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김정민 ]



행복하고 싶으신가요? ‘행복’이란 과연 무엇일까요? 사람들은 ‘행복’하면 주로 ‘좋은 삶’, ‘기쁨’, ‘자아실현’ 등의 단어를 떠올립니다. 우리의 일상 속에는 행복을 방해하는 수많은 요소들이 존재하지만, 동시에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어주는 많은 요소들도 있습니다. 수많은 방해 요소가 있는 사회에서, 우리는 어떻게 행복할 수 있을까요?


 


긍정 심리학과 PERMA 모델에 대하여


우리가 어떻게 하면 행복하게 살 수 있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 있습니다. 바로 긍정 심리학입니다. 긍정 심리학은 개인과 사회를 번영시키는 강점을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로, 강점을 기반으로 좋은 삶을 만들어가자고 이야기합니다. 이 분야의 대표적인 학자인 Seligman은 그의 PERMA 모델을 통해 웰빙과 관련된 긍정 심리학의 중심 원리를 제시하였습니다. 이제 PERMA 이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ERMA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차원의 약자입니다.


  • Positive Emotion (긍정적인 감정): 긍정적인 감정은 행복, 기쁨, 감사 등의 긍정적 정서를 포함합니다. 이를 통해 사람들은 더 나은 삶을 경험하게 됩니다.
  • Engagement (몰입): 몰입은 어떤 활동에 완전히 빠져들고 집중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Seligman은 이 상태를 '플로우(flow)'라고 부르며, 개인이 자신의 강점과 열정을 발휘할 수 있는 활동에 참여할 때 경험할 수 있습니다.
  • Relationships (긍정적인 관계): 긍정적인 인간 관계는 개인의 행복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서로에게 지지받고, 사랑받으며, 가치 있다고 느끼는 관계는 웰빙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Meaning (의미): 의미는 개인이 삶에서 무엇이 중요한지를 인식하고, 더 큰 목적에 기여하는 것을 느끼는 것입니다. 이는 종교, 사회적 원인, 자원봉사 활동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Accomplishments (성취): 성취는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얻는 만족감입니다. 개인의 성취는 자존감을 높이고, 긍정적인 자기 인식을 강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이 다섯 가지 요소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개인의 웰빙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신경 다양성과 PERMA


웰빙은 단일한 차원이 아니라 신체 건강, 정신 건강 및 기타 사회적 건강을 결정하는 다양한 요소들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긍정 심리학의 관점을 임상 장면에 적용해보겠습니다. 병원에 가서 어떤 정신 질환을 진단받으면, 치료사에게서 심리치료를 받기 시작합니다. 이 모습에서 정신 질환이 부정적이며, 그 병리적 측면에 사람들이 집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정신 질환에 대해 낙인을 찍는 사회적 경향도 만연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 아래에서 누군가의 강점과 장점을 개발시키기보다는 결점을 판단하고 이를 없애려는 노력에 집중하게 됩니다. 정신병리학의 부정적인 의미를 없애고, 사람들이 가진재능과 강점을 발견하고 발전시켜 사회에서 기능할 수 있도록 만들고자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신경 다양성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신경학적 차이를 보이는 개인의 독특한 능력을 강조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한편에서 보면 사회에서 ‘차이’는 반드시 필요한 요소입니다. 코로나19를 떠올려 보십시오. 모든 개인은 각기 다른 면역 체계, 유전자, 환경 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큰 질병이 도래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가 지속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이 사회에서 우리는 다르기 때문에 사회가 더 다채로워지고 강해질 수 있는 것입니다. 물론 모든 모습들을 단순히 차이로만 받아들일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연쇄 살인범의 행동은 명백히 차이가 아니라 범죄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어디까지 ‘차이’로 존중해야 할지 고민해야 합니다.


그럼 이제 신경 다양성의 관점에서 PERMA를 살펴보겠습니다. PERMA는 개인이 자신의 강점을 발휘하는 활동에 기여하고, 상대방과 자신에게 있는 그대로 수용받으며, 삶의 목적을 가지며 살아가는 것이 웰빙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모델입니다. 신경 다양성을 가진 사람들의 경우, 그들의 결점을 제거하려는 치료를 받고 많은 장면에서 소외되며, PERMA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현실이 존재합니다. 그들의 웰빙을 위해 필요한 것이 많겠지만, 그 중 하나는 강점을 찾아 나가는 과정이 될 것입니다.




자폐인들의 강점에 대한 연구


다음은 신경 다양성 운동의 중심에 있는 자폐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입니다. Nocon et al. (2022)은 자폐인을 대상으로 성격 강점과 삶의 만족도에 대해 연구하였습니다. VIA-IS의 24개 성격 강점과 5개의 강점 범주를 사용해 연구를 진행한 결과, 참가자의 50% 이상에서 보고된 상위 5개 성격 강점은 정직(Honesty), 아름다움과 탁월성의 감사(Appreciation of Beauty and Excellence), 학습에 대한 사랑, 공정성(Fairness), 그리고 친절(Kindness)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대로 낮게 나온 성격 강점에는 사회적 지능(Social Intelligence), 자기 조절(Self-regulation), 팀워크(Teamwork)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이러한 성격 강점들과 삶의 만족도를 분석했을 때, 각 성격 강점과 삶의 만족도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었습니다. 특히, 아름다움과 탁월성의 감사(Appreciation of Beauty and Excellence)가 높은 삶의 만족도와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긍정적인 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개인이 자신의 강점을 인식하고 활용하는 것이 삶의 질과 큰 관련이 있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또한, 자폐인들의 강점에 대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모두가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강점을 찾고 발견하는 길잡이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어떤 특징을 결점으로 규정하고 없애려는 노력보다는(deficit-based model), 강점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활용하고 발전시키는 데 집중한다면(strength-based model), 다 함께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단순히 ‘생존하는’ 삶이 아니라, 모두가 ‘번영하는’ 삶을 살 수 있도록 강점을 찾고 개발하는 데 집중할 수 있는 교육, 직장 등 삶의 환경에서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참고문헌>

1) Nocon, A. S., Roestorf, A., & Menéndez, L. M. G. (2022). Positive psychology in neurodiversity: An investigation of character strengths in autistic adults in the United Kingdom in a community setting.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99

2) Cascio, M. A. (2015). Cross-cultural autism studies, neurodiversity, and conceptualizations of autism. Culture, Medicine and Psychiatry, 39(2), 207-212.

3) Seligman, M. E. P. (2002).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NY: Free Press.





지난 기사보기

자폐 스펙트럼 장애: 조기 진단이 삶의 변화를 만든다 ①

자폐 스펙트럼 장애: 조기 진단이 삶의 변화를 만든다 ②

신경 다양성이 주는 교훈: ‘정상’이 아닌 ‘다양성’을 받아들이는 사회의 변화

NDBI 자연주의 발달 행동 중재: 자폐 아동을 위한 새로운 별 ①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9273
  • 기사등록 2024-10-29 15:04:5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