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배유원 ]


8월은 휴가의 계절이다. 필자 역시 휴가를 즐기던 중 마감 기한이 정해져 있지만 아직 끝내지 못한 보고서가 떠올라 갑자기 불안해지는 경험을 하였다. 다들 비슷한 경험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휴식, 또는 휴가 중에 문득 끝내지 못했던 밀린 업무가 생각나거나, 아직 뛰어넘지 못한 경쟁자, 또는 경쟁 업체가 떠올라 불안이 엄습하고 괴로웠던 경험 말이다. 왜 우리는 휴식을 온전히 즐기지 못하고, 행복한 순간에도 행복이 얼마나 지속될지에 대해 불안한 감정을 느끼는 것일까? 다음의 궁금증에 따라 불안의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 휴가 중 관람한 영화 "파일럿"에 나타나는 불안과 필자가 영화에서 느낀 해방감에 대하여 이야기해 보고자 한다. 




불안의 의미와 현대 사회의 불안 양상



표준국어대사전에 나오는 '불안'의 심리학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특정한 대상이 없이 막연히 나타나는 불쾌한 정서적 상태, 안도감이나 확신이 상실된 심리 상태'이다. 불안은 위험이 명확하지 않고, 나타날 여부도 예측하기 쉽지 않은 것으로 본다. 사전에서 불안의 유의어로 '두렵고 무서운'을 뜻하는 '공포(恐怖)'’를 제시한다. ‘불안’을 자세히 이해하기 위해 ‘공포’의 의미와의 차이점을 알아야 한다. 즉, 공포는 현존하거나 곧 나타날 외부 위협을 느끼는 것이고, 불안은 위험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지만 불확실하고, 내면적이며 마음과 정신이 예상하는 것이다.


현대사회는 걱정과 불안으로 점철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청소년들은 뚜렷한 목표는 없어도 남들 다 가는 대학에 가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그 과정에서 불안감을 느낀다. 대학에 들어간 후에는, 자신의 스펙이 부족하지는 않을지, 또는 AI의 발전으로 인해 예상되는 취업난 때문에, 중장년층은 직장을 잃을까 불안하다. 노년층은 모아둔 돈이 사라질까 불안하다. 평생을 불안에 시달리는 것이다. 남들과 나를 비교하는 것이 당연해진 지금, 주변 사람들보다 뒤처질까 불안해하며 우리는 스스로를 괴롭게 하고 있다. 실체도 없는 위험 때문에 현재에 집중하지 못하고 아직 일어나지 않은 미래에 대한 걱정만 하며 시간을 허비하고 있는 것이다. 




영화 “파일럿”에 나타나는 거짓말과 불안



영화의 시놉시스에 따른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최고의 비행 실력을 갖춘 스타 파일럿이자, 뜨거운 인기로 유명 TV쇼에도 출연할 만큼 고공행진 하던 한정우(조정석)는 순간의 실수로 하루아침에 모든 것을 잃고 실직까지 하게 된다. 블랙 리스트에 오른 그를 다시 받아줄 항공사는 어느 곳도 없었고, 궁지에 몰린 한정우는 여동생의 신분으로 위장하여, 재취업에 성공한다. 하지만 성공한 기쁨도 잠시, 다시 예상치 못한 난관에 부딪힌다. 


거짓말을 하는 사람에게 유발되는 감정들이 있다. 이는 발각될까 하는 두려움, 거짓말하는 것에 대한 죄책감 등이다. 주인공 한정우는 성별을 위장했기 때문에, 거짓이 적발되는 것에 대한 공포가 있었을 것이다. 여기서, 적발될 공포, 두려움은 존재하지만 발각될 시기는 불투명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불안 역시 느꼈을 것이다. 또한, 정우는 처음의 거짓말을 유지하기 위해 또 다른 거짓말이 필요했을 것이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교한 거짓말을 위해 더 많은 거짓 정보를 끌어왔을 것이다. 이는 그에게 죄책감을 느끼게 하였을 것이고, 이 죄책감이 그를 더 불안하게 하는 요소로 작용했을 것이다.




영화를 보며 느낀 해방감에 대하여



영화를 보는 내내 주인공인 정우가 여장한 사실이 발각될까 조마조마하고 불안한 감정을 느꼈지만, 코미디 영화답게 위기 상황마다 주인공이 재치 있게 대처하는 장면이 나와 정말 즐겁게 영화를 보았다. 또한, 조심스러울 수도 있는 ‘불안’이라는 감정을 너무 무겁게만 다루지 않았다고 느꼈다. 김한결 감독님이 인터뷰에서 꼽은 장면이 있다. 바로 극 중 정우가 도심을 달리는 장면인데, 감독님은 “영화의 중요한 장면 중 하나인 이 장면은 죄책감과 해방감, 위트와 간절함까지 녹아 있는 신이었다.”라고 하셨다. 필자 역시 주인공이 모든 사실을 털어놓고 웃으며 맨발로 도심을 가로지르는 장면만큼은 잠시나마 함께 해방감을 느꼈던 것 같아 현실에 지치고 걱정이 많은 사람들에게 이 영화를 추천하고 싶었다. 현대사회에서 우리는 미래에 대한 걱정과 불안 때문에 현재를 온전히 즐기지 못한다. 순간이라도 좋으니, 독자들이 불안에서 벗어나 행복에 젖어 해방감을 느끼는, 마치 맨발로 도심을 자유롭게 뛰노는 듯한 기분을 맛보길 바란다.




참고 문헌

1) 최정화. (2015). 현대인의 마음 문제로서 불안의 진단과 치유에 관한 소고(小考).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 이주형. (2020). 불안 심리의 회화 표현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3) 조은경. (2002). 거짓말의특징과탐지. 한국심리학회

4) [씨네 21]. (2024). http://m.cine21.com/news/view/?mag_id=104257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9058
  • 기사등록 2024-08-28 21:11:0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