이 우울 증상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특성과는 달리 해당 질환은 봄에도 나타날 수 있는데, 겨울보다 봄에 나타나는 계절성 우울증이 더욱 위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봄에 나타나는 계절성 우울증은 겨울과 마찬가지로 일조량의 변화에 따른 호르몬 분비의 변화와 신체 리듬의 변화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일조량이 늘어나면서 감정 기복이 심해지고 기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는 것이다. 또한 신체의 열에 대한 반응과 관련된 신경해부학적 경로의 문제도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생리적 요인 외에도 봄 특유의 사회 환경적 요인이 우울감을 유발하기도 하는데, 보통 봄은 ‘무언가를 시작하는 계절’의 성격을 띠기 때문이다. 시작을 활기차고 성공적으로 하는 사람과의 비교, 주변의 기대치에 대한 압박감 등은 우울감을 증가시키고 심지어는 자살 충동 또한 부추길 수 있다.



봄을 반갑게 맞이하기 위해서는?


봄의 계절성 우울증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햇빛을 가까이하는 것이 중요하다. 외부 활동을 하며 받는 충분한 햇빛은 호르몬 분비의 정상화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창가에서 내리쬐는 햇빛을 받는 것도 활력을 찾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적절한 신체활동은 스트레스 해소와 기분 조절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삶의 균형을 찾는 데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외에도 해당 질환의 치료를 위해 멜라토닌과 세로토닌의 균형을 적절히 조절하는 약물을 활용할 수 있고, 심리상담이나 정신과 방문과 같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치료의 빠른 개입과 회복을 위해서는 우울증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우울증은 자신의 의지만으로 극복할 수 있는 단순한 질환이 아니다. 상황과 환경의 변화도 필요할 수 있고, 약물치료가 병행되어야 할 수도 있으며,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우울증을 개인의 의지력 문제나 비정상으로 치부하지 않고, 누구에게나 언제든지 찾아올 수 있는 질환으로 인식해야 한다. 


또한 봄의 따뜻한 날씨는 많은 우울증 환자에게 위험한 계절일 수 있다는 사실도 인지해야 한다. 어떤 사람들에게는 봄의 활기가 자살의 수행이나 시도를 부추길 수 있기 때문이다. Laurie Saloman의 “Spring Depression: What to Do When Seasonal Changes Bring You Down”에 따르면, 따뜻한 날씨가 시작되었을 때 자살 위험이 있는 사람들의 수행 동기가 촉진될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는 행위는 가장 우울한 시기가 아닌, 비교적 덜 우울한 시기에 수행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분위기가 침체되어 있던 겨울이 지나고, 봄에 약간의 기운을 얻어 충동성을 더 심하게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봄은 ‘무언가를 시작하는 계절’의 성격을 띠고 있다. 하지만 시작은 어느 계절에나 할 수 있으며, 시작이 무조건 활기차고 거창해야 할 필요는 없다. 그러니 시작에 대한 부담을 조금이나마 내려놓고, 내가 그려가는 나만의 삶에 집중해 보았으면 한다. 나의 내면에 더욱 귀 기울이고, 나의 행복에 집중해 보자. 봄을 앞둔 지금, 앞으로 더욱 성장할 나 자신을 고대하며 사계절의 시작을 맞이할 수 있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김서영. (2017년 3월 31일). ‘꽃 피는 봄’ 우울증 환자가 늘어나는 이유는. 헬스타파.

https://www.healthtapa.com/news/articleView.html?idxno=3747

김지예. (2023년 4월 13일). [자가진단 시리즈] ‘계절 우울증’은 ‘봄’이 가장 위험하다. 헬스인뉴스.

https://www.healthi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903

스브스뉴스 SUBUSUNEWS. (2020년 5월 10일). 왜 겨울이 아니라 ‘봄’에 자살률이 가장 높은걸까? / 스브스뉴스.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FbRXvQR-lPg

우울증 환자의 ‘자살 충동’ 높아지는 계절 ‘봄’. (2013년 4월 8일). 의사신문.

http://www.doctors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55702

유지영. (2019년 11월 29일). 요즘 잠 많고 과식하는 당신, 혹시 ‘계절성 우울증’?. 청년의사.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4732

Laurie Saloman. (2022, Nov 7). Spring Depression: What to Do When Seasonal Changes Bring You Down. Psycom.

https://www.psycom.net/seasonal-affective-disorder/spring-depression

MART PRODUCTION. (2021). [사진]. pexels. https://www.pexels.com/ko-kr/photo/7277896/


 




기사 다시보기 

자도 자도 졸린 당신, 수면장애 의심해 볼 것!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8181
  • 기사등록 2024-03-11 09:34:1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현재의견(총 1 개)
  • yjgwon642024-03-12 14:37:18

    ‘시작은 어느 계절에나 할 수 있으며, 시작이 무조건 활기차고 거창해야 할 필요는 없다’라는 마지막 문단이 완벽주의 성향으로 스스로를 다소 괴롭히는 경향이 있는 저에게 많은 위로가 되었습니다. 작년에 건강과 관련된 교양 수업에서 계절성 우울증의 원인과 실제 실험결과를 다룬 적이 있었는데, 해당 내용도 리마인드 하고 공감을 하며 기사를 읽었습니다. 기사를 읽고, 꼭 무언가를 거창하게 시작하려 하지 말고 남들과의 비교도 하지 말고, 그냥 나는 나대로 나의 속도대로 차근차근 나아가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