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김보겸 ]


MBTI? 혈액형? <정답은 없습니다>




예전부터 심리테스트는 항상 화제다. 그런데 유독 많은 심리테스트 가운데 'MBTI'가 한동안 최고의 관심을 끌었다. MBTI에 너무 빠진 나머지 이제는 그 결과에 나를 끼워 맞추고 있다. 


MBTI 성격유형은 총 16가지다. MBTI는 융이라는 학자의 이론을 바탕으로 미국의 심리학자인 캐서린 브릭스와 이자벨브릭스 마이어 모녀가 만든 검사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전문가들의 말에 의하면 MBTI 검사는 내가 지금까지 이런 성향으로 살아왔다는 결과일 뿐이라고 한다. 즉, MBTI가 내 모든 것을 말해주는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MBTI 궁합부터 그 성향에 맞는 직업군까지 모든 것을 MBTI에 맞춘다. 심지어는 처음 보는 상대에게 MBTI를 묻고 상대가 나와 상극인 유형일 경우 아예 선을 그어버리는 경우도 많이 보았다. 최근에는 회사 면접에서도 MBTI를 묻는다고 한다. 회사입장에서는 지원자의 성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서 MBTI 역기능도 존재하게 된다. 면접장에서 심사위원들에게 자신이 잘 보이게 하기위해서 본인의 원래MBTI를 숨기고 그와 반대로 대답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MBTI는 자신의 성향이든 타인의 성향이든절대적으로 맹신해서는 안된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사람들이 위와 같은 심리테스트에 절대적일까?


기본적으로 사람은 자신에 대해 다 안다고 확신하지만 대부분 불확실한 존재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자신에 대한 불확실함 때문에 외부적 원천으로부터 자신을 찾으려고 한다. 이러한 욕구는 비과학적임에도 불구하고 "심리테스트"라고 하는유사 과학적인 성격 테스트를 즐겨하게 되는 근본적인 이유다. 


바로 위에서 말한 근본적인 이유에는 두 가지 개념이 존재한다. 바로 확인 편파와 바넘 효과이다. 확인 편파란 심리 테스트 결과를 확인하는데 있어 자신이 믿고 싶은 부분과 일치하는 자료만 찾아서 그 순간에 활성화되어 편향된 특징이 마치자신의 전체적인 성향인 것처럼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사람들 대부분은 자신의 과거에 대해 다양하고 복잡한 지식을 가지고 자신에 대한 판단을 내리게 된다. 그에 따라 사람들은 자신의 성격에 대한 결과를 수용하는 데 있어 주어진 가설과 일치하는 자료만 찾고 불일치하는 자료를 피하게 되는 확인 편파를 사용하게 된다.


바넘 효과란 전문가에 의해 제시된 막연하고 일반적인 성격묘사(예: 당신은 외향적이지만 종종 내향적이고 과묵할 때도있습니다.)를 자신들에게만 해당되는 설명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을 말한다. 이처럼 유사 과학적인 성격유형학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공유되는 성격특질을 개인의 특질에 해당되는 것처럼 말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이러한 이유로 사람들은 성격 유형 결과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잘 들어맞는다"고 믿게 되는 것이다.


한 때 혈액형도 MBTI와 같은 유행을 끌었다. 실제로 혈액형별 성격유형을 과연 믿을 만 할까? 실제로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에서 진행한 연구가 있다. <혈액형별 성격특질에 대한 믿음과 실제 성격과의 관계>연구이다. 연구 결과 혈액형에 대한 성격특질에 대해 믿음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더 높은 혈액형 고정관념과 보고된 성격의 일치도를 보였다. 


믿음 수준이 높은 집단의 경우 혈액형별 성격특질을 많이 접해보고, 자기 자신과 관련된 혈액형 성격특질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일수록, 자신이 가지고 있는 혈액형별 성격특징 고정관념과 더 일치하는 식으로 자신의 성격을 보고하였다. 반대로믿음수준이 낮은 집단의 경우는 자신의 고정관념과 일치하게 자신의 성격을 평가하는 정도가 혈액형에 대한 태도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처럼 결론적으로 혈액형과 성격은 관계가 있다고도 말할 수 있고 관계가 없다고도 말할 수 있다. MBTI도 마찬가지이다. 내 부분적인 성향을 말할 수는 있지만 그렇다고 내 전체를 말한다고 보기에는 어렵다. 즉, 혈액형이든 MBTI든 정답은 없다는 것이다. 


그러니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한 심리테스트에 무거운 마음을 가지지 말자. 나에 대한 전문가는 나 자신이다. 그를 바탕으로 한 검사는 상태를 해석해주는 것 뿐이지 나 자체를 형용한다고 말할 근거는 없다. 따라서 완벽하지 못한 결과를 바탕으로 내 인생의 모든 것을 결정하는 무모한 짓을 하는 일은 없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1)중소기업신문.(2024).http://www.sme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3649

2)조소현; 서은국; 노연정. 2005. 혈액형별 성격특질에 대한 믿음과 실제 성격과의 관계.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19 No.4. 33-47page






지난 기사보기

"나만 왜 이럴까?"

"당신은 당신을 얼만큼 좋아하나요?"...도대체 자존감이 뭐라고...

"배가 고픈건 참아도 배가 아픈건 못 참는 이유"-질투의 화신!!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9194
  • 기사등록 2024-10-21 09:22:3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