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박지연 ]


유난히 덥던 이번 여름, 그런데 언젠가 보니 단풍과 은행이 물들고 점점 날이 쌀쌀해졌다. 이 시기만 되면 아무런 이유 없이 기분이 가라앉고 무기력해지는 사람들이 있다. ‘가을 탄다.’는 말이 있는데 가을이 우리에게 마법을 부리기라도 한 걸까?

이번 기사에서는 계절이 우리 심리에 미치는 영향과 그 원리에 대해 알아보자.

 

나무 의자와 낙엽이 있는 가을의 활기찬 단풍나무 - 가을 뉴스 사진 이미지

 


가을만 되면 우울해지는 이유 : 계절성 우울증


온 세상이 알록달록 아름답게 물들고 여기저기 신나는 축제가 한창인데 아무런 이유 없이 우울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있다. 이를 계절성 우울증이라고 하는데, 단순히 가을을 타는 것이 아닐 수 있다. 

 

계절성 우울증(Seasonal Affective Disorder, SAD)이란 쉽게 말해 계절적인 흐름을 타는 우울증이다. 계절성정동장애라고도 한다. 특히 가을. 겨울에 우울증상과 무기력증이 나타나며 증상이 악화되고 봄과 여름이 되면 호전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외에도 봄철 우울증과 여름철 우울증도 있으나 대부분 겨울성 우울증이 가장 많다고 한다. 또한 여성 환자의 비율이 높다.

 

계절성 우울증을 일으키는 범인은 바로 ‘햇빛’이다. 즉, 일조량이 적어서 나타나는 증상이라는 것이다. 우리 몸은 일조량이 줄어들면 기분을 조절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의 분비가 감소된다. 또한 수면호르몬인 멜라토닌의 불균형을 초래해 낮에도 졸리고 기분이 가라앉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게다가 가을과 겨울에는 기온이 낮아지면서 신체 에너지 수준이 감소하고 줄어드는 외부활동으로 인해 사회적 고립감까지 증가할 수 있다.

 

the man sitting in the corner of the room has emotional and mental problems he has depression and stress from society and work. medical concept. - 우울증 뉴스 사진 이미지

 


계절성 우울증은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가?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지속적인 우울감, 무기력, 대인관계 위축, 과다 수면 혹은 불면증과 같은 수면 패턴의 변화, 집중력 저하, 식욕과 체중 증가 등이 있다. 계절성 우울증은 그 증상에서도 보이듯이 개인의 대인관계, 직업적 기능, 사회적 활동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극단적인 선택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계절성 우울증 예방과 탈출법


‘아니 근데 특정 계절만 되면 그러는데 뭘 어떻게 예방을 한다는 거야?’, ‘오는 계절을 막을 수도 없고’이런 생각이 들 수 있다. 사실 사람이 자연의 섭리를 거스를 수는 없다. 우리는 그저 최대한 예측해서 대비하고 적응하는 것뿐이다. ‘이번 겨울은 엄청 춥대요.’라는 뉴스 보도에 맞춰 미리 수도관 동파를 막기 위한 대책을 세우고 실행하는 것처럼 말이다. 

 

그렇다면 계절성 우울증이 우리 몸과 마음을 얼리기 전,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은 매일 주기적으로 ‘햇볕 쬐기’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조금 춥더라도 밖에서 햇볕을 쬐고 운동하는 것이 필요하다. 운동의 경우 유산소 운동이 우울증 예방에 특히 좋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더불어 세로토닌 생성을 촉진하는 트립토판이 풍부한 바나나, 치즈, 달걀 흰자 등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생체리듬 안정을 위해 규칙적인 수면 역시 중요하다. 

 

만약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계절성 우울증으로 인해 어려움이 있다면 가장 좋은 방법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다. ‘이 시기만 지나면 괜찮아지겠지‘라는 안일한 생각으로 자신을 방치하고 상태를 더 악화시키는 것은 옳지 않다. 우울증은 마음의 감기라는 말이 있다. 우리가 감기에 걸리면 하루라도 빨리 병원에 가서 진찰을 받고 약을 처방 받는 것이 좋듯이 계절성 우울증 역시 빠른 치료가 해답이다.

 

치료방법으로는 매일 일정한 기간 동안 라이트 테라피를 진행하거나 주위를 시원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 약물치료는 항우울제를 사용한다.

 


마치며


누군가에게는 아름답고 좋은 계절이지만 다른 누군가에게는 괴롭고 우울한 계절일 수 있다. 반가워야 할 계절의 변화가 우울증을 불러올 수 있지만 다가오는 계절을 두려워하고 움츠려 들 필요는 없다. 꾸준한 생활패턴 유지와 적절한 운동과 식단으로 네 번의 계절을 무사히, 반갑게 맞이할 수 있도록 우리 모두 노력해보자

 




참고문헌

뉴스제주. (2024년10월31일). 계절에 따른 마음 조절‘. 뉴스제주. 계절에 따른 마음 조절  - 기고 - 오피니언 - 기사본문 - 뉴스제주.

박윤희. (2024년10월27일). ‘”떨어지는 낙엽만 봐도 우울해”…’계절성 우울증’ 극복하고 싶다면?’. 세계일보. “떨어지는 낙엽만 봐도 우울해”…‘계절성 우울증’ 극복하고 싶다면? | 세계일보.

조성우. (2024년10월21일). ‘계절성 우울증, 단순히 가을 타는 게 아니다?’. 메디컬투데이. 계절성 우울증, 단순히 가을 타는 게 아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계절성우울증 [seasonal affective disorder, 季節性憂鬱症]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지난 기사보기

명탐정 코난 ‘피아노 소나타 월광 살인사건‘으로 보는 트라우마와 외상 후 성장 

20년 만에 사라질 뻔한 파리의 상징

부끄러워서 그러는 거 아닌데…선택적 함구증

프로이트의 인생이 담긴 이론

오픈런? 사재기? 그게 무슨 문제야! 내 최애 굿즈를 가질 수 있는데!!

작은 철학책 : 모두를 위한 그림책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9335
  • 기사등록 2024-11-11 15:09:5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