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신연우 ]






히트맨이라는 단어는 주로 ‘살인자’라는 뜻을 떠올리게 한다. 하지만 감독 리처드 링클레이터의 2023년 영화 <히트맨>은 이 고정관념을 완전히 깨버린다. 이름만 킬러일 뿐, 현실상 암살을 하지 않는 킬러를 등장시켜 그동안 우리가 영화에서 봐온 어둡고 무서운 전형적인 빌런 이미지를 유쾌하게 풀어낸다.



줄거리 


겉보기에는 평범한 대학교수인 심리학자 게리(글렌 파월)는 뉴올리언스 경찰서에서 히트맨(살인 청부업자)으로 활동한다. 우연히 히트맨 역할을 맡게 되면서 자신의 뛰어난 능력을 발견하게 된다. 게리는 불법 청부 살인을 사주한 사람들을 검거하는 데 큰 기여를 하는데, 주변의 칭찬을 받으며 더욱 뛰어난 실력을 갖추고 싶어진 그는, 청부 살인을 의뢰하는 사람들의 SNS를 참고하여 그때마다 다른 히트맨 역할을 완벽하게 소화해 내기 시작한다. 그런 게리에게도 고비가 나타난다. 가정 폭력에 시달리는 매디슨 (아드리아 아르호나)의 청부 살인 의뢰를 받은 순간, 게리는 ‘론'이라는 히트맨 정체로 사랑에 빠지고 마는데… 


감독은 다양한 인물을 연기하는 게리의 모습을 통해, 관객에게 이 인물이 진짜 게리인지 아닌지를 묻는다. 만약 자아가 형성된 것이라면? 환상이거나 연기를 하고 있는 거라면? 그런 사람은 변할 수 있는 걸까?



역할 이론의 적용: 게리의 변화와 발전


역할 이론(Role Theory)에 따르면, 사람들은 각기 다른 사회적 상황에서 다양한 역할을 맡게 되며, 이를 통해 자신의 행동과 정체성을 형성하고 발전시킨다. 게리는 히트맨이라는 새로운 역할을 통해 자신의 자아를 탐구하고 새로운 능력과 성격을 발견하게 되는 과정을 살펴보자. 



  1. 새로운 역할의 수용


게리는 처음에 심리학 교수이자 뉴올리언스 경찰서에서 히트맨 역할을 맡게 된다. 이는 그의 일상적이고 평범한 생활에서 벗어나 완전히 새로운 경험을 하게 만든다. 역할 이론에 따르면, 새로운 역할을 맡게 되면 사람들은 그 역할에 적응하기 위해 새로운 행동 양식을 배우게 된다. 영화가 전개될수록,  게리는 히트맨이라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헤어스타일, 옷, 말투 등을 각 의뢰인마다 다르게 자신을 비춘다.



  1. 역할 수행과 자아 발견 


히트맨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게리는 다양한 정체성을 탐험하게 된다. 이를 통해 게리는 자신이 평소에 경험하지 못했던 대담함과 기지를 발휘하게 된다. 역할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역할 수행을 통해 자신의 잠재된 능력을 발견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고 한다. 즉, 게리는 이 과정을 통해 자신이 알지 못했던 새로운 성격 측면을 발견하게 된 것이다. 



역할 갈등과 성장


게리가 매디슨과의 관계를 통해 겪는 갈등은 그가 히트맨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겪는 주요한 도전 중 하나이다.  매디슨에게 살인보다는 이혼을 조언하는 순간, 그는 자신의 역할과 개인적 신념 사이에서 갈등을 느낀다. 역할 이론에 따르면, 이러한 역할 갈등은 개인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게리는 이 갈등을 통해 후반부에 자신의 윤리적 기준과 감정을 재평가하고, 보다 성숙한 자아를 형성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게리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자신의 자율성과 유능성을 발견하고, 매디슨과의 관계를 통해 인간관계를 발전시킨다. 이를 통해 게리는 단순한 역할 수행을 넘어, 자신의 자아를 형성하고 성장시키는 과정을 겪게 된다. 



사람의 자아는 고정된것일까? 


작품에서 “세상에 맛없는 파이는 없다" 라며 반복적으로 언급되는 대사 하나가 있다. 새로운 파이, 즉 새로운 현실을 만나게 되었을 때 두려워하지 말고 도전하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현실은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만큼, 그 변화를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라는 것이다. 소심했던 게리가 섹시하고 대담해진 ‘론'의 모습을 보이며 인간을 변할 수 있다는 개리의 성격 심리학에 대한 이론을 개리 스스로 삶에 실험함으로써 증명한다. 개리는 진실은 다양한 관점이 합쳐짐으로써 형성되고, 절대적인 것은 없다 주장한다.


게리는 ‘이 우주가 불변하다면 나도 마찬가지다'라며 자기 학생들에게, 더 나아가 이 영화를 시청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뜻깊은 조언을 건네준다: 우리가 바라는 자아를 바로 쟁취하라는 것이다.




참고문헌

APA. “APA Dictionary of Psychology.” APA Dictionary of Psychology, 19 April 2018, https://dictionary.apa.org/role-theory. Accessed 21 July 2024.

Rotten Tomatoes. “Hit Man (2023).” Rotten Tomatoes, https://www.rottentomatoes.com/m/hit_man_2023. Accessed 21 July 2024.






기사 다시보기  

믿음은 과연 자발적일까?

디지털 표현형: 정신건강관리의 패러다임 변화

타로 카드 수수께끼

심리학으로 바라보는 인간 행동과 발달

어릴 적 기억이 나지 않는 이유는 뭘까?

건강의 다양한 차원

인간관계에서 상처 받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은?

잠을 더 자도 더 피곤하다?

S와 N?

정신 건강 문제, 그 이면의 진실과 희망

페로몬으로 이성을 유혹 할 수 있다고?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8965
  • 기사등록 2024-08-06 07:43:5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