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채진우 ]






소개


"걷는 시체 증후군"으로도 알려져 있는 코타르 증후군은 자신의 신체 또는 신체 일부가 존재하지 않거나 죽었다는 믿음을 특징으로 하는 희귀한 정신 질환이다. 이 상태는 개인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효과적인 관리와 치료를 위해서는 포괄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증상 및 징후


환자는 자신과 현실에 대한 인식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망상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은 매우 고통스럽고 환자를 쇠약해지게 만든다.



 

존재하지 않는다는 믿음


이 증후군의 가장 두드러진 증상 중 하나는 자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깊은 믿음이다. 환자는 자신이 살아 있는 시체라고 생각하면서 자신이 죽었다고 단호하게 주장하기도 한다. 이러한 믿음은 내부 장기가 손실 됐거나 신체 일부가 손실 됐다는 확신으로 확장될 수 있다. 환자들은 "나는 단지 껍질일 뿐이다"라거나 "나에게는 더 이상 심장이 없다"라는 말을 하는 환자도 종종 있다. 이러한 망상은 신체와의 단절을 초래하여 환자가 영양분이나 기본적인 신체 기능이 필요 없는 것처럼 행동하게 만든다. 또한, 이 믿음은 일시적인 생각이 아니다.

 



정서적 둔화


또 다른 중요한 징후는 정서적 둔화다. 이 상태는 환자를 주변 환경, 관계, 심지어 삶 자체에 무관심하게 만든다. 기쁨, 슬픔 등의 감정적 뉘앙스를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이는 깊은 고립감을 초래한다. 이러한 정서적 둔화는 종종 현실과의 단절을 동반하여 주변 사람들과의 소통을 어렵게 만든다. 친구와 가족은 그 환자가 "멍하니" 있거나 감정적으로 연결될 수 없는 것처럼 보여 걱정스럽고 혼란스러울 수 있다.

 



자기 관리 소홀


존재하지 않는다는 확고한 믿음으로 인해 환자들은 종종 개인 위생과 건강을 무시한다. 자신을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는 그러한 활동이 무의미하다고 확신하여 화장, 목욕 또는 식사 등을 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치는 신체 건강의 쇠퇴로 이어질 수 있으며, 무가치함과 절망감을 더욱 악화 시킨다. 이러한 자기 방임은 심리적 상태를 신체적으로 표현하는 망상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심오한 영향을 보여준다.




심각한 우울증


코타르 증후군은 종종 심각한 우울증과 공존하여 환자가 경험하는 고통을 증폭 시킨다. 이 심각한 우울증은 개인이 계속 살아갈 이유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자살 생각이나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압도적인 절망감은 어떤 것도 자신의 상황을 바꿀 수 없다고 느끼기 때문에 도움을 구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환자의 세계관은 만연한 공허감으로 특징 지어지며, 이는 믿기 힘들 정도로 끊기 어려울 수 있는 절망의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원인 및 위험 요인


이 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은 여전히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신 의학 및 심리학 내에서는 복잡한 연구 분야이다. 그러나 이 희귀 질환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몇 가지 기여 요인이 확인됐다.



 

신경 장애


코타르 증후군을 이해하는 데 있어 주요 관심 분야 중 하나는 다양한 신경 질환과의 연관성이다. 특히 측두엽 간질과 같은 질환은 지각 변화 및 강렬한 정서적 경험의 에피소드와 관련이 있다. 뇌 손상, 특히 전두엽과 측두엽에 영향을 미치는 손상은 정상적인 자기 인식을 방해하고 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자기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데 관여하는 뇌의 특정 영역이 손상되면 코타르 증후군을 특징 짓는 왜곡된 믿음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신경학적 요인은 뇌 구조나 기능의 변화가 개인이 자신과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는 방식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Jesus et al., 2010). 

 



정신 장애


중증 정신 질환, 특히 주요 우울 장애 및 정신분열증과 흔히 연관된다. 심한 우울증을 앓고 있는 개인은 허무주의적 신념을 갖게 되어 자신이 존재하지 않거나 자신의 삶이 의미가 없다고 느끼게 될 수 있다. 우울증은 절망감을 강화 시켜 망상이 뿌리내릴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정신분열증의 경우, 환각 및 망상과 같은 장애의 특징적인 증상에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믿음의 변형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정신 건강 상태와 코타르 증후군 사이의 상호 작용은 근본적인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정신 건강 관리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 방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Jeffrey & Zawn, 2022).

 



약물 남용


약물 남용은 코타르 증후군을 악화 시키거나 유발할 수 있는 또 다른 중요한 위험 요소이다. 환각제, 알코올, 각성제 등 특정 약물은 의식 상태를 변화 시키고 현실에 대한 인식을 왜곡 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의 사용은 망상을 유발하거나 기존 정신 건강 문제를 악화시켜 잠재적으로 코타르 증후군과 관련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물질 사용으로 인한 신경화학적 변화는 뇌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여 자기 인식과 존재에 대한 믿음을 변화 시킬 수 있다.

 



기타 기여 요인


앞서 언급한 요인 외에도 몇 가지 다른 변수가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실이나 사별과 같은 트라우마와 중대한 삶의 스트레스 요인은 단절감과 절망감을 유발하여 망상을 유발할 수 있다. 게다가 유전적 요인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신 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개인은 코타르 증후군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진단 및 치료


심리 치료


인지행동치료(CBT)는 이 증후군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치료 방식 중 하나이다. CBT는 개인이 자신의 왜곡된 신념을 식별하고 도전하도록 돕고, 망상에 맞서고 더 건강한 사고 패턴을 개발하도록 안내한다. 존재하지 않는다는 느낌의 근본 원인을 탐구함으로써 환자는 자아감과 현실감을 다시 확립하기 위한 도움을 줄 수 있다. 치료 세션은 종종 증후군에 동반되는 불안과 우울증을 관리하기 위한 대처 전략 구축에 중점을 둘 수도 있다. 



 

약물 치료


이 증후군을 관리할 때 약물 치료는 심리 치료를 보완하는 경우가 많다. 항우울제는 증후군과 자주 연관되는 근본적인 기분 장애를 해결하기 위해 처방 될 수 있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는 우울증과 불안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망상이 특히 심하거나 치료에 저항하는 경우에는 항정신병 약물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약물은 망상의 강도를 줄이고 기분을 안정 시켜 환자가 치료에 더욱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약물 선택은 개인의 특정 증상과 전반적인 정신 건강 프로필에 따라 달라진다.



 

지지적 치료


코타르 증후군 진단을 받은 환자에게는 강력한 지원 시스템이 매우 중요하다. 가족과 친구는 회복 과정에서 정서적 지원과 격려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이 장애에 대해 교육하면 잘 지원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룹 치료는 또한 개인이 비슷한 경험을 공유하는 다른 사람들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고립감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공동적 측면은 회복에 필수적인 소속감과 타당성을 키울 수 있다. (Madani & Sabbe, 2007).




결론


코타르 증후군은 인간의 인식과 현실의 복잡성을 강조하면서 정신 의학 및 심리학 내에서 독특한 도전 과제를 제시한다. 이 희귀 질환을 앓고 있는 개인의 진단, 치료 및 전반적인 결과를 개선하려면 지속적인 연구와 인식이 필수적이다.



 

참고문헌

Jeffrey, D., and Zawn, V., (2022). Cotard delusion and schizophrenia. https://www.medicalnewstoday.com/articles/cotard-delusion-schizophrenia#cotards-and-schizophrenia.

Jesus, R.B., Luis, C.A.V., Daniel, C.M., Mariana, E.N., Francisco, N., and Mario, F.M., (2010). Cotard Syndrome in Neurological and Psychiatric Patients. Publication: The Journal of Neuro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Volume 22, Number 4. https://doi.org/10.1176/jnp.2010.22.4.409.

Madani, Y., and Sabbe, B.G., (2007). Cotard's syndrome. Different treatment strategies according to subclassification. 2007;49(1):49-53. Dutch. PMID: 17225206.






기사 다시보기 

사회적인 압박 속에서의 정신 건강 강화 전략

펫로스 증후군을 위한 정서적 대비책과 치유의 길

디지털 미디어: 현대의 발전과 함께 놓칠 수 없는 긍정과 부정의 측면

식물의 감각 세계: 식물심리학의 발견과 함께하는 식물의 인간과의 상호작용

인간 행동의 유전적 요소와 환경 요소: 상호작용과 영향

맺고 끊기의 심리: 이별과 관계 종료의 정서적 영향

카페인 중독으로 인한 정신적 이상, 우리 삶에 미치는 어두운 그림자

털을 뽑는 강박증: 틸로마니아의 이해와 치료

카그라스 망상: 낯선 사람으로서 친숙한 얼굴의 마음의 교란

침투적 사고(Intrusive Thoughts) : 마음의 반갑지 않은 손님

프라더 윌리 증후군 (Prader-Willi Syndrome) 의 이해: 복잡한 유전적 장애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8915
  • 기사등록 2024-07-25 23:25:2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