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신연우 ]



건강은 삶의 질을 향상하는 여러 가지 요소를 포함하는 복합적인 개념이다. 최근 몇 년 동안 포괄적인 웰빙을 달성하기 위해 이러한 요소를 이해하고 육성해야 한다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그 단어 속에 내포하고 있는 의미는 과연 몇 가지나 있을까? 



육체적 건강 (Physical Wellbeing) 


이 건강은 우리가 흔히 아는 몸 관리로, 식이요법, 운동, 수면 패턴, 일반 건강 등을 포함한다. 규칙적인 신체 활동, 균형 잡힌 식사 섭취, 충분한 휴식, 예방적 건강관리 조치 등을 통해 최적화된 몸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몸 건강은 다른 측면의 기초를 형성하기 때문에 필수적이다. 좋은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는 것은 수명을 늘릴 뿐만 아니라 우리의 기분을 증진시키고 에너지 수준을 높이며 인지 기능을 향상해 우리가 열정을 가지고 목표와 꿈을 추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정서적 건강 (Emotional Wellbeing)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구별하고, 통제하는 능력은 정서적 건강의 지표이다. 삶의 도전을 극복하기 위해, 자기 인식, 회복력, 그리고 대처 메커니즘을 함양해야 한다. 만족감, 감사, 기쁨, 그리고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은 모두 정서적으로 건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긍정적인 인간관계와 자신의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은 감정적으로 건강한 사람의 특징이며, 이는 공감, 낙관, 그리고 자기 확신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회적 건강 (Social Wellbeing) 


사회적 건강은 사람들이 서로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하는 인간관계의 수준을 말한다. 우정, 정서적 지지, 소속감을 제공하는 공동체적 관계, 가족 간의 유대, 그리고 지지적인 우정을 형성하는 것을 모두 아울러 포함하는 단어이다. 좋은 사회적 유대는 안전, 수용, 상호 신뢰의 감정을 조성함으로써 스트레스와 외로움을 방지한다. 인간이 본질적으로 복잡한 관계망 속에서 살아가는 사회적 동물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사회적 안녕은 전반적인 행복과 정신 건강 모두에 필수적이다.



영적 (靈的) 건강 (Spiritual Well-being) 


물질적 세계를 넘어 확장되는 영적 건강은 의미, 목적, 자신보다 더 큰 것과의 연관성 등을 포함한다. 삶에 의미와 깊이를 부여하는 실존적 문제, 원리, 신념을 탐구하는 것이다. 마음 챙김, 명상, 기도, 예술과 자연 탐구와 같은 활동을 통해 길러질 수 있으며, 내면의 평화와 자신의 기본 신념과의 일치감을 가져온다. 이는 도덕적 결정을 내리고 다른 사람뿐만이 아니라 자신과의 조화를 풍요롭게 한다. 



우리의 건강은 크게 네가지로 분류되는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등 삶의 모든 영역을 포괄하는 총체적 개념이다. 이러한 특성은 상호 연관되고 강화되기 때문에 우리가 신체적 건강만이 아닌 웰빙에 대한 포괄적인 의미를 알 필요가 있다. 건강의 다양한 의미를 정의함으로 개인은 건강, 행복, 자신, 타인 및 주변 환경과의 의미 있는 상호 작용을 포함하는 웰빙의 각 구성 요소에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균형 있고 행복한 자신을 구축할 수 있다.




참고문헌

“6 Ways to Wellbeing.” West Kent Mind, 15 November 2023, https://westkentmind.org.uk/i-want-to-learn/info-resources/6-ways-to-wellbeing/. Accessed 6 May 2024.






기사 다시보기  

믿음은 과연 자발적일까?

디지털 표현형: 정신건강관리의 패러다임 변화

타로 카드 수수께끼

심리학으로 바라보는 인간 행동과 발달

어릴 적 기억이 나지 않는 이유는 뭘까?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8558
  • 기사등록 2024-06-10 16:20:49
  • 수정 2024-06-25 19:17:0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