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김이수현 ]



행복에 대한 태도


“나는 망했어, 뭘 하든 내게 주어진 결과는 변하지 않을 거야!”, “수능이 망했어, 나는 아무것도 아닌 사람이야 다 포기할래.”, 사람들은 종종 무언가 노력을 통해 바꿀 수 없다는 믿음을 가지는 순간이 있습니다. 물론 노력한다고 해서 모든 게 성공으로 직결되리라는 보장은 장담할 수 없죠. 하지만 우리가 노력을 통해 무언가 바꿀 수 없다는 믿음이 우리의 심리적 안녕감, 즉 웰빙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사실 알고 계신 가요?

 


“난 어떠한 상황에도 쾌활하고 행복하기로 단단히 마음을 먹었다. 우리 불행의 많은 부분이 상황이 아니라, 우리의 태도에 의해 결정된다는 걸 살면서 깨달았기 때문이다.”. 우리가 가지는 행복에 대한 태도는 우리 삶의 심리적 웰빙에 직결됩니다. 어떤 태도를 지니고 있냐가 중요한 키포인트입니다. 행복은 이미 정해져 있는 본질이라는 믿음. 그러한 믿음을 가진 사람들은 행복에 대하여 어떤 태도를 지니고 있을까요?

 


행복은 정해져 있을까?


행복에 대한 본질주의적 믿음은, 행복을 정해져 있는 것으로 여기는 믿음을 의미합니다. 즉, 행복이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고, 이는 일생을 통해 크게 변하지 않고, 노력을 통해 변하지 않는다는 믿음입니다. 이는 행복해지기 위한 활동의 동기를 저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믿음은 자신의 행복을 증진하는 위한 활동을 덜 할 뿐만 아니라, 타인의 행복 증진과 관련된 활동도 덜 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요, 타인의 웰빙에 관여하는 친사회적인 행동을 타인과 비교하였을 때 잘 하지 않는 모습도 보였습니다.

 

사람은 사람과 만나 대화를 하고, 이를 통하여 행복을 얻습니다. 즉, 인간관계는 인간의 삶에 중요한 사항이라고 말할 수 있죠. Diener와 Seligman(2002) 은 행복에 이르는 단 하나의 열쇠는 존재하지 않겠지만, 가장 행복한 사람들은 다양하고 만족스러운 인간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혼자 보내는 시간이 평균보다 적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처럼 행복과 인간관계는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습니다. 하지만 행복에 대한 본질주의적 믿음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낮은 인간관계 중시를 보입니다. 행복에 대한 본질주의적 믿음은 생물학적 본질과 연관된 요인들만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이와 관련 없는 인간관계에 대해서는 신경 쓰지 않습니다. 

 

Hudson, Lucas와 Donnellan(2020)의 연구에서 애인과 보내는 시간의 총량은 전반적인 웰빙과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지만 다른 사람들과 보내는 시간의 총량에서는 이와 같은 정적인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처럼 인간관계의 양적인 측면보다는 질적인 측면이 우리의 행복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우리가 단순히 사람을 많이 만나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우리가 인간관계를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그리고 행복에 대한 주관적인 해석이 행복에 중요한 요인입니다.

 

유지연, 나진경의 연구(2023)에서도 유전 집단(행복에 대한 본질주의적 믿음)이 노력 집단보다 인간관계 친밀감 점수가 더 낮게 나왔습니다. 또한 삶의 만족에 대해서도 차이를 보였는데요, 유전 집단에서 삶의 만족이 노력 집단에서 삶의 만족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습니다. 즉, 행복이 유전이라고 조작된 집단에서는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감까지 낮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행복은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행복이란 무엇인가요? 무엇 덕분에 행복하다고 느끼시나요? 삶을 살다 보면 가끔 나는 운이 지지리도 없는 인간이구나, 라는 생각도 들고 나는 불행한 사람이야, 라는 생각도 듭니다. 하지만 삶의 행복은 무엇이라 설명할 수 있는 게 아닌, 삶의 작은 부분들이 모여서 행복이라는 총 합을 만들어낸다고 생각합니다. ‘좋아하는 음악을 들으며 산책하는 것, 사랑하는 사람과 손을 맞잡고 거리를 거니는 것, 그토록 바라던 시험에 합격하는 것’ 이러한 상황들이 모여 우리의 행복을 형성하는 게 아닐까요? 삶에 대한 태도는 다른 무엇이 정하는 게 아닌, 자기 자신이 정하는 것 입니다. 즉 자신의 태도가 행복을 형성한다고 말할 수 있죠. 여러분은 행복에 대한 어떤 태도를 지니고 계신 가요?

 



참고문헌

1) 유지연, 나진경(2023). 행복에 대한 본질주의적 믿음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인간관계에 대한 인식을 매개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7(4), 531-552

TAG
1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9044
  • 기사등록 2024-08-22 06:32:3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