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신경민 ]



똑같이 사랑해서 시작한 연애가 왜 누군가에겐 상처만 남기고, 누군가에겐 안정감과 행복을 주는 걸까? 오래 가는 건강한 관계의 비결은 무엇일까? 서로를 존중하는 성숙한 사랑은 어떻게 하는 걸까? 

 

지난 연애의 실패로 ‘어떻게 하면 더 안정적이고 건강한 사랑을 할 수 있을까?’ 고민하고 있다면, 혹은 현재의 관계를 계속 잘 이어나가고 싶다면 사회심리학이 이에 대한 해답을 전해줄 수 있을지 모른다. 

 

어쩌면 조금 뻔하고 당연한 이야기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만큼 건강한 사랑에 중요하고 필수적인 5가지 법칙을 사회심리학 연구와 실험 결과에 기초해 소개해보려고 한다.

 



1. 헌신 



어떤 연애 상대는 그들의 관계에 헌신하며 최선을 다하는가 하면 다른 상대는 그렇지 않은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같이 하는 사랑임에도 한 사람이 일방적인 헌신을 보이는 관계도 있다.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중요한 사실은 ‘만족스러운 사랑의 시작은 상호 간의 헌신에서 시작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관계에서 상대에게 헌신하기로 할까? 심리학자 Caryl Rusbult‘헌신 투자 모델’에 따르면 헌신을 결정하는 요소에는 3가지가 있다.

 

(1) 만족도 : 사람들의 헌신은 보상과 비용에 대한 평가에 기초한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미래의 만족도는 장기적인 관계의 만족을 나타내는 가장 강력한 지표가 된다. 즉, ‘내가 이 관계에서 얼마나 만족할지에 대한 믿음’이 헌신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2) 대안의 선택권: 사람들은 현재의 연애 상대 이외의 선택권이 적을수록 관계에 더 많은 헌신을 하며 현재의 관계를 유지하고자 한다. 실제로 잠재적인 대안 파트너를 거의 보고하지 않은 파트너가 관계를 끝낼 가능성을 적게 보고했다는 실험 결과가 있다. 

 

(3) 투자의 정도: 관계에 많은 투자를 한 경우 계속해서 관계를 유지하고자 할 가능성이 크다. 이때 투자는 돈과 시간뿐만이 아니라, 노력, 추억, 연결된 인간관계, 공유된 소유물 등을 모두 포함한다. 

 

헌신은 상대에 대한 관용을 불러일으키고, 상대를 위한 자발적 희생과도 관련된다. 그렇기에 만족스러운 사랑에서 헌신은 필수적인 요소이지만, 상호 헌신이 아닌 한 사람의 일방적인 배려와 희생만으로는 절대 행복한 관계를 오래 유지할 수 없음을 주의해야 한다. 




2. 부정적인 대화법 피하기



연인 관계에서 갈등과 다툼은 불가피하다. 그러한 갈등이 이별의 원인이 아닌 더욱 견고한 관계의 발판이 되기 위해서는 연인 간의 건강하고 현명한 대화법이 중요하다. 

 

낭만적 관계에서의 불만족 단서를 찾기 위한 John Gottman과 Robert Levenson‘부부 갈등 토론 과제 실험’에 따르면, 실험에 참여한 79쌍의 부부는 실험실에서 자신들의 갈등에 대해 격렬한 대화를 나누었는데, 크게 4가지의 대화 유형이 낭만적인 관계의 유지를 망치는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1) 비판 (2) 방어, 회피 (3) 의사 방해 (4) 경멸, 멸시 

상대방을 비난하는 것, 방어적이고 회피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 돌담을 쌓고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것, 상대방을 무시하고 경멸하는 것. 이 네 가지 대화법은 각자의 감정과 어려움에 대한 솔직하고 자유로운 대화를 방해하여 갈등 해결의 방해 요소가 된다. 


특히, 경멸은 낭만적 관계 유지에 치명적인데, 이혼한 부부가 그렇지 않은 부부보다 2배 이상 더 많은 경멸의 표현을 나타냈다고 한다. 

 

‘관계가 이미 위태로워서 그러한 대화법이 나타나는 것이 아닐까?’라는 의문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아니다. 부정적인 의사소통이 낭만적 관계를 망치는 데 직접적인 요소가 될 수 있다. 앞선 실험에 대한 14년 후의 추가 조사에 따르면, 15분간의 대화를 통해 수집된 이전 실험의 측정 결과가 실험에 참여한 부부들의 이혼을 93% 정확도로 예측했다고 한다. 

 



3. 삶의 좋은 순간을 함께하기



파트너와 함께하는 행복한 추억을 많이 만드는 것도 만족스러운 관계에 중요하지만, 내 개인적인 삶의 기쁜 순간, 중요한 순간을 함께 나누고 파트너의 삶에 참여하는 것 또한 행복한 관계에 큰 도움이 된다. 서로의 삶에서 좋은 경험, 좋은 순간을 공유하고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애인의 사진 전시회 소식을 들었을 때 “축하해. 어떤 작품을 전시할 거야? 누구를 초대할 거야?”와 같이 관심을 표현하는 동시에 행복의 감정을 함께 나누는 경험은 관계 만족도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4. 유희의 순간을 지속적으로 만들기 



사랑에서의 열정과 흥분은 관계가 오래 지속되면 사그라들기 마련이다. 오래된 관계에서의 편안함과 안정감은 건강한 연애의 좋은 신호이지만, 그러한 신호가 자칫 지루함과 무료함으로 이어질 수 있고 관계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럴 때 효과적인 방법은 바로 새로운 유희적 요소를 함께하는 것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한 한 실험에서, 결혼한 부부들은 두 가지 과제 중 하나를 수행해야 했다. 


(1) 즐거움의 감정을 어느 정도 고양한 상태에서, 벨크로 끈으로 무릎과 손목이 함께 묶인 채로 긴 매트를 가로질러 그들의 머리 사이에 놓인 공을 움직이기 (2) 막대기를 이용해 각각의 파트너가 긴 매트의 중앙으로 혼자 공을 밀기 

 

놀랍게도, (1)번 과제와 같은 사소한 유희적 공동 과제에 함께 참여한 부부들이 이후 상당히 높은 결혼 만족도를 보고했다고 한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분석에 따르면, 재미있는 활동에 대한 그들의 흥분과 즐거움이 그들의 파트너에 대한 감정으로 잘못 귀인 되어 관계의 만족도를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5. 상대의 밝은 면을 바라보기 



파트너를 이상화하고, 부정적인 면보다 긍정적인 면을 부각하는 것은 만족스러운 사랑의 중요한 요소다. 결점 없이 완벽한 사람은 없다. 그러나 우리는 그러한 사실을 분명하게 알면서도, 종종 내가 사랑하는 상대는 내가 원하는 이상형의 모습을 완벽히 갖추길 바라고, 그래서 단점이 보이면 더욱 크게 실망하기도 한다. 

 

서로를 존중하기 위해 노력하며 만족스러운 관계를 오래 유지하는 연애의 특징은 바로 상대방의 장점을 더욱 부각해 바라볼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연인과 부부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참가자들에게 연애 중 바람직한 속성&바람직하지 않은 속성과 관련된 21가지 특성에 대해 각각 자기 평가와 파트너 평가를 하게 했다. 

 

실험 결과, 연애 상대의 자기 평가보다 상대의 긍정적인 특성을 더 높게 평가한 사람들은 관계에 더 만족하는 모습을 보였고, 이는 이성애자 커플뿐만 아니라 동성애자 커플에게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고 한다. 

 

또한, 장점 부각과 함께 단점에서 긍정적인 면을 찾아내는 것 또한 큰 도움이 된다. 

Murray와 Holmes‘연인 이상화 연구’에 따르면, 현재의 관계에 만족하는 사람은 연인의 단점을 긍정적으로 이상화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면, 과도하게 걱정하고 불안해하는 연인의 성격에서 ‘그래도 덕분에 위험한 일들을 피하고 조금 더 안정적인 삶을 살 수 있어.’와 같이 긍정적인 면을 찾아내는 것이다. 

 

물론 건강한 관계를 위해 분명히 고쳐야 할 문제임에도 ‘내가 예민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수용하면 될 거야.’와 같이 문제를 회피하고 상대를 이상화하려고만 한다면 오히려 만족스러운 관계 유지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완벽한 사람이 존재할 수 없듯, 완벽한 연인도 존재할 수 없는 법이다. 서로의 결점을 포용하고 함께 발전해 나갈 수 있는 사랑을 위해서는 단점보다는 장점을 바라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사회심리학에서 제시하는 만족스러운 사랑의 5가지 법칙을 정리하면 1. 헌신 2. 부정적인 대화법 피하기 3. 삶의 좋은 순간을 함께 하기 4. 유희의 순간을 지속적으로 만들기 5. 상대의 밝은 면을 바라보기이다. 


이러한 사회심리학의 연구 결과가 여러분의 안정적이고 행복한 사랑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어주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1) Gilovich,Keltner,Chen,Nisbett. (2019). Social Psychology. New York: W.W. Norton & Company.





지난 기사보기

“야구팬들은 왜 항상 화나 있어?” 화내면서도 끊지 못하는 야구의 매력: 심리적 몰입

요아정, 두바이 초콜릿… 그다음은? 유행 속 숨겨진 소비 심리: 밴드왜건 효과, 디토 소비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9167
  • 기사등록 2024-09-30 09:44:5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