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신연우 ]



어른이 되어 정말 친한 친구 한 두 명만 있어도 우리는 ‘와 성공했네’라며 흔히 말한다. 왜일까? 그만큼 인간관계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사람들과 부딪히는 것은 불가피하다. 그럼 우리는 안정적이고 인간관계에서 덜 상처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우리는 살면서 수많은 낯선 사람들과 마주치고, 다양한 사람들과 관계를 형성하며 인생을 살아간다. 사회는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 (communication)을 통해 살아가고, 이 과정 속에서 친구와 사랑 관계를 맺는다. 건강하고 성공적인 인간관계는 삶의 질, 즉 행복감을 높이고 외로움을 덜 느끼게 해주기도 한다. 그렇기에 사회생활은 학교, 회사, 학원 등 어느 장소에서도 적응하는데 유용하게 쓰이는 기술이다. 또 한, 성공한 인생을 얻기 위한 필수적이고 중요한 역할이다.



  1. 1. 자신을 먼저 사랑하라 


타인을 존경하기 전에 자신을 먼저 되돌아보자. 자기애는 인간관계를 위한 중요한 첫 단계이기도 하다. 그래서 자신감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할 수 있고, 다른 사람들의 비난과 판단에도 흔들리지 않고 버틸 수 있는 능력도 길러지기 때문이다. 자존감과 인간관계의 질 (Self-Esteem and the Quality of Relationships)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자존감이 더 높은 사람들이 30% 더 안정적이고 행복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 2. 거절을 두려워마라 


사람과 얘기하다 보면, 당연히 다른 생각을 가질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각 사람들은 다른 생각과 태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상대방이 불편한 관계를 이어나가려 한다면, 단지 그를 기쁘게 하거나 만족하게 하려고 꼭 맞춰야 한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 이 사실을 인식하고 싫은 것은 싫다는 표현을 확실히 구별한다면, 자신도 상대방도 되려 더 솔직하고 안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거절을 두려워하지 말고 자신의 감정과 뜻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서로 간의 신뢰도를 높이고, 비로소 이해와 존중이 기반이 되는 관계를 만들 수 있다. 



  1. 3. 솔직해져라 


솔직한 의사소통은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는데 가장 중요하다. 거짓말은 오히려 상대방에게 불신을 만들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서로의 생각과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은 상대에게 보여주는 존중이기도 하다. 신뢰도를 쌓을뿐더러, 솔직함은 또한 상대방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데 필수적이다. 솔직한 대화는 곧 서로의 친밀감을 형성하고, 여러 감정을 나누고 이해할 때 인간관계는 더욱 깊어지고 안정적으로 바뀌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솔직함은 연인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서로가 거짓말을 하거나 숨기는 일이 있다면, 상황도 악화할 더러 둘 간의 관계도 무너지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진실되게 말하는 습관은 어떤 상대방이든 서로 타협점을 찾아 문제를 해결하고 관계를 더욱 단단하게 성장시키기도 한다. 하지만, 그 상대방이 개인적인 이야기를 듣거나 공유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어떻게 받아들일지 충분히 생각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이 세 가지 원칙은 의미 있는 관계를 형상하는 데에 큰 역할을 맡는다. 자신을 사랑하는 것, 타인의 의견에 무조건 따르지 않는 것, 그리고 솔직한 의사소통을 하는 것. 이 모든 룰들은 서로 간의 이해와 공감을 증진시키고, 곧 신뢰와 존중이 기반되는 관계를 형성하는데 밑거름이다. 그러니 이 세 가지 팁들을 내일 당장 실천해 보면 어떨까? 그리하면 어려웠던 상대도 더 나은 관계로 발전시키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Magaldi, Kristin. “7 Ways To Protect Yourself At The Beginning Of Relationship.” Bustle, 7 December 2015, https://www.bustle.com/articles/128209-7-ways-to-protect-yourself-at-the-beginning-of-relationship. Accessed 10 May 2024.

“Relationships - Marriage, Problem-Solving, and More.” Verywell Mind, https://www.verywellmind.com/relationships-4157190. Accessed 10 May 2024.

Orth, Ulrich. “(PDF) Self-Esteem and the Quality of Romantic Relationships.” ResearchGate, 1 December 2023,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98066956_Self-Esteem_and_the_Quality_of_Romantic_Relationships. Accessed 20 June 2024.






기사 다시보기  

믿음은 과연 자발적일까?

디지털 표현형: 정신건강관리의 패러다임 변화

타로 카드 수수께끼

심리학으로 바라보는 인간 행동과 발달

어릴 적 기억이 나지 않는 이유는 뭘까?

건강의 다양한 차원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8604
  • 기사등록 2024-06-24 07:41:0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